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교양 인문학
· ISBN : 9791185754086
· 쪽수 : 254쪽
· 출판일 : 2015-06-20
책 소개
목차
Chapter 1
들어가는 글: 에코토피아 실현을 위한 생태시민성 교육 1
Chapter 2
관계적 사유로 생태시민성 읽기 13
1. 생태시민성 논의의 배경 13
(1) 세계화 14
(2) 환경적 책임의 개인화 19
2. 생태시민성의 특징 23
(1) 사회-공간적 관계의 비-영역성 25
(2) 관계성에 기반한 책임과 의무 29
(3) 사적 영역의 정치화와 생태적 덕성 37
Chapter 3
생태시민성 함양을 중심으로 한 (지리과) 환경교육의 방향 43
1. 관계성에 기반한 생태시민성 교육으로서 지리과 환경교육 43
2. 지리과 환경교육에서의 생태시민성 교육 49
3. 생태시민성 함양을 위한 (지리과) 환경교육의 방향 55
Chapter 4
존재론적 차원의 ‘관계적 전환(relational turn)’ 63
1. 소비의 세계화와 관계적 네트워크 63
(1) 소비의 세계화 63
(2) 상품의 지리적 삶 65
(3) 공간/장소의 관계적 이해 72
2. 상품의 지리적 삶에서 ‘몸’의 의미 77
(1) 상품의 글로벌 네트워크의 노드(node) 78
(2) 인간과 비인간의 혼성체로서 사이보그(cyborg) 82
(3) 지리적 주체와 객체의 해체 가능성 91
Chapter 5
인식론적 차원의 ‘성찰적 전환(reflexive turn)’ 98
1. 소비의 정치학과 지리 98
(1) 거리두기(소멸)의 공간적 메타포와 상품의 신화화 98
(2) 상품 물신화와 지리적 지식의 망각 102
(3) 소비 인간과 비판적 거리의 소멸 107
2. 관계적 자아 인식과 구성의 준거로서 성찰성 110
(1) 상품 세계에 대한 ‘인지지도 그리기’ 112
(2) ‘생활 정치’를 통한 자아 정체성의 구성 118
(3) 프락시스와 생태적 인간 125
Chapter 6
실천적 차원의 ‘윤리적 전환(ethical turn)’ 131
1. 책임과 배려의 관계적 지리 132
(1) 원거리에서 배려하기(caring at a distance) 133
(2) 책임의 지리(geographies of responsibility) 140
2. 관계적 윤리와 소비의 지리 148
(1) 상품 네트워크의 탈국지화와 윤리적 무관심 148
(2) 관계성에 기반한 윤리적 소비 159
Chapter 7
관계적 지리의 관점을 적용한 수업의 실제와
생태시민성 형성 166
1. 관계적 지리에 기반한 수업 설계 166
2. 학생 인식 유형의 사전 분류 174
(1) 무의식형 175
(2) 방관형 176
(3) 의식형 177
3. 자아와 상품 세계에 대한 인식 변화 179
(1) 사이보그로서의 자아 존재에 대한 인식 형성 179
(2) 상품세계에 대한 관계적 인식 확보 190
4. 연계된 세계 속에서 태도 및 행동 변화 198
(1) 생태 전사: 소비의 자발적 제한 198
(2) 냉소적 소비 인간: 소비의 선택적 제한 208
Chapter 8
나가는 글: 소비자본주의의 예속화에 맞서는
‘생태시민 만들기’를 위하여 220
참고문헌
1. 단행본 229
2. 국내 논문 232
3. 외국 단행본 및 논문 235
색인
인명색인 248
사항색인 2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