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예술/대중문화 > 미술 > 미술비평/이론
· ISBN : 9791173790362
· 쪽수 : 412쪽
· 출판일 : 2025-10-27
책 소개
목차
책을 엮으며 • 5
단파 제국• 13
01 복수의 제국, 파인애플 • 15
복수의 제국, 보뤄(菠蘿)와 펑리(鳳梨) • 16
일본 제국주의의 상징물, ‘세이반(生蕃)’ 상표 • 18
제국의 건설 영웅 ‘군인(軍人)’ 표 • 28
제국의 취향, 펑리 • 34
02 전쟁의 표상, 총후의 여성 • 45
일본의 남진(南進) 기지화와 황민화 정책 • 46
대만 미술 전람회와 원주민 표상 • 51
미술에 담긴 총후 여성의 서막, <산디먼사의 여인> • 54
남성 부재의 미디어, 총후의 미술 • 64
03 전람회 시대 『경성일보』(1906~1945)의 미술자료 • 79
『경성일보』의 전람회 기사 • 80
조선에서 열린 전람회와 지방색 • 82
『경성일보』의 전람회 기사 • 91
개혁의 꿈, 조선 화단 • 98
관전에 대항한 재야전 • 105
04 신문매체로 본 경성 화가들의 아틀리에 • 119
미술 전람회와 아틀리에의 등장 • 120
아틀리에 순례 • 122
식민지 수도 경성의 아틀리에 • 131
진동의 아시아• 149
05 아시아와 여성: 추상미술의 서구중심주의를 넘어서 • 151
탈 서구 중심주의로서 추상미술의 글로벌화 • 152
누락된 아시아의 여성 추상미술 • 159
복수의 추상미술 : 1950, 1960년대 일본과 한국의 여성 미술가 • 163
서구 중심주의를 넘어 아시아 여성 추상의 지평 • 179
06 공생의 재구: 대만과 중국의 미술교류 • 181
중국과 대만과의 양안 관계 • 182
‘양안’의 미술 교류 • 184
역사의 재구 ‘합벽(合壁)’ • 188
07 아시아의 미술시장과 수묵화의 당대성 • 201
서론 • 202
《선전 수묵 비엔날레》, 지역에서 국가로 • 206
현대 수묵의 대안 ‘실험수묵’의 당대성 • 212
홍콩 수묵 아트페어의 당대성 • 218
공명의 한국• 227
08 모더니즘 ‘서체추상’과 이응노 • 229
1950년대 파리, 아시아 화가들의 서체추상 • 230
앵포르멜 회화와 추상표현주의 서예성 • 239
모더니즘 광초(狂草)와 전서(篆書)의 추상 • 248
09 장욱진 회화의 표현과 신사실 그리고 초현실 • 263
사실에서 ‘표현’으로 • 265
주체적인 자아 ‘표현’ • 271
신사실과 초현실 • 277
초현실적 구성과 조형기법 • 281
10 1960년대 한국 현대미술의 국제화와 국제적 동시성 • 298
들어가는 말 • 299
한국 현대미술의 전조(轉調) 국제화 • 302
1960년대 국제적 ‘전위’의 동시성 • 309
백남준 전위 퍼포먼스의 동시성 • 317
아시아 현대미술을 넘어서(전시 기획) • 331
11 전후 70년 대만과 한국의 수묵 임계 • 333
수묵에서 드러난 수와 먹: ‘台水韓墨’ • 334
탈근대의 표상 ‘수묵’ • 338
수묵, 또 다른 먹의 세계 • 345
12 아시아의 또 다른 회화에 대하여 • 353
회화의 부정/회귀 • 354
고유한 문화적 매체로서 회화 • 357
회화의 전위(轉位) • 362
주 • 36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