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경한 (엮은이)
정보 더보기
전라북도 전주에서 태어나 서울대학교에서 교육학 박사학위를 받았으며, 전주교육대학교 사회교육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또한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회장, 한국국제이해교육학회 회장을 역임하였고, 현재 전북혁신학교운영위원회 위원장, 참여자치전북시민연대 대표, 전북특별자치도 평생교육 위원 등으로 활동하고 있다. 제자와 시민들과의 독서모임을 통한 책 읽기를 즐겨 하며, 지리학자의 시선으로 세계를 바라보는 여행을 좋아한다. 그리고 일상에서 만나는 지리학에 관한 글쓰기와 (지리)교육학자로서 지리교육을 넘어 교육 개혁과 수업 혁신을 위한 글쓰기를 즐겨 하고 있다.
저서로는 『지리적 상상력으로 세계시민 되기』(공저), 『스토리로 배우는 세계시민교육』(공저), 『세계시민교육과 지리교육』, 『생태전환시대 생태시민성 교육』(공저), 『남부 유럽 도시 기행』, 『모로 가도 모로코』, 『국제이해교육 페다고지』(공저), 『자리의 지리학』, 『아프리카 여행의 시작 케이프타운』, 『어린이의 지리학』, 『뉴질랜드 생태기행』, 『교육, 혁신을 꿈꾸다』, 『일상에서 장소를 만나다』, 『골목길에서 마주치다』, 『사회과 지리 수업과 평가』 등이 있다. 역서로는 『열린 지리수업의 이론과 실제』, 『지리 교육학 강의』 등이 있다.
펼치기
최영은 (옮긴이)
정보 더보기
건국대학교 지리학과 교수
미국 루이지애나주립대학교 대학원 지리학 박사
역서: 『지구온난화』(공역), 『지도로 보는 기후변화』(공역), 『스스로 배우는 지구온난화와 기후변화』(공역) 등
펼치기
조철기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70년 경남 산청에서 태어났다. 남명 조식이 말년에 지리산 아래 산천재를 짓고 후학을 양성한 덕산이라는 작은 마을에서 유소년 시절을 보냈다. 돌이켜보면 아름다운 자연과 문화가 어우러진 이곳에서 마음껏 뛰어놀며 풍부한 지리적 감수성과 지리적 상상력을 키운 것 같다. 더 나은 사회를 만들기 위해 사회비판적이고 실천지향적인 삶을 설파하고 몸소 실천한 남명 조식의 가르침을 현대사회에서 지리교육을 통해 되살려내려고 노력하고 있다. 좀 더 시야를 넓혀 세계적 관점에서 우리 인류가 가져야 할 세계시민성과 생태시민성이라는 보편적 덕목에 천착하고 있다. 지리교육을 통해 어떤 인간을 길러내야 하는지, 지리교과는 더 공정하고 더 나은 세상을 만드는 데 어떤 기여를 할 수 있는지에 관심을 두고 연구를 수행해오고 있다. 그동안 글로벌 사회정의 실현을 위한 시민성교육, 개발교육과 글로벌 학습, 비판교육학, 포토보이스와 관련한 많은 논문을 썼고, 지리교사가 되기 위해 공부하는 대학생들을 위해 여러 책을 쓰고 번역했다. 자라나는 청소년들이 미래의 글로벌 리더로서 갖추어야 할 세계시민 및 생태시민적 자질을 함양하는 데 보탬이 될 만한 다큐멘터리 같은 책을 틈틈이 쓰고 있다. 현재 경북대학교 지리교육과 교수로 있으면서 연구와 교육을 통해 예비 지리교사들과 이러한 생각을 함께 나누고 있다.
지은 책으로 《고령군 지역 연구》(공저, 2010, 2011년 대한민국학술원 우수학술도서), 《사회과 스토리가 있는 지도학습 교재만들기》(공저, 2011), 《학교현장실습 가이드북》(공저, 2011), 《지리 교재 연구 및 교수법》(2015), 《일곱 가지 상품으로 읽는 종횡무진 세계지리》(2017), 《글로벌 사회정의를 위한 개발지리와 개발교육》(2018, 2019년 세종도서 학술 부문), 《현대 지리교육학의 이해》(공저, 2018, 2018년 대한민국학술원 우수학술도서), 《새로운 지역지리학과 지리교육》(공저, 2019), 《시민성의 공간과 지리교육》(2020, 2021년 대한민국학술원 우수학술도서), 《지리수업과 공동체를 연결하는 장소기반 지리교육》(2020), 《지리교육학(개정판)》(2022), 《생태전환시대 생태시민성 교육》(공저, 2022), 《세상에 이런 국경》(2022) 등이 있으며, 옮긴 책으로 《교실을 바꿀 수 있는 지리수업 설계》(공역, 2012), 《지리교육의 새 지평―포스트모더니즘과 비판지리 교육》(2012), 《사고기능 학습과 지리수업 전략》(2013) 등이 있다.
펼치기
김다원 (엮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대학원에서 지리교육을 공부하고 교육학 박사학위를 받았으며, 현재 광주교육대학교 사회과교육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박사학위 과정에서부터 꾸준히 세계에 대한 인식과 감각을 키우는 교육을 지향하며 이에 대한 연구에 중점을 두어왔다. 이에 국제이해교육, 문화다양성교육, 세계시민교육, 지속가능발전교육 등 세계시민성 함양 교육에 관심을 갖고 연구하고 있다. 2022 개정 사회과 교육과정 개발 연구 협력진, 2022 개정 초등 사회과 교과용도서 개발 저자로 역할을 하였다.
주요 저서로는 ‘지리교육과 글로벌 관점’(번역서), ‘글로벌 학습의 잘못된 약속’(번역서), ‘지속가능발전교육 어떻게 할까’(공저), ‘생태전환시대 생태시민성 교육’(공저), ‘세계시민학 서설’(공저), ‘시민교육의 이해와 실천’(공저), ‘스토리로 배우는 세계시민교육’(공저), ‘초등사회 개념잡기 1’(저서) 등이 있다.
펼치기
김병연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이 고향이며, 경북대학교 사범대학 지리교육과를 졸업하고 한국교원대학교에서 <생태 시민성과 지리과 환경교육: 관계적 지리의 담론과 적용>이라는 주제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후기 구조주의와 생태 철학의 틀 속에서 소비, 환경, 시민성의 관계를 지리교육 및 ESD와 연관시켜 연구하고 있다. <신자유주의적 통치성 관점에서 본 윤리적 소비와 그 환경교육적 의미>(2014)로 한국환경교육학회에서 수여하는 학술 논문상을 받았다.
현재 대구에서 고등학교 교사로 근무하고 있으며, 대구대학교 지리교육과 겸임교수로 있다.
펼치기
이상훈 (지은이)
정보 더보기
현재 전북 마령고등학교의 역사 선생님으로서 학생들을 가르치면서 즐겁게 생활하고 있다. 그리고 진안문화원의 부원장으로서 진안에 터를 두고 진안 문화와 농촌 교육에 대한 연구와 글쓰기를 하고 있다. 저서 『진안, 가슴으로 담다』, 『우리마을』, 『진안의 마을신앙』, 『진안의 마을 유래』, 『진안지역 돌탑』과 공저로 『생태전환시대 생태시민성 교육』, 『마을생활』, 『진안의 마을숲』, 『전통마을의 이해』, 『전통문화의 이해』, 『전북 산간지역 공동체 신앙』, 『전북지역 마을지킴이』 등이 있다.
펼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