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봉우일기 4

봉우일기 4

권태훈 (지은이), 정재승 (옮긴이)
책미래
35,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31,500원 -10% 0원
1,750원
29,75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봉우일기 4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봉우일기 4 
· 분류 : 국내도서 > 에세이 > 한국에세이
· ISBN : 9791185134666
· 쪽수 : 712쪽
· 출판일 : 2022-05-06

책 소개

1950년대 초반 전쟁으로 모든 것이 어지러운 한국사회의 정황 속에서도 양심을 잃지 않고 올바른 삶을 지향해 나가며 당시의 정치, 경제, 사회, 문화적 문제들을 진단하고 풀어 가는 한 지식인이자, 단군사상가, 민족운동가인 봉우 권태훈 선생의 치열한 현실보고와 내면의 다양한 정신세계를 담고 있다.

목차

서문: 《봉우일기(鳳宇日記) 4권》을 펴내며 11
1953년(癸巳)
4-1 신년(新年: 새해) 원단(元旦)에 내 사적으로 바라는 바 24
4-2 계사년(癸巳年: 1953년) 원단(元旦)을 맞이하며 27
4-3 수필: 선조 위하는 정성이 부족하여 생긴 몽사(夢事) 36
4-4 수필: 계사년두(癸巳年頭)의 제반 현실을 기록함 39
4-5 제4회 충청남도 교육위원회에 참석한 내 소감 43
4-6 차기(주권자) 대상(對象) 인물평 47
4-7 수필: 아무리 힘들어도 이념 완수의 길로 매진하자 51
4-8 불모고지(不毛高地)에서 후퇴의 보(報: 알림)를 듣고 54
4-9 수필: 내가 군사참모였다면 - 6.25전략론 57
4-10 전통 약방문 1 63
4-11 소위 농촌운동이라는 것을 보고 내 소감 66
4-12 가아(家兒) 영조(寧祖)의 귀가(歸家)를 보고 69
4-13 도교육위원회 재소집의 보(報)를 듣고 71
4-14 판문점회담이 재개된다는 소식을 듣고 74
4-15 수필: 우리 동지들의 인물평 76
4-16 수필: 1953년 3월 초하루의 불길한 해무리 천상(天象) 80
4-17 성재(省齋) 이시영(李始榮)선생을 경조(敬弔)함 83
4-18 수필: 세계역사상 손색없는 우리나라 인물평 86
4-19 해공 옹(海公翁)의 시국강연을 듣고 내 소감 89
4-20 수필: 우리가 탄 배가 나루에 멀지 않다 93
4-21 충남 문정과(文政課) 문화계장 김재위 씨에게 제15회 올림픽기행문을 기증 받고 일람(一覽) 후 내 소감 97
4-22 농촌생활고(農村生活苦)를 보고 100
4-23 안빈낙도(安貧樂道)와 홍익인간(弘益人間) 이념의 실현 103
4-24 수필: 역사에 가리워진 우리 고대문화 111
4-25 판문점회담에서 새나오는 소식을 풍문(風聞: 바람결에 들음)하고 119
4-26 연정원 동지와 선배들의 금석(今昔: 지금과 옛날) 121
4-27 수필: 자유당 제2차 전당대회에 참석하고 124
4-28 부산여행 중 소견(所見), 소문(所聞)의 일단(一端) 128
4-29 부산에서 단편적으로 들은 이야기를 종합해서 본 것 - 순서 없이 생각나는 대로 종합해 보는 것 150
4-30 부산에서 귀가하며 첫 소식이 가아(家兒: 아들)의 전상(戰傷)의 보(報)를 듣고 153
4-31 유석(維石: 조병옥)의 피습(被襲)의 보(報)를 듣고 155
4-32 최주남(崔周南) 선생 초대면(初對面) 인상기(印象記) 157
4-33 수필: 미소(美蘇)가 우리를 자립 못하게 하나 민족의 자각이 제일 필요하다 161
4-34 신태영(申泰英) 국방장관의 사임(辭任)을 보고 164
4-35 수필: 충남지사에게 고적(古蹟) 보존을 요청하다 167
4-36 가아(家兒) 영조를 병원으로 보내며 169
4-37 국산장려회의 발족을 보고 내 소감 172
4-38 내가 본 농촌 - 금석상(今昔狀: 지금과 옛날의 모습)의 실정(實情) 178
4-39 수필: 나의 독서기(讀書記) 182
4-40 공주읍에서 장이석(張履奭) 씨를 만나고 내 소감 187
4-41 최일중(崔一中) 선생을 재오(再晤: 다시 만남)하고 내 소감 192
4-42 붕구(朋舊: 벗)들의 소식이 상조(相阻: 서로 멀어짐)되어
시시(時時: 때때)로 정○의의지회(停○依依之懷: ○을 멈추고 헤어져 서운한 심회)를 불금(不禁: 금치 못함)하며 195
4-43 사적으로 내가 금년 내에 준비할 제조건(諸條件) 199
4-44 가아(家兒: 아들)의 서신을 받고 201
4-45 부산여행을 임시 중지하고 202
4-46 약간의 식량을 준비하고 205
4-47 송덕삼(宋德三) 동지의 답서(答書)를 받고 207
4-48 6.25 정전조인(停戰調印) 소서(小敍) 210
4-49 무단(無斷: 갑자기)히 신체의 피로가 심하다 211
4-50 최승천(崔乘千) 동지의 구검(拘檢: 구속)의 보(報: 소식)을 듣고 213
4-51 한의석(韓義錫) 동지를 억(憶: 생각함)하며 216
4-52 무의(無意)한 근일(近日) 내 생애 219
4-53 고우(故友: 세상 떠난 벗) 남주희(南冑熙) 군을 추억하며 223
4-54 수필: 내가 8세 때에 부모님이 하시던 말씀 227
4-55 계사년(癸巳年: 1953년) 음력 6월의 대소(大小)를 서로 주장하는 것을 보고 232
4-56 속보법(速步法)을 실천해 보겠다고 온 청년을 보고 233
4-57 대인(待人: 기다리는 사람)은 아니오고 한객(閑客)이 내방(來訪) 234
4-58 영조를 보내며 236
4-59 박헌영(朴憲永) 외 10여 명에게 김일성이 사형을 선고하였다는 신문기사를 보고 238
4-60 차종환(車宗煥) 동지를 평해 보자 240
4-61 단순한 농촌 생애(生涯) 243
4-62 휴전조인이 되고 정치회담이 앞으로 어찌 되는가 247
4-63 8.15 광복절 기념식에 참석하고 251
4-64 개헌추진 면민(面民)대회에 참석하고 253
4-65 국민회(國民會) 도지부장 선거차로 대전을 가라는 통지를 받고 257
4-66 민심계도자(民心啓導者) 대회에 참석하라는 통지를 받고 259
4-67 속보법(速步法) 경험을 설명하며 내 소감 262
4-68 신현달 군과 이무영(李務榮) 군의 내방(來訪)을 보고 264
4-69 6.25사변 후 생사존몰(生死存沒)을 부지(不知)하는
정 동지(鄭同志)를 추억하며 266
4-70 추우(秋雨: 가을비) 270
4-71 당동이불능동(當動而不能動: 마땅히 움직여야 하나
움직일 수 없는)인 내 근일 입장 272
4-72 〈고우(故友) 문수암(文受庵)을 추억한다〉 추기(追記) 276
4-73 수필: 진퇴(進退)의 분기점에서 산란한 내 마음 278
4-74 습유(拾遺: 보충함): 답하동인군(答河東仁君: 하동인군에 답함) 282
4-75 심인경(心印經) 편독(便讀: 집중해 읽음. 遍讀, 偏讀) 286
4-76 기회와 운명 292
4-77 장차 성진(聖眞)이 출세(出世)하실 것 같다 297
4-78 구일(舊日: 옛날) 우리들의 가정(家庭) 300
4-79 사면초가(四面楚歌) 308
4-80 양 장관(兩長官) 파면의 보(報)를 듣고 310
4-81 감원(減員) 선풍(旋風: 회오리바람) 314
4-82 백한성 씨의 내무장관 임명을 듣고 316
4-83 김선태(金善太) 씨 대면(對面) 인상기(印象記) 318
4-84 최주남(崔周南) 일중(一中) 선생 인상기 321
4-85 석산(石山)의 호설(號說)을 보고 325
4-86 중추월(中秋月) 327
4-87 수필: 사불가역도(事不可逆睹)라, 삼가고 조심하라. 331
4-88 내가 부산을 가고자 하는 이유 333
4-89 부채정리가 신용복구에 중대문제 335
4-90 수필: 대전, 부산, 정읍여행 337
4-91 수필: 난장(亂場) 소감 340
4-92 가아(家兒)의 보직 받은 소식을 듣고 내 소감 342
4-93 민족분열의 요소(要素)인물들을 규정(規正)해서
〈정경신보(政經新報)〉에 보도함을 보고 345
4-94 수필: 무사분주(無事奔走)한 1953년 348
4-95 가색(稼穡: 곡식을 심고 거두는 일)에 분망한 농촌 350
4-96 양우정(梁又正) 군의 피검(被檢: 수사기관에 구속됨)을 듣고 353
4-97 수필: 호사위루(好事爲累) 357
4-98 경제문제를 어찌 해결할 것인가 359
4-99 내 생활 상태는 현상이 어떠한가 369
4-100 충현서원 내 모현계(慕賢契) 부계장(副契長)의
망점(望佔:추천)을 받고 372
4-101 곡앵(谷鶯: 골짜기 꾀꼬리)의 감원처분 당함을 듣고 374
4-102 순국열사(殉國烈士)의 이름 377
4-103 수필: 알면서 행하지 않음을 스스로 경계하고 조심함 386
4-104 가정부업으로 방적(紡績: 섬유를 가공하여 실을 뽑는 것)을
경영하자면 390
4-105 송덕삼(宋德三) 동지의 서신(書信)을 보고 393
4-106 이용환(李勇桓)의 내신(來信: 온 편지)을 보고 396
4-107 ‘유엔 데이’를 객중(客中)에서 맞이하고
내 소감의 일부를 추기(追記)함 398
4-108 가정정리를 하자면 402
4-109 택불처인언득지(擇不處仁焉得知) 405
4-110 우리가 살고 있는 이 상신리에는 무엇을 해서
농촌경제를 확보할까? 411
4-111 종질(從姪: 사촌형제의 아들, 오촌)
혼사(婚事)에 참석하고 내 소감 416
4-112 하동인 군의 내방(來訪: 찾아옴)을 제(際: 접함)하여 419
4-113 서울여행 중 소견(所見) 가지가지 421
4-114 지족(知足)과 부지족(不知足)의 분기점에서 방황하는 모동지(某同志)를 보고 427
4-115 이영구(李永九) 군의 서신을 보고 430
4-116 송사(松士)를 심방(尋訪)하고 432
4-117 수필: 요즘 나의 신체쇠약상과 회복문제 436
4-118 휴전 중 우리는 무엇을 기대하는가 440
4-119 수필: 무제(無題) 448
4-120 외국의 불간섭이라면 남북총선도 찬성하겠다는 이 대통령의 담화를 듣고 451
4-121 허송세월된 나의 금년을 회고함 454
4-122 수필: 내가 요즘 분주한 원인 458
4-123 수필: 쌓인 눈 다 녹도록 봄소식 알지 못하네 460
4-124 공주교육감 선거전을 보고 463
4-125 수필: 1954년 1월 23일을 무사히 경과함 467
4-126 민의원 선거를 앞두고 내 입장과 내 심정 470
4-127 근일 의외로 동중(洞中: 동네)에 화재가 빈발함을 보고 472
4-128 수필: 근일 곤경에 빠진 내 사정 473
4-129 수필: 상석하대(上石下臺) 474
4-130 역서(曆書)의 남발(濫發) 477
4-131 공주교육구 서무과장 정진 씨의 독촉을 받고 480
4-132 계사년(癸巳年: 1953년)을 회고하며 482
4-133 계사년(癸巳年: 1953년)을 보내며 486
4-134 계사년 대회일(大晦日: 그믐)날 동인(洞人: 동네사람)들의 원단(元旦) 세배를 받으며 내 소감 489
1954년(甲午)
4-135 공적, 사적으로 다망(多望: 소망하는 바가 많음)한 갑오년(甲午年: 1954) 원단(元旦)을 맞이하며 494
4-136 갑오원단기몽(甲午元旦記夢: 1954년 새해 첫날 꿈을 기록함) 504
4-137 이 책자를 끝마치며 내 소감 508
4-138 갑오년(甲午年: 1954년) 칠십이국(七十二局) 512
4-139 <신야한담(莘野閑談)> 머리글 515
4-140 조춘(早春: 이른 봄)을 맞이하며 519
4-141 우스운 내 생조(生朝: 생일) 자축(自祝) 522
4-142 서울 객중음병(客中吟病: 객지에서 병을 앓음)하며 524
4-143 난마(亂麻: 얽힌 실 가닥) 같은 나의 근일 사정 526
4-144 공주 갑구(甲區)에서 민의원 선거에 출마 예정평을 받는 인사들의 편모(片貌: 한 면의 모습) 529
4-145 공주 교육구 교육감 재추천을 위요(圍繞: 둘러쌈)하고 552
4-146 공주교육감 추천 경과를 보고 내 소감 557
4-147 희우(喜雨: 가뭄 끝에 내리는 반가운 비) 559
4-148 성추(省楸: 성묘) 후 소감(所感) 562
4-149 공주 민의원선거 정견발표 567
4-150 5.20선거 발표를 보고 575
4-151 수부(壽府: 제네바) 회담에서의 한국문제 578
4-152 충남 도교육위원 임기만료 소감 581
4-153 우리 가족의 최저생활을 확보하자면 583
4-154 수필: 무사분망(無事奔忙) 경과사(經過事) 586
4-155 변영태(卞榮泰) 군이 국무총리 인준(認准: 승인비준)을 받다 589
4-156 국무원(國務院) 신임투표 부결을 보고 592
4-157 언제 연정원은 갱생하나 594
4-158 변 총리가 상공장관을 경질하고 재인준을 민의원에 청하다 602
4-159 국무원 재인준 표결안이 상정(上程)하기로 결정되다 605
4-160 중공의 유엔 가입문제를 둘러싸고 각국의 동향 606
4-161 습유(拾遺: 빠진 글을 뒤에 보충함) - 제용호결후(題龍虎訣後: 용호결 뒤에 붙임) 609
4-162 습유(拾遺)2: 대학장구존의(大學章句存疑: 대학장구에 의문을 가짐) 612
4-163 습유(拾遺)3: 용호결미첨서(龍虎訣尾添書: 용호결 끝에 글을 더함) 615
4-164 국무원 재신임 투표결과를 보고 619
4-165 연정원(硏精院) 호흡요강(呼吸要綱) 623
4-166 연정요강(硏精要綱) 627
4-167 호흡법연정요강(呼吸法硏精要綱) 631
4-168 호흡법연정요강(呼吸法硏精要綱) 마금말(마감하는 말) 637
4-169 소년 동창(同窓) 송철헌 동지를 30여 년 만에 상봉하고 644
4-170 인지(印支: 인도지나印度支那) 휴전은 성립되다 647
4-171 남북통일 문제를 위요(圍繞: 둘러쌈)한 선결조건 651
4-172 이 대통령 각하의 방미(訪美) 행각을 보고 665
4-173 박하성(朴河聖) 동지를 방문하고 673
4-174 연정최요결(硏精最要訣)이 무엇인가 677
4-175 내 생애에 부채만 없다면 681
4-176 장림고(長霖苦: 오랜 장마의 고통) 684
4-177 이 대통령의 방미(訪美) 첫소리 중계방송을 듣고 687
찾아보기 692

저자소개

권태훈 (지은이)    정보 더보기
단기(檀紀) 4233년(1900년) 서울 재동(齋洞)에서 태어났다. 소설 《단(丹)》의 실존 주인공으로, 6세 때부터 정신수련을 시작했으며 19세 되던 해 당대 도계(道界)의 거인(巨人) 김일송(金一松) 선생으로부터 우리 민족의 정신수련법을 전수받았다. 《단(丹)》, 《백두산족에게 고함》, 《천부경의 비밀과 백두산족 문화》, 《민족비전 정신수련법》 등의 책들을 통해 우리 민족 고유의 사상과 뿌리, 정신수련법을 알리고 가르쳐 왔으며, 민족의 뿌리찾기와 후학양성에 힘쓰다가 1994년 95세로 환원(還元)하였다. 선도(仙道)정신수련단체인 연정원(硏精院) 총재, 독립투사 나철(羅喆) 선생이 중광(重光)하신 민족종교 대종교(大倧敎) 총전교, 유교인(儒敎人)들의 단체인 사단법인 유도회(儒道會) 이사장 등을 역임하였다.
펼치기
정재승 (옮긴이)    정보 더보기
단기 4291년(1958년) 대전에서 태어났다. 봉우 선생님 문하에서 한민족 고유의 정신철학 및 심신수련법을 수학했다. 봉우 선생님 생존 시에 저술(著述) 자료와 구술(口述) 자료들을 통해 《백두산족에게 고함》, 《천부경의 비밀과 백두산족 문화》, 《민족비전 정신수련법》 등 3권의 책을 봉우 선생님의 지도하에 엮어 펴냈고, 봉우 선생님께서 돌아가신 뒤에도 유고집 《봉우일기 1, 2, 3, 4, 5권》, 대담・강연집 《선도공부》, 《봉우 선생의 선仙 이야기 1, 2, 3권》, 일화집 《세상속으로 뛰어든 신선》, 논문집 《봉우선인의 정신세계》 등을 펴냈으며, 봉우 선생님의 가르침을 따라 한민족의 기원을 탐사한 《일만년 겨레얼을 찾아서》, 《바이칼, 한민족의 기원을 찾아서》도 엮어 펴냈다. 봉우사상연구소(www.bongwoo.org) 소장.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