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교육학 > 교육 일반
· ISBN : 9791185057057
· 쪽수 : 232쪽
· 출판일 : 2013-11-22
책 소개
목차
디지털교과서와 아날로그교과서+고득환
011 디지털교과서 VS 아날로그교과서
014 디지털교과서가 바꾸어놓을 미래의 교실
016 디지털교과서와 학습모형들
021 스마트한 스마트도구들
디지털교과서 이렇게+과목별 활용기
과학
디지털교과서 활용 과학과 문제기반학습 모형+김철강
033 과학과 문제기반학습 모형
037 디지털교과서 활용 과학과 문제기반학습 모형 사례
038 - 디지털교과서를 만나다
047 - 디지털교과서 활용 수업, 교사에게 묻다
049 - 디지털교과서 활용 수업, 학생에게 묻다
055 - 디지털교과서 활용 과학과 수업의 유의점과 팁
058 - 과학 수업에 유용한 스마트도구들
060 디지털교과서 활용 과학과 수업 시나리오
디지털교과서 활용 과학과 탐구학습 모형+박홍제
075 과학과 탐구학습 모형
078 디지털교과서 활용 과학과 탐구학습 모형 사례
079 - 디지털교과서를 만나다
088 - 디지털교과서 활용 수업, 교사에게 묻다
089 - 디지털교과서 활용 수업, 학생에게 묻다
094 - 디지털교과서 활용 과학과 수업의 유의점과 팁
100 - 과학 수업에 유용한 스마트도구들
101 디지털교과서 활용 과학과 수업 시나리오
사회
디지털교과서를 활용한 사회과 프로젝트학습 모형+이재환
119 사회과 프로젝트학습 모형
121 디지털교과서 활용 사회과 프로젝트학습 모형 사례
122 - 디지털교과서를 만나다
128 - 디지털교과서 활용 수업, 교사에게 묻다
130 - 디지털교과서 활용 수업, 학생에게 묻다
136 - 디지털교과서 활용 사회과 수업의 유의점과 팁
137 - 사회 수업에 유용한 스마트도구들
139 디지털교과서 활용 사회과 수업 시나리오
디지털교과서를 활용한 사회과 커뮤니케이션학습 모형+김민진
155 사회과 커뮤니케이션학습 모형
157 디지털교과서 활용 사회과 커뮤니케이션학습 모형 사례
158 - 디지털교과서를 만나다
161 - 디지털교과서 활용 수업, 교사에게 묻다
164 - 디지털교과서 활용 수업, 학생에게 묻다
170 - 디지털교과서 활용 사회과 수업의 유의점과 팁
172 - 사회 수업에 유용한 스마트도구들
174 디지털교과서 활용 사회과 수업 시나리오
영어
디지털교과서를 활용한 영어과 프로젝트학습 모형+설정철
195 영어과 프로젝트학습 모형
200 디지털교과서 활용 영어과 프로젝트학습 모형 사례
201 - 디지털교과서를 만나다
210 - 디지털교과서 활용 수업, 교사에게 묻다
212 - 디지털교과서 활용 수업, 학생에게 묻다
216 - 디지털교과서 활용 영어과 수업의 유의점과 팁
218 - 영어 수업에 유용한 스마트도구들
220 디지털교과서 활용 영어과 수업 시나리오
책속에서
[서문]
6대의 전자칠판과 186대의 TPC, 그리고 교내 무선인터넷망은 변방의 농촌학교를 교육의 중심으로 끌어올려주는 디딤돌이 되어 주었다.
이제 ICT의 집약체라 불릴 만한 콘텐츠인 디지털교과서가 본격적으로 보급되려 한다. 디지털교과서가 본격 보급될 경우, 가장 혜택을 볼 학교는 우리 학교와 같은 소규모 농어촌학교일 것이다. 그동안 우리 학교가 쌓아온 ICT활용 경험에 디지털교과서 운영경험을 더하고 이러한 내용들을 일반화함으로써 우리 학교와 비슷한 환경의 농촌학교들의 어려운 교육여건을 혁신적으로 바꿔놓기 위해 이 책을 만들게 되었다. 우리는 『대한민국 디지털교과서』가 농촌교육에 희망을 불어넣고 언제, 어디서나, 누구나 교육의 혜택을 골고루 누릴 수 있는 미래학교의 초석을 마련하는 데 보탬이 되기를 희망한다.
우리는 이러한 일이 디지털 혼자만의 힘으로 가능하다고 생각하지 않는다. 우리 시대 석학 이어령 선생은 오늘의 시대를 디지털과 아날로그가 건강하게 역할을 나눠갖는 ‘디지로그 시대’로 규정했다. 그 중요한 키워드가 오늘 여기 교육현장에서 빛을 발하리라 믿는다.
디지털교과서를 활용한 수업은 과거의 교육방식에서 벗어나 다양한 멀티미디어 자료와 네트워크를 활용한 효과적인 수업을 지원하는 것이 목적이다. 그래서 최신의 학습 자료들을 신속하게 연계하여 제공한다. 또한 수월성·보편성에 힘입어 언제, 어디서나 보충학습 등과 같은 다양한 학습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은 물론, 기존의 아날로그 매체가 할 수 없었던 교수-학습 과정에 대한 이력관리와 상호작용 지원 등 다양한 기능과 역할을 실현할 수 있는 혁신적인 수업매체이다.
디지털교과서는 다양한 유형의 협력학습을 가능하게 하는데, 특히 시공간을 초월한 협력학습도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예를 들어 한국의 서울에 있는 학생과 싱가폴에 있는 학생이 인터넷을 이용하여 같은 소집단을 구성하고 함께 과제를 해결하는 것도 기술적으로 가능하고, 형이 진행하다 포기한 과업을 몇 년 후에 동생이 진행하여 결론을 도출하는 형태로 학습이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렇게 디지털교과서 환경에서는 기존에 생각할 수 없고 불가능하게 여겨졌던 다양한 방식의 협력학습이 가능하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