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사회운동 > 노동운동
· ISBN : 9791185009193
· 쪽수 : 400쪽
· 출판일 : 2018-06-10
책 소개
목차
책을 펴내며
1부 노동조합을 건설하다(1987)
1. 1987년 노동자대투쟁
1) 1987년 이전 한국의 노동자
2) 1987년, 울산을 휘감은 민주화 바람
3) 남목고개를 뒤덮은 동구 노동자의 함성
2. 현대조선소와 해성병원?
3. 열악한 환경의 병원 노동자들
1) 임금체계도 없었다
2) 부족한 수당과 복지시설
3) 병원 내 권위주의로 고통 받는 직원들
4) 여성 사업장에서 지워진 여성 인권
4. 해성병원노동조합이 생기다?
1) 해성병원 노동자 노동조합을 꿈꾸다
2) 8월 7일 발기인대회
3) 회유와 탄압
4) 설립보고대회와 사측의 노동조합 인정
2부 민주노조의 기틀을 마련하다(1987~1998)
1. 초대 집행부 임금·단체협약 체결
1) 임금교섭·단체협약 체결
2) 정액 정률 논쟁
2. 전국 병원 노동조합 연대
1) 병원노동조합협의회
2) 제3자 개입금지
3) 병노련의 의료민주화 투쟁
4) 병원노련 경남본부 연대활동
3. 현총련
1) 현노협 결성
2) 현총련과 해성병원노조
4. 노동조합 단결을 위한 투쟁과 일상 활동
1) 해성병원노동조합의 상황
2) 90년대 임단투
3) 격변하는 정세와 대응 투쟁
4) 호봉제 쟁취
3부 산별노조 시대(1999~2004)
1. 5대 집행부와 보건의료노조 조직형태 변경
1) 5대 집행부 출범
2) 보건의료노조 건설
3) 연대와 교육으로 단결하는 보건의료노조
4) 산별노조 교섭과 투쟁
5) 의사 집단진료거부와 임금체불
6) 낙하산 인사와 경영진들의 직원 무시
7) 2000년 파업과 송영대 집행부의 위기
8) 어린이집 설립투쟁
2. 6대 집행부와 공동요구 공동투쟁?
1) 6대 집행부
2) 2002 산별노조 공동 투쟁
3) 최초 산별교섭 참가 합의
4) 연대 투쟁
3. 7대 집행부와 산별파업?
1) 7대 집행부 출범
2) 박일수 열사 투쟁
3) 청소와 식당 외주화
4) 2004년 여름 무더웠던 14일 파업투쟁
4. 산별협약 10장 2조와 보건의료노조 탈퇴?
1) 산별협약 10장 2조
2) 보건의료노조 탈퇴
5. 노동자 정치세력화 ?
1) 민주노동당 창당과 6·13 지방선거
2) 2004 총선
4부 다시 기업노조를 넘어서(2005~2010)
1. 새로운 산별노조, 의료연대노동조합?
1) 8대 집행부 출범
2) 보건의료노조 탈퇴
3) 의료연대노조 건설
4) 병노협과 의료연대노조의 활동
2. 일상 투쟁과 임단협 파업?
1) 2005·2006년 임단협
2) 제도개선위원회와 호봉제도 개선
3) 2007투쟁과 비정규직 정규직화 파업
3. 노동조합의 새로운 국면 ?
1) 9대 집행부 출범
2) 9대 집행부의 임단협 투쟁
4. 정당한 노동력의 대가를 찾아?
1) 일방적 복지축소와 임금체불
2) 이사장 고소고발과 총력투쟁
3) 전직 노조대표자의 인사팀으로 부서 이동
4) 간호부 이브닝 야간수당과 산전후 휴가 임금 보전
5) 사측의 대기수당 삭감 시도
6) 연말정산 기준 변경으로 가족수당 문제 발생
5. 현장통제와 노동탄압에 대한 저항?
1) 승진시험 시행 시도
2) 원무팀 친절만족도 조사함 회수
3) 활동기준 원가분석시스템(ABC 시스템) 대응
4) 억지 친절 강요하는 간호부 인사 행위
5) 기업문화 주입을 위한 사측의 교육
6) 조합원 서명 없는 시국선언과 사측의 일방적인 급여공제
7) 약무보조 계약직 해고 대응 투쟁 분회장 폭행
8) 독수리 오형제
6. 울산대병원 청소노동자들 노조를 결심하다?
1) 청소노동자들의 현실
2) 해고를 강요당한 청소노동자를 만나
3) 노동조합을 결심하다
4) 울산민들레분회 단체교섭 쟁취투쟁
5부 연대로 도약하는 노동조합(2011~2016)
1. 10대 집행부 협상과 투쟁?
1) 10대 집행부 출범
2) 협상과 투쟁
3) 임단협 투쟁 그리고 달라지지 않는 사측
4) 연대 활동
2. 11대 집행부 출범?
1) 경선
2) 11대 집행부
3. 통상임금 정상화?
1) 통상임금 소송
2) 상여금의 통상임금 적용
4. 권위주의에 맞서다?
1) 2014년 1월 전공의 폭언 사건
2) 일상화 된 직원 감시와 부당한 인사
3) 리베이트
5. 11대 집행부의 투쟁?
1) 2014 임단협
2) 2015 임단협
3) 2016 임보협
4) 부당노동행위
5) 간호간병 통합서비스 시범
6) 임금 체계변경과 하위호봉 철폐
7) 현대중공업 구조조정과 기숙사
6. 의료 공공성 강화 및 지역연대 활동?
1) 의료민영화 반대 시민선전전 및 서명운동
2) 울산건강연대 활동
3) 저소득층 건강보험료 지원 조례제정
4) 동구지역 노동조합 연대
5) 염포산 터널 무료화 운동
6) 기타 연대
7) 민들레분회 파업
7. 박근혜 정권 퇴진 운동?
1) 민중총궐기
2) 탄압
3) 박근혜는 퇴진하라!
8. 울산대학교부속병원 전환?
6부 노동조합 창립 30년, 그리고 최장기 파업 (2017)
1. 12대 집행부 출범?
2. 2017 투쟁?
1) 투쟁의 서막
2) 교섭
3) 투쟁
4) 파업기간 교섭과 마무리
5) 2017년 파업의 의미
참고문헌 및 구술자 명단
역대 집행부 명단
연혁
저자소개
책속에서
우리 노동조합은 87년 노동자대투쟁 속에서 태어났습니다.
1987년 7, 8, 9월로 이어지는 노동자들의 거대한 투쟁은 인간선언임과 동시에 자신을 지키는 노동조합이란 성벽을 쌓는 절호의 기회였습니다. 울산대학교병원노동조합의 전신인 해성병원노동조합은 그러한 투쟁의 역사 속에서 출범하였습니다.
노동자와 노동조합의 투쟁사는 그간 여럿 편찬되었습니다. 하지만 그 가운데서 우리 노동조합의 기록을 찾기는 쉽지 않습니다. 지난 2년 동안, 선배 조합원의 기억과 산재해 있는 자료들을 찾고 모아 우리들의 30년 역사를 복원하였습니다. 비록 글과 사진이지만 선배 조합원들과 우리들의 치열했던 기록들을 살펴봐 주십시오.
그리고 우리가 함께 지켜온 민주노조의 정신, 낮은 곳으로 흐르는 물처럼 약자와 연대하고, 평등의 길로 나아가는 노동조합의 정신을 지켜나갑시다.
지난 30년처럼 앞으로 30년을 향하여….
초대 집행부는 노동조합 활동 방해에 대해 항의하며 노동조합 활동보장과 사무실 제공, 전임자 2명을 요구하였다. 사측은 ‘사무실 제공은 하겠다. 그러나 전임은 안 된다’라며 노동조합의 요구를 거부했다. 사측의 거부에 송영대 위원장이 무단으로 전임 활동을 시작했다. 송영대위원장은 퇴근도 포기하고 밤낮으로 조합원들을 조직했다. “병원에서 일하는 사람도 노동자다. 노동조합에 가입하자”라며 설득하고 외쳤다. 전국적인 노조 결성과 노동조합을 인정하는 분위기가 확대되고 대형병원도 노동조합이 결성되었다는 소식을 전하자 노동조합에 가입하는 사람들이 늘어나기 시작했다. 노동조합에 가입하는 직원들이 늘어나자 계장급과 수간호사들도 노동조합에 합류했다. 결국 사측은 위원장의 전임을 포함한 노동조합 활동을 인정할 수밖에 없었다.
90년대 초까지 병원 내에서 흡연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환자들은 물론이고 직원들까지 계단이나 병원건물 내부에서 담배를 피웠다. 야간에는 노동자들조차 근무지에서 흡연하는 것도 아무렇지 않게 여겨졌다. 정형외과 환자들이 많은 5층에 지정된 흡연실이 있었지만 소용이 없었다. 병실 내 흡연을 간호사들이 단속하자 환자들은 화장실에서 흡연을 했다. 병원노동조합연맹은 병원 내 흡연을 법으로 금지할 것을 보건당국에 요구하고 병원 내 금연운동을 진행했다. 노동조합은 선전물을 배포하고 매점에서 담배를 판매하지 않도록 요구했다. 병원노련에서 제작한 금연스티커 붙이기 등 다양한 금연운동을 진행하였다.
하지만 금연운동은 90년대 초반까지 직원들에게조차 동의받기 힘든 문제였다. 결국 매점에서 담배 판매를 하지 못하게 하는 수준에서 금연운동이 마무리 되었다. 병원 내 금연운동은 병원노련 차원에서 진행한 최초의 의료공공성을 위한 현장운동이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