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문화/문화이론 > 문화사
· ISBN : 9791173322723
· 쪽수 : 204쪽
· 출판일 : 2025-06-30
책 소개
목차
프롤로그
1장 미술의 이해
1. 미술이란 무엇인가?
2. 미술가는 누구인가?
3. 미술을 이해하는 것은 왜 중요한가?
2장 미술의 시각적 경험
1. 회화, 사각 화폭 안으로 들어온 세상
2. 인체에 대한 사랑에서 시작한 조각
3. 건축, 가장 사회적인 종합 미술
4. 공예, 예술과 실용성 사이에서
3장 세계의 미술
1. 서양 고대와 중세 미술: 신과 통치자의 이미지
2. 르네상스에서 바로크 미술까지: 신의 세계에서 인간의 세계로
3. 근대미술: 시민 사회의 삶을 그리다
4. 현대미술: 추상과 그 이후의 미술
5. 아시아의 미술
6. 중남미와 아프리카 미술
4장 우리 삶 속 미술의 세계
1. 글로벌한 오늘의 미술
2. 미술품 수집과 미술관
참고 문헌
도판 목록
저작권
저자소개
책속에서
미술을 좀 더 포괄적으로 정의하면 ‘우리의 경험을 확대하고 선명하게 만들며, 과거를 이해하고, 그 연장선상에서 시대의 변화를 새롭게 인식하게 하는 시각적인 진실이며 증언’이라고 할 수 있다. 문자나 악보가 나오기 전의 문학이나 음악은 남아 있는 당시의 기록이 없지만, 미술은 최초의 인류가 남긴 그림 그대로를 구석기 시대의 동굴벽화에서 생생하게 볼 수 있다. 동굴벽화뿐 아니라 고전적 절제미를 보이는 그리스 파르테논 신전의 건축이나 조각, 그리고 격렬하고 복잡하게 구성된 피카소의 〈게르니카〉도 그 시대를 경험하게 한다. 미술에 시각적인 감동을 넘어 풍부한 역사적 의미와 지적 깊이가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되면 그 즐거움은 배가된다.
_미술이란 무엇인가?
구성은 작품을 탄탄하게 지탱하는 문학의 플롯, 또는 건축의 뼈대와 같은 것이다. 서양미술사에서 뛰어난 구성으로 꼽히는 레오나르도 다빈치의 〈최후의 만찬〉을 예로 들어보자. 최후의 만찬을 주제로 하는 수많은 작품이 제작되었는데, 그중에서도 왜 레오나르도 다빈치의 작품이 유명한 것일까? 중세 종교화들은 종교적인 메시지 전달이 주목적이었지만 미술가이면서 과학자이기도 했던 레오나르도의 생각은 달랐기 때문이다.
_회화, 사각 화폭 안으로 들어온 세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