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동양철학 > 한국철학 > 한국철학 일반
· ISBN : 9791185134444
· 쪽수 : 455쪽
· 출판일 : 2018-01-31
책 소개
목차
발간사 5
제1부 우계학파의 전개와 그 특성
우계학파의 형성과 그 특징 (김경수)
우계 성혼과 우계학파의 위상 (최영성)
조선 사상사에서 우계학파의 위상 (고영진)
우계 성혼 문인 조사에 의한 우계학 계승성 연구 (이형성)
우계 성리학의 두 흐름 (손흥철)
우계학파의 양명학 (김세정)
우계학파의 무실사상 (황의동)
제2부 우계학문의 연원과 사상
우계사상의 연원과 계승 (오종일)
우계학파 중봉 조헌의 의리사상 (오석원)
우계 성혼의 ‘『위학지방』’의 공부법 (김문준)
우계의 우환의식과 경세사상 (조남욱)
파산서원의 창건·변천과 파주사족의 동향 (이해준)
부록: 우계 성혼선생 연보
저자소개
책속에서
율곡 직계계열은 영남 퇴계학파와의 성리논쟁에 주력하느라, 율곡철학의 중요한 정신인 무실(務實)정신을 망각한 측면이 없지 않다. 이에 반해 우계학파는 오히려 우계, 율곡이 강조해 온 무실학풍을 계승하고 진작해 왔다고 평가된다.
그렇지만 우계학파 그리고 이를 계승한 조선 양명학파의 무실학풍은 실심(實心), 실천(實踐), 실덕(實德)이라는 내실(內實)로서의 무실(務實)학풍에 머무른 한계를 보여 준다. 즉 율곡이나 조선 후기 실학파들에게서 볼 수 있는 경세적(經世的) 실학풍은 보이지 않는다. 그러나 이들의 무실학풍이 조선 후기 실학은 물론이고 양명학, 한말 개화사상에까지 미친 영향은 의미 있다 할 것이다.
- 황의동의 논문 중에서 -
조선 후기 유학사에서 학계의 주목을 받지 못했음에도 불구하고, 간과할 수 없는 큰 흐름의 학파가 있다. ‘우계학파’ 혹은 ‘소론파 유학’이 그것이다. 우계학파는 고려 말 성리학의 정맥인 정몽주-길재-이색을 이었고, 조선건국 이후에는 김종직-김굉필-조광조의 계통을 계승하였다.
- 김경수의 논문 중에서 -
우계학파가 조선 후기 사상사에 남긴 족적과 영향은 크고도 넓다. 율곡의 후예들은 집권한 뒤 율곡이 보여 주었던 진보적 개혁적 성격을 지키지 못하고 보수화하여, 주자교조주의의 경직된 길로 흘렀다. 이에 비해 우계의 후예들은 보수적 색채를 많이 덜어내고, 개방적이고 자율적인 성격으로 탈바꿈하면서 조선 후기 사상계를 다변화하는 데 앞장섰다.
- 최영성의 논문 중에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