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서양사 > 서양근현대사
· ISBN : 9791185585246
· 쪽수 : 336쪽
· 출판일 : 2016-05-04
책 소개
목차
들어가며
I. 유니우스의 비극
II. 기독교화와 마술: 서기 1000년까지
III. 민중 신앙과 마술
IV. 권위의 확립과 이단: 대권과 대죄
V. 마녀 개념의 도약
VI.『개미 나라』
VII.『말레우스』, 악의 고전
VIII. 재판과 처형의 매뉴얼: 개념에서 실천으로
IX. 광기의 폭발
X. 마녀사냥의 쇠퇴
나가며
주석
참고문헌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한 가지 사실을 먼저 지적해야 할 것 같다. 흔히 마녀사냥을 중세 현상으로 오해하지만 사실은 근대 초에 정점을 이루었던 사건이다. 르네상스 이후 찬란한 문화의 빛이 되살아나고, 과학혁명과 계몽철학의 결과 세계에 대한 합리적 해석이 가능해졌으며, 조만간 산업혁명의 성과를 바탕으로 유럽이 세계의 패권을 장악하게 될 바로 그 시대에 그와 같은 몽매한 일들이 일어난 것이다. 우리에게 익숙한 근대 유럽의 긍정적인 측면과 마녀사냥은 전혀 별개의 현상인가? 그렇지 않다. 마녀사냥은 유럽 문명 발전의 궤적에서 한때 잠깐 일탈했던 예외적인 사건이 아니라 오히려 문명의 내부에서 필연적으로 자라나온 현상이다. 빛이 있으면 그림자가 있는 법, 근대 유럽에서는 선과 악, 정의와 불의, 신성과 마성 등이 함께 규정되었다. 이런 의미에서 유럽 문명은 마녀를 필요로 했다. 최고의 선을 확립하고 지키기 위해 최악의 존재를 발명해야 했던 것이다. 지극히 엄격한 기준을 세운 후 이를 어기는 세력을 억압하기 위해 권력을 최대한 효율적으로 동원하는 방식으로 진리를 수호하려 한다는 점에서 마녀사냥은 분명 서구 근대성의 측면을 여실히 보여준다.
_들어가며
마녀사냥의 광풍이 불면 그 누구도 안심할 수 없었다. 누구든지 마녀·마법사로 몰려 죄를 뒤집어쓰고 죽음으로 내몰릴 수 있었다. 그런 때에는 유니우스의 사례가 잘 보여주듯 사회 상층 인사들이라고 해서 안심할 일이 아니었다. 그 과정은 실로 처참하기 짝이 없다. 유니우스는 육체적 고통과 죽음의 위협에 더해 자신이 거짓으로 하느님을 부인해 사후에 영혼의 구원을 못 받지 않을까 엄청난 고뇌에 빠진 듯하다. 진실과 다른 말을 할 수밖에 없었던 유니우스는 자신의 내면의 이야기를 고해하기 위해 신부를 만나게 해달라고 부탁했지만 재판관으로 봉직하는 '박사님들'은 그것마저 거부했다. 대신 자백의 기미를 보이자 하루 말미를 주었을 뿐이다. 유니우스는 딸에게 자신이 처한 사정을 이야기하는 동시에 자기 영혼의 진실한 고백을 기록으로 남기려 했다. 자신이 할 수 없이 하느님을 부인하게 된 사정을 이런 식으로라도 간접적으로 세상에, 그리고 하느님 앞에 밝히고 싶었던 것 같다.
_Ⅰ. 유니우스의 비극
그러나 정말로 모든 사람들이 그렇게 믿은 것은 아니라는 사실 또한 확인할 수 있다. 아이러니하게도 고문 집행관의 말에서 그 점을 읽을 수 있다. 재판에 끌려오면 설사 무고한 사람이라 하더라도 꼼짝없이 마녀의 죄를 뒤집어쓰게 된다는 것을 그는 분명하게 인식하고 있고, 또 그 사실을 유니우스에게 말해 주며 차라리 빨리 자백하라고 권한다. 적어도 그는 이 재판이 결코 공평정대하지 않으며, 고문을 통해 허위로 죄를 조작하고 있다는 점을 알고 있다. 그러면서도 그는 이 악랄한 거짓의 무대에서 자신이 맡은 역할을 충실히 수행하는 중이다. 이야말로 설명하기 힘든 모순이 아닐 수 없다. 분명 모든 사람이 마녀사냥의 허구를 있는 그대로 믿지는 않으며 적어도 일부 사람들은 열린 틈새를 통해 또 다른 진실을 보고 있지만, 그럼에도 시대의 거대한 흐름은 정해진 방향대로 도도히 흘러갔다.
_Ⅰ. 유니우스의 비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