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소설/시/희곡 > 문학의 이해 > 한국문학론 > 한국문학사
· ISBN : 9791185877976
· 쪽수 : 550쪽
· 출판일 : 2015-02-28
책 소개
목차
책머리에
제1장 혁명과 죽음
1. 1960년대와 4월혁명 속으로
2. 사라진 혁명의 궤적들
3. 혁명과 죽음충동
제2장 4월혁명의 결여와 정신성
1. 혁명의 본질과 결여(lack)
2. 4월혁명의 발생동인과 결여 양상
3. 4월혁명의 정신적 의미 - ‘지식과 행동의 일치’라는 실천적 표상
제3장 4월혁명의 지성과 자의식의 심층
1. 지식인의 자율성과 정치성이라는 이율배반
2. 4월혁명의 참여적 지성과 비평정신
3. 혁명적 지성의 쇠퇴와 한계참여론
제4장 정치와 미학의 경계와 죽음충동
1. 혁명의 순교와 정신적 순교
2. 학생들과 문인들 혁명시의 경계 - 미적 변환의 소거
3. 문학의 가상성과 혁명의 실재성
4. 문학의 이율배반성과 죽음충동
5. 1960년대 순수참여문학의 새로운 도식
제5장 4월혁명 이후의 실정성과 부정성의 투쟁
1. 1960년대의 공백과 탈공백의 투쟁
2. 4월혁명과 공백의 사상
3. 4월혁명의 전유와 근대화론의 실정성
4. 4월혁명의 내면화와 부정성(negativity)
5. 1960년대 혁명 담론의 이면적 실재
제6장 혁명주체의 실정화와 혁명 담론의 주조술
1. 머리말 - 혁명주체의 분열과 <최고회의보>
2. 5.16쿠데타와 혁명주체의 계보학
3. 혁명으로서의 5.16쿠데타 - 혁명경제와 인간혁명
4. ‘군사혁명’의 반공.승공론과 민주주의 체제
5. 한국 지배이데올로기의 기원
제7장 혁명정신의 미학적 전유와 탈정치성
1. 순수문학의 정치성과 반공이데올로기
2. 지성의 탈정치성과 초월성
3. 혁명정신의 미학적 전유와 탈정치적 전략
4. 문학의 부정성(negativity)과 미적 영구혁명
제8장 4월혁명의 실재와 참여문학의 죽음충동
1. 정치의 ‘문화화’와 비평의 충동
2. 주체적 전통론과 참여적 지성
3. 혁명정신의 문학적 실천과 정치적 한계
4. 영구혁명의 정치적 실현과 비평의 충동
제9장 4월혁명과 청년문화론―청년문화론에서의 ‘문화/정치’의 경계 문제
1. 4월혁명과 청년문화의 본질
2. 4월혁명의 청년과 균열의 과정
3. 4월혁명 이후의 청년문화론과 탈정치성
4. 청년문화의 전락(顚落)과 정치성의 복구
5. 4월혁명과 ‘정치/문화’의 경계 문제
제10장 4월혁명과 죽음충동
1. 4월혁명의 추념(追念)과 그 동력
2. 4월혁명의 반복강박과 죽음충동
3. 4월혁명의 거세와 지식인의 수치
4. 4월혁명 이후의 문학적 좌표와 불모성
5. 김주열에서 전태일로의 혁명적 전이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