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통일/북한관계 > 북한학 일반
· ISBN : 9791185032009
· 쪽수 : 274쪽
· 출판일 : 2013-03-30
책 소개
목차
1부 라디오로 혁명을 유도한 북한
북한 대남방송의 기원
방송 키즈(Kids)가 운동권을 석권하다!
80년대의 나꼼수, 한민전
한민전 요원, 오길남 박사와 통영의 딸 구출운동
부부간첩단을 안기부로 오해하다
일심회 사건
난수표란 무엇인가?
2부 대남공작의 신 미디어
라디오에서 인터넷으로
스테가노그라피(Steganography)
북한의 댓글 부대
트위터 부대와 UCC
북한 특권층의 Facebook 특권
3부 북한의 대남 사이버테러
북한이 사이버 테러에 나선 이유
북한의 사이버 테러부대
사이버 테러 요원은 어떻게 양성되나?
사이버 테러와 김정은
북한이 한국에 심어 둔 좀비PC 20만대
우리의 사이버 대응체계
농협 전산망사건의 배후, 북한
북한의 사이버 전사로부터 e메일을 받다
북한은 왜? 안철수 연구소에 소스코드를 요구했나?
사이버 민방위 훈련을 창설하자
북한 IP문제에 대한 한국의 무지
GPS 교란 전파와 EMP 공격
북한의 사이버 남침 주요 사례
4부 북한을 휘젓는 한류
한국의 영상물, 어떻게 유통되나?
연기력은 이범수, 패션은 현빈!
인민군대까지 스며든 한류
한국TV 때문에 집값이 오르다
5부 북한의 매체 탄압
북한의 이색 직업 : 라디오 봉인 풀기 전문가
전기 내리고 단속하는 이유
스텔스 USB
요덕 수용소에서 죽은 북한 언론인
6부 북한 미디어의 특징 151
북한에는 ‘생방송’이 없다 153
북한의 언론인은 신랑감 몇 순위? 156
북한에도 언론고시가 있을까? 158
북한 아나운서의 독특한 억양 160
북한에도 아나테이너(anatainer)가 있다. 163
북한 주민들만 듣는 ‘제3방송’ 168
남한 드라마에 관심 많은 김정일 172
김정일만 볼 수 있는 외국뉴스, “백지통신” 174
김정일 사진 촬영시의 원칙 177
적들에게 우리 소식을 알리지 마라! 179
북한에는 아직도 금지곡이 있다 181
7부 북한의 휴대폰과 인터넷
북한 핸드폰의 시작과 용천역 폭발사고
오라스콤과 북한의 휴대폰
북한에서 카카오톡도 가능하다
북한의 인터넷, <광명>
손으로 쓰는 사회
북한에도 PC방이 있나?
평양에도 아이패드가?
김정은은 인터넷을 허(許)할까?
8부 통일시대를 준비하는 대북한 미디어 전략
‘방아쇠 없는 무기’ 삐라의 진화
라디오는 생명과 같다
디지털TV전환은 북한 주민들에게 재앙
북한의 변화를 위한 최고의 무기, 대북방송
북한의 지하 기자들
북한 소식의 외부 전파
北주민에게 더 많은 정보를!
남북방송 전면 개방 제의하자
부록1 ● 미디어에 의한 사회 변혁 사례
부록2 ● 대북 라디오방송 현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