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다 샌트 (지은이)
정보 더보기
사회과학 및 시민교육 교사로 스페인의 여러 중등학교에서 근무했다. 정치 참여 교수학습에 관한 박사학위 취득을 위해 스페인 교육부에서 대학교수연수 장학금을 받은 후, 바르셀로나 자치대학교에서 4년간 근무했다. 2014년부터 영국 맨체스터 메트로폴리탄대학에서 교육학 교수로 재직 중이다. 시민성과 민주주의·정치·역사 교육에 중점을 두고 연구하며, 유럽과 미국에서 저널과 서적 발간에 참여하고 있다.
펼치기
이언 데이비스 (지은이)
정보 더보기
10년 동안 영국의 여러 주립학교에서 교사로 근무했다. 1992년에는 정치 교육에 관한 논문으로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일본과학진흥협회 회원이었고 유럽평의회에서 민주시민성 교육 전문가로도 일했다. 현재 영국 요크대학 교육학과 교수로 교육대학원장, 교육과 사회정의 연구센터장과 부학과장을 맡고 있으며 광범위한 저술활동을 펼치고 있다.
펼치기
캐런 패시비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핀란드 오울루대학과 캐나다 앨버타대학 세계시민교육 및 연구 센터에서 박사 과정을 거쳤다. 토론토대학에서 박사 학위를 받고, 교사교육 프로그램에서 세계시민성 및 지속가능발전 전공 학생들의 학사지원 업무를 맡았었다. 캐나다와 브라질에서 비판적·탈식민지 이론에 근거한 중등학교 교사로 근무한 후의 연구는 다문화적 맥락에서 세계시민성 교육의 복잡성과 고등교육의 국제화 경쟁의 의미를 고려하고 있다. 영국 맨체스터 메트로폴리탄대학 아동·청소년 교육학과 교수이자 캐나다 앨버타대학교 및 핀란드 헬싱키대학의 겸임교수로, 글로벌·시민성·교육 관련 분야를 강의하고 연구하고 있다.
펼치기
리넷 슐츠 (지은이)
정보 더보기
캐나다 앨버타대학 교수이자 세계시민교육 및 연구 센터(CGCER) 공동 센터장으로 세계시민성을 연구하고 이 주제를 다룬 책과 논문을 펴냈으며, 글로벌 사회정의와 교육 국제화에 관해 광범위하게 출간했다. 현재 캐나다 비교 및 국제교육학회와 세계비교교육학회 집행위원회에서 활동하고 있다.
펼치기
심성보 (지은이)
정보 더보기
거시적·장기적 교육 전망과 현장에서의 미시적·단기적 실천이 분리되지 않는 ‘실천적 이론가’와 ‘이론적 실천가’를 꿈꾸고 있다. 이상주의(idealism)와 현실주의(realism)가 분리되지 않는 변증법을 굳게 믿고 실천하면서 교육이론 운동과 교육실천 운동의 두 갈래 길을 놓치지 않으려 애쓰고 있다. 최근 『진보주의 교육의 세계적 동향』, 『학교 민주시민교육의 세계적 동향과 전망』, 『마을교육공동체운동의 세계적 동향과 과제』, 『민주학교의 탄생』, 『시민이 만드는 교육 대전환』, 『교육사상가의 삶과 교육사상』을 공동으로 펴냈다. 또한 『비판적 페다고지는 세상을 변화시킬 수 있는가?』, 『21세기 교육과 민주주의』, 『프레이리와 교육』, 『존 듀이와 교육』, 『진보주의 교육운동사』, 『세계시민교육』, 『사랑의 교육학』, 『다시 읽는 민주주의와 교육』, 『세계의 대안교육』의 번역에 참여했다. 2018년 정년 퇴임 후에는 『한국 교육의 현실과 전망』, 『교육과정에서 왜 지식이 중요한가』, 『코로나 시대, 마을 교육공동체운동과 생태적 교육학』, 『프레이리에게 변혁의 길을 묻다』를 펴냈다.
현재 부산교대 명예교수로서 한국교육연구네트워크 이사장, 한 국교육개혁전략포럼 대표, 마을교육공동체포럼 이사 등 다양한 역할을 하면서 교육과 사회의 동시적 변혁을 위한 활동을 하고 있다. 촛불혁명의 미완성 과제와 코로나 사태의 발생으로 새로운 과제가 대두하면서 대한민국의 다중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대안적 사상을 모색하고 이를 실천하려고 한다.
저자는 1995년 5·31교육개혁이 신자유주의적 문명화 시도였다면 지금은 지속가능한 포용적·공동체적·생태적 문명으로의 이동을 위한 사회 및 교육 체제의 거대한 전환이 필요하다고 보며, 한국교육의 전면적 전환을 위한 총체적 교육사상의 정립과 다면적 실천이 그 어느 때보다 중요함을 강조한다. 또 100여 년 전 기술적 근대화(개화파)와 토착적 근대화(개벽파)가 분열되어 일제 식민지화를 초래했듯 제2의 식민지화를 막으려면 한국의 미래교육 100년을 준비해야 한다고 말한다. 그리고 이 책을 통해 지금 우리에게 요구되는 것은 내란 이후의 대안적 세상을 여는 혁신적·변혁적 교육 및 운동임을 역설한다.
펼치기
유성상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교육학과 교수. 서울대학교 교육학과에서 학부와 석사과정을 공부하고 미국 캘리포니아대학교(UCLA)에서 박사과정(국제비교교육)을 마쳤다. 교육, 발전, 불평등, 사회정의가 맞닿는 주제에 관심 있고, 교육을 통한 사회변혁의 가능성을 탐색하고 있다.
펼치기
조우진 (옮긴이)
정보 더보기
고려대학교에서 논문 <지속가능발전교육의 윤리적 성격과 교육>으로 교육철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1995년부터 유네스코한국위원에서 교육, 청소년, 문화교류, 과학, 개발협력 분야 업무를 담당했으며, 2021년 현재 교육본부장으로 재직 중이다.
펼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