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철학 일반 > 철학사
· ISBN : 9791185152523
· 쪽수 : 802쪽
· 출판일 : 2016-08-24
책 소개
목차
역자 서문
서론
제1부 희랍 철학
희랍 철학의 가정들
I 소크라테스 이전 철학
1 밀레토스 학파
2 피타고라스주의자들
3 파르메니데스와 엘레아 학파
4 헤라클레이토스에서 데모크리토스까지
A) 헤라클레이토스│B) 엠페도클레스│C) 아낙사고라스│D) 데모크리토스
II 소피스트들과 소크라테스
1 소피스트들
2 소크라테스
III 플라톤
1 이데아
2 실재의 구조
3 이데아론에 의해 생겨난 문제들
4 시민과 도시 정체
5 철학
IV 아리스토텔레스
1 앎의 층위들
2 형이상학
3 존재의 양상들
4 실체
5 논리학
6 자연학
7 영혼론
8 윤리학
9 정치학
V 지혜로운 인간의 이상
1 소크라테스 전통의 윤리 철학들
A) 퀴니코스 학파│B) 퀴레네 학파
2 스토아주의
3 에피쿠로스주의
4 회의주의와 절충주의
VI 신플라톤주의
제2부 기독교
기독교와 철학
I 교부학
II 성 아우구스티누스
1 생애와 품성
2 철학
3 성 아우구스티누스의 의의
제3부 중세 철학
I 스콜라주의
1 이행의 시기
2 스콜라주의의 특징
II 중세의 중심 주제들
1 천지창조
2 보편자들
3 로고스
III 중세 철학자들
1 스코투스 에리게나
2 성 안셀무스
3 12세기
4 동방의 철학자들
A) 아랍 철학│B) 유대 철학
5 13세기의 정신세계
6 성 보나벤투라
7 아리스토텔레스적 스콜라학
A) 성 알베르투스 마그누스│B) 성 토마스 아퀴나스
8 로저 베이컨
9 에스파냐에서의 기독교적 철학
10 둔스 스코투스와 윌리암 오캄
A) 둔스 스코투스│B) 윌리암 오캄
11 마이스터 에크하르트
12 중세 철학의 마지막 국면
제4부 근대 철학
르네상스
I 르네상스의 세계
1 정신적 배경들
2 인문주의 사상
II 근대 철학의 시작
1 니콜라우스 쿠자누스
2 조르다노 브루노
3 근대의 자연학
4 에스파냐의 스콜라주의
17세기 관념론
I 데카르트
1 데카르트 문제
2 인간
3 신
4 세계
5 이성주의와 관념론
II 프랑스에서의 데카르트주의
1 말브랑슈
2 종교 사상가들
III 스피노자
1 형이상학
2 윤리학
3 생존 욕구로서의 존재
IV 라이프니츠
1 라이프니츠의 철학적 상황
2 라이프니츠 형이상학
3 인식론
4 변신론
경험주의
I 영국 철학
1 프란시스 베이컨
2 홉스
3 이신론
4 로크
5 버클리
6 흄
7 스코틀랜드 학파
II 계몽주의
1 프랑스 계몽주의
A) 백과전서│B) 루소
2 독일 계몽주의
3 역사에 관한 비코의 학설
4 에스파냐의 계몽주의 철학자들
III 근대의 형성
1 철학과 역사
2 이성주의 국가
3 종교개혁
4 근대적 사회
A) 지적 생활│B) 사회적 변화
5 신의 상실
독일 관념론
I 칸트
* 칸트의 학설
1 초월론적 관념론
2 순수 이성 비판
A) 판단들│B) 공간과 시간│C) 범주들│D) 전통 형이상학 비판
3 실천 이성
* 칸트 철학의 문제들
1 칸트 철학에 대한 해석들
2 인식론
3 존재
4 철학
II 피히테
1 피히테의 형이상학
2 피히테의 관념론
III 셸링
IV 헤겔
1 헤겔 철학의 개요
2 정신 현상학
3 논리학
4 자연 철학
5 정신 철학
V 낭만주의 시대의 사상
1 문예 운동들
2 역사학파
3 슐라이어마허와 종교 철학
4 관념론에서 도출된 사상들
5 쇼펜하우어
19세기 철학
I 감각론에 대한 승리
1 멘 드 비랑
2 유심론
II 콩트의 실증주의
1 역사
2 사회
3 과학
4 실증주의의 의의
III 실증주의에서 영감을 얻은 철학
1 프랑스의 사상가들
2 영국 철학
3 독일에서의 실증주의 시기
IV 생의 발견
1 키르케고르
2 니체
V 전통 형이상학으로의 귀환
1 첫 시도들
2 알퐁스 그라트리
제5부 현대 철학
I 브렌타노
1 철학사에서 브렌타노의 위치
2 심리학
3 윤리학
4 신의 현존
II 생의 이념
1 딜타이
2 지멜
3 베르그손
4 블롱델
5 우나무노
III 영미 철학
1 프래그머티즘
2 인격주의
3 그 밖의 동향들
IV 후설의 현상학
1 이념적 대상들
2 의미들
3 분석적인 것과 종합적인 것
4 의식
5 방법론이자 관념적 논제로서의 현상학
6 현상학적 철학
V 가치론
1 가치의 문제
2 셸러
3 하르트만
VI 하이데거의 실존 철학
1 존재의 문제
2 현존재 분석
3 ‘실존주의’
VII 오르테가와 생적 이성의 철학
1 오르테가의 품성
2 오르테가 철학의 탄생
A) 관념론 비판│B) 발견의 국면들
3 생적 이성
4 인간의 생
5 역사적이고 사회적인 생
후주
참고문헌
찾아보기
리뷰
책속에서
종교, 예술 그리고 철학은 인간에게 실재 전반에 관한 총체적인 확신을 준다. 그러나 본질적인 차이점이 없지는 않다. 종교는 인간에 의해 수용되고 신에 의해 무상으로 주어진, 하나의 확실성이다. 그것은 계시된 것이다. 인간은 이러한 확실성을 스스로 성취하지 않는다. 즉 인간은 그것을 쟁취하지 않는다. 그 확실성은 인간이 직접 만들어낸 것이 아니며, 오히려 그 반대다. 예술 또한 인간 자신의 의미를 찾게 해주는 어떤 분명한 확신을 드러내는 것이며, 그러한 확신에 근거하여 인간은 자신의 삶 전부를 해석한다. 그러나 인간이 스스로 만들어낸 이러한 신념은 그것 자체로 정당화되지 않으며 설명되지도 않는다. 그것은 자기 고유의 증거를 갖지 못한다. 간단히 말하자면, 어떻게 해서 그러한 확신이라는 귀결에 이르렀는지를 대답할 수 없다. 이와는 다르게 철학은 근본적이고 보편적이면서도 자율적인 확실성이다. 다시 말해서 철학은 스스로를 정당화한다. 그것은 자신의 타당성을 지속적으로 드러내면서 증명한다. 철학만이 입증을 추구하는 것이다. 철학은 항상 자신의 확실성의 근거를 갱신한다.
우리는 아리스토텔레스가 ‘귀납적 추론과 보편적 정의’가 소크라테스의 공헌이라고 단언적으로 말한 구절을 들 수 있다. 게다가 이 두 가지는 다름 아닌 앎의 시작과 관련되어 있다고 아리스토텔레스는 덧붙이고 있다. 소크라테스는 질문을 할 때, 이를테면 올바름이란 무엇인가를 묻는다. 그는 ‘규정’을 요구한다. 어떤 사물을 규정한다는 것은 그것의 한계를 설정하는 것이므로, 결국 그것이 무엇인지를 명시하는 것이다. 즉 그것의 본질을 명시하는 것이다. 규정은 본질로 이어지고, 단순한 안목 또는 분별로 이해되던 앎은 소크라테스의 노력을 통해 사물들이 무엇인가를 말하게끔 하고 그것들의 본질을 발견하게 하는, 어 떻게 규정하는가에 대한 새로운 앎으로 이어진다. 이 지점부터 소크라테스 사유가 가진 풍부함이 펼쳐지고, 진리에 대한 탐구로 나아가며, 소피스트들이 외면했던 존재의 관점에 다시금 집중하게 된다. 소크라테스는 진정 사물들은 무엇인가를 말하고자 한다. 본질을 규정하는 이러한 과정은 이데아에 관한 플라톤의 이론으로 이어지는 길이다.
성 아우구스티누스의 사유는 기독교뿐만 아니라 근대 철학의 요소가 될 ‘내밀함’을 함축한다. 우리는 그의 철학이 어떻게 내적 인간에 토대를 두는지를 살펴보았다. 그는 인간에게 자기 영혼의 내면으로 들어가서 자신과 함께, 그리고 신과 함께 자기를 발견하라고 요구한다. 이는 성 안셀무스가 처음으로 배우고 그를 통해 서구의 모든 신비주의가 배우게 될 위대한 가르침이다. 아고라와 포룸의 사람들이었던 고대인을 특징짓는 외재적 세계로의 비상飛上과는 대조적으로, 아우구스티누스는 자아의 조용한 내면 속에서 자신을 찾는다. 이로써 데카르트와는 다른 가정들을 통해 도달하지만 데카르트의 코기토와 유사한 다음 언명에서, 그는 확실성의 가장 높은 기준은 자아라고 확언한다. ‘누구든지 자신이 의심하고 있다는 것을 이해하는 사람은 진정으로 이해한 것이며, 그가 이해한 이것에 대해 확신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