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동양철학 > 한국철학 > 한국철학 일반
· ISBN : 9791185134338
· 쪽수 : 480쪽
· 출판일 : 2016-05-04
책 소개
목차
제1부 신분의 질곡에서 우뚝 선 진유
역경 속의 진유(眞儒), 구봉 송익필 (황의동)
구봉 송익필의 학문사상과 한국유학사에서의 위상 (최영성)
전설로 구현된 송구봉의 인물상과 그 의의 (황인덕)
제2부 성리학과 예학의 길 닦기
송익필의 『태극문』 논변 (곽신환)
구봉 송익필의 철학사상 (성태용)
구봉 송익필의 예학사상 (한기범)
구봉 송익필의 도학적 수기론 (김창경)
제3부 문학과 서예의 미학
구봉 송익필의 생애와 문학세계 (강구율)
구봉의 시 세계 (임준성)
『비선귀봉선생시집』의 비평에 대하여 (이향배)
구봉의 서예연구 (정태희)
제4부 구봉의 학문적 교유
『삼현수간』을 통해 본 구봉.율곡.우계의
도의지교(道義之交)와 학문교유 (김창경)
우계와 구봉 송익필
-교우 관계를 중심으로 (최영성)
구봉과 우계의 도의(道義)실천 연구
-「은아전」을 중심으로- (김창경)
부 록: 구봉 송익필선생 연보(年譜)
저자소개
책속에서
이 책에는 송익필의 생애와 철학사상에 대하여, 한국유학사상사의 큰 맥락에서 전체적으로 개관한 황의동 교수의 연구논문을 필두로 하고 있다. 이어서 송익필 성리학 가운데 우암 송시열을 위시해서 율곡의 작품이냐 아니냐는 논란이 있었던 송익필의 「태극문」에 관하여 곽신환 교수가 학계 최초로 밝힌 연구논문과, 율곡의 ‘인심도심론’은 미비한 것이라고 설파한 송익필의 ‘인심도심론’에 관한 성태용 교수의 연구논문이 실렸다. 그리고 송익필예학의 조선예학사에서의 위상과, 기호예학사에서의 위상을 밝힌 한기범 교수의 예학연구논문이 실려 있다. 또한 학문의 경지만큼이나 비범했던 송익필의 남다른 삶에 대한 수많은 구전설화를 황인덕 교수가 처음으로 정리하고 밝힌 논문이 실려 있으며, 율곡과 우계와 평생토록 학문과 우정의 도의지교를 나눈 송익필의 도학사상에 관련하여 최영성 교수와 김창경 교수의 연구논문이 실려 있다. 그리고 당대 팔문장가였던 문장만큼이나 유명한 송익필의 서예에 관하여 학계 최초로 밝힌 정태희 교수의 연구논문이 실려 있다. 송익필 문학세계에 관하여 강구율 교수와 임준성 교수의 연구논문이 있으며, 죽서 심종직이 송익필의 시 가운데 여러 편을 뽑아 만든 『비선구봉시선집』에 관한 이향배 교수의 학계 최초 연구논문도 실려 있다.
무엇보다 이 책은 구봉 송익필의 학문과 사상에 관한 연구논문 글들을, 종합적이며 체계화하여 엮은 글 모음집으로 그 첫 번째로 출간되는 책이기에 의미가 크다. 아울러 그동안 한국유학사에서 소외되어진 송익필의 학문사상에 대한 전문적인 연구 결과물이기에, 앞으로 그의 한국유학사에서의 학문적 위상에 대한 재정립을 기대해 볼 수 있다. 또한 기호유학에서 김장생의 학문적 사승관계에 관한, 송익필과 율곡과의 관계에 대한 연구 등에 관련하여 보다 새롭고 깊이 있는 연구발전에 큰 영향을 가져올 것이라는 점에서 주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