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대한민국 디지털교과서

대한민국 디지털교과서

(디지털과 아날로그교과서과 함께 만드는 디지로그 교실혁명)

고득환, 김민진, 김철강 (지은이)
기역(ㄱ)
19,5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대한민국 디지털교과서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대한민국 디지털교과서 (디지털과 아날로그교과서과 함께 만드는 디지로그 교실혁명)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교육학 > 교육 일반
· ISBN : 9791185057057
· 쪽수 : 232쪽
· 출판일 : 2013-11-22

책 소개

‘디지로그 시대’ 디지털교과서와 아날로그교과서의 건강한 역할 분담을 위한 실험보고서. 실제 교육현장에 적용된 디지털교과서 수업사례와 함께 문제점을 짚어서, 더 나은 디지털교과서 활용 수업 모형을 개발하는데 바탕이 될 책이다.

목차

디지털교과서와 아날로그교과서+고득환
011 디지털교과서 VS 아날로그교과서
014 디지털교과서가 바꾸어놓을 미래의 교실
016 디지털교과서와 학습모형들
021 스마트한 스마트도구들

디지털교과서 이렇게+과목별 활용기

과학

디지털교과서 활용 과학과 문제기반학습 모형+김철강
033 과학과 문제기반학습 모형
037 디지털교과서 활용 과학과 문제기반학습 모형 사례
038 - 디지털교과서를 만나다
047 - 디지털교과서 활용 수업, 교사에게 묻다
049 - 디지털교과서 활용 수업, 학생에게 묻다
055 - 디지털교과서 활용 과학과 수업의 유의점과 팁
058 - 과학 수업에 유용한 스마트도구들
060 디지털교과서 활용 과학과 수업 시나리오

디지털교과서 활용 과학과 탐구학습 모형+박홍제
075 과학과 탐구학습 모형
078 디지털교과서 활용 과학과 탐구학습 모형 사례
079 - 디지털교과서를 만나다
088 - 디지털교과서 활용 수업, 교사에게 묻다
089 - 디지털교과서 활용 수업, 학생에게 묻다
094 - 디지털교과서 활용 과학과 수업의 유의점과 팁
100 - 과학 수업에 유용한 스마트도구들
101 디지털교과서 활용 과학과 수업 시나리오


사회

디지털교과서를 활용한 사회과 프로젝트학습 모형+이재환
119 사회과 프로젝트학습 모형
121 디지털교과서 활용 사회과 프로젝트학습 모형 사례
122 - 디지털교과서를 만나다
128 - 디지털교과서 활용 수업, 교사에게 묻다
130 - 디지털교과서 활용 수업, 학생에게 묻다
136 - 디지털교과서 활용 사회과 수업의 유의점과 팁
137 - 사회 수업에 유용한 스마트도구들
139 디지털교과서 활용 사회과 수업 시나리오

디지털교과서를 활용한 사회과 커뮤니케이션학습 모형+김민진
155 사회과 커뮤니케이션학습 모형
157 디지털교과서 활용 사회과 커뮤니케이션학습 모형 사례
158 - 디지털교과서를 만나다
161 - 디지털교과서 활용 수업, 교사에게 묻다
164 - 디지털교과서 활용 수업, 학생에게 묻다
170 - 디지털교과서 활용 사회과 수업의 유의점과 팁
172 - 사회 수업에 유용한 스마트도구들
174 디지털교과서 활용 사회과 수업 시나리오


영어

디지털교과서를 활용한 영어과 프로젝트학습 모형+설정철
195 영어과 프로젝트학습 모형
200 디지털교과서 활용 영어과 프로젝트학습 모형 사례
201 - 디지털교과서를 만나다
210 - 디지털교과서 활용 수업, 교사에게 묻다
212 - 디지털교과서 활용 수업, 학생에게 묻다
216 - 디지털교과서 활용 영어과 수업의 유의점과 팁
218 - 영어 수업에 유용한 스마트도구들
220 디지털교과서 활용 영어과 수업 시나리오

저자소개

고득환 (지은이)    정보 더보기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수학교육학 석사학위를 받았다. 지금은 영선 중학교에서 수학과목을 가르치고 있으며 디지털교과서 연구학교 연구 부장이다. 한국교육개발원 진로인성프로그램과 학부모정보제공프로 그램을 개발했다. 농산어촌 전원학교 유공교원 교육과학기술부장관 상, 학생 통계대회지도 통계청장상을 받았다.
펼치기
김민진 (지은이)    정보 더보기
전북대학교 사범대학 사회교육학부를 졸업했다. 지금은 영선중학교에 서 사회과목을 가르치며 인문사회 영재학급을 운영하고 있다.
펼치기
김철강 (지은이)    정보 더보기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화학교육학 석사학위를 받았다. 지금은 영선 중학교에서 과학과목을 가르치고 있다. 발명교육을 통해 동아리를 운 영하고 각종대회에 참여해 특허청장상, 한국전문대학교육협의회장 상, 교육장상 8회 수상했고 환경교육을 통해 2012 과학연례컨퍼런스 녹색성장프로젝트 우수사례를 발표, 환경교육 우수교원 교육감 표창 을 받았다. 제2회 KISEF(국제과학창의대전) 진행요원을 맡았고 제4회 ICY(국제청소년학술논문대회)를 지도했다.
펼치기

책속에서

[서문]

6대의 전자칠판과 186대의 TPC, 그리고 교내 무선인터넷망은 변방의 농촌학교를 교육의 중심으로 끌어올려주는 디딤돌이 되어 주었다.

이제 ICT의 집약체라 불릴 만한 콘텐츠인 디지털교과서가 본격적으로 보급되려 한다. 디지털교과서가 본격 보급될 경우, 가장 혜택을 볼 학교는 우리 학교와 같은 소규모 농어촌학교일 것이다. 그동안 우리 학교가 쌓아온 ICT활용 경험에 디지털교과서 운영경험을 더하고 이러한 내용들을 일반화함으로써 우리 학교와 비슷한 환경의 농촌학교들의 어려운 교육여건을 혁신적으로 바꿔놓기 위해 이 책을 만들게 되었다. 우리는 『대한민국 디지털교과서』가 농촌교육에 희망을 불어넣고 언제, 어디서나, 누구나 교육의 혜택을 골고루 누릴 수 있는 미래학교의 초석을 마련하는 데 보탬이 되기를 희망한다.

우리는 이러한 일이 디지털 혼자만의 힘으로 가능하다고 생각하지 않는다. 우리 시대 석학 이어령 선생은 오늘의 시대를 디지털과 아날로그가 건강하게 역할을 나눠갖는 ‘디지로그 시대’로 규정했다. 그 중요한 키워드가 오늘 여기 교육현장에서 빛을 발하리라 믿는다.


디지털교과서를 활용한 수업은 과거의 교육방식에서 벗어나 다양한 멀티미디어 자료와 네트워크를 활용한 효과적인 수업을 지원하는 것이 목적이다. 그래서 최신의 학습 자료들을 신속하게 연계하여 제공한다. 또한 수월성·보편성에 힘입어 언제, 어디서나 보충학습 등과 같은 다양한 학습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은 물론, 기존의 아날로그 매체가 할 수 없었던 교수-학습 과정에 대한 이력관리와 상호작용 지원 등 다양한 기능과 역할을 실현할 수 있는 혁신적인 수업매체이다.


디지털교과서는 다양한 유형의 협력학습을 가능하게 하는데, 특히 시공간을 초월한 협력학습도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예를 들어 한국의 서울에 있는 학생과 싱가폴에 있는 학생이 인터넷을 이용하여 같은 소집단을 구성하고 함께 과제를 해결하는 것도 기술적으로 가능하고, 형이 진행하다 포기한 과업을 몇 년 후에 동생이 진행하여 결론을 도출하는 형태로 학습이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렇게 디지털교과서 환경에서는 기존에 생각할 수 없고 불가능하게 여겨졌던 다양한 방식의 협력학습이 가능하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