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서양철학 > 미학/예술철학
· ISBN : 9791185954165
· 쪽수 : 284쪽
· 출판일 : 2016-09-05
책 소개
목차
서문
서론
철학적 미학의 개념 및 영역
1장 미학 이전의 역사
고대의 미
중세의 미
고대와 중세의 예술
르네상스의 미와 예술론
2장 미학, 독자적 학문의 동기를 부여받다 ? 데카르트, 라이프니츠
3장 미학, 감성적 인식의 학문이 되다 ? 바움가르텐
4장 미학, 인식 일반으로서의 반성이 되다 ? 칸트
코페르니쿠스적 전회
판정을 통한 미의 조명
인식 일반
숭고
미적판단론
칸트의 예술관
5장 예술, 직관 가능한 진리가 되다 ? 헤겔, 쇼펜하우어
헤겔 체계의 단서
미학에 대한 편견들에 관한 헤겔의 논박
미와 예술의 근본 특징들
세 가지 예술형식 및 예술의 종말
개별 예술들의 체계
쇼펜하우어의 예술관
6장 예술, 작품 속에 정립된 진리가 되다 ? 하이데거
7장 미학, 합리성 비판을 통해 비동일자를 구제하다 ? 아도르노
진리 내용, 논리성, 예술의 수수께끼적 성격
예술의 언어적 성격
미메시스
역자후기
참고문헌
사항색인
인명색인
리뷰
책속에서
현재 미학이 전개되는 상황에 대해서나 철학의 다른 영역들에 미학이 어떻게 전파되고 있는지에 대해서까지 이 입문서가 상세하게 접근할 수는 없다. 다만 여기에서는 미학이 자연철학, 도덕철학을 위시한 여타 분야에 영향을 미쳤다는 점에 대한 단편적인 언급 정도로 만족하고자 한다. 이런 영향은 궁극적으로 미학과 인식론의 관계로 인해 생겨난 것인데, 이런 맥락에 따라 본 입문서에서는 역사적·체계적으로 전개된 다양한 단계에 따라 이 관계에 천착하는 것 또한 방법론적 근간이 된다.
- 서론. 철학적 미학의 개념 및 영역
고대와 중세에는 미론과 예술론이 독립적으로 전개되었다. 예술은 아름다움이 거주하기에 적합한 장소로 간주되지 않았으며, 아름다움을 통해 예술이 정의되지는 않았다. 즉 예술만을 대상으로 하는 미학적 개념은 아직 존재하지 않았다. 이 개념은 르네상스의 예술론을 통해 등장했다.
- 1장. 미학 이전의 역사
데카르트가 합리적 인식관의 절대화를 시도함으로써 인간은 지각되는 자연환경으로부터 소외되고 현실성을 상실했으며 결국 합리적 세계연관과 감각적-감정적 세계연관은 상호 분리된다. 미와 예술은 더 이상 순전히 수학적 방법론에 따른 인식 개념의 대상이 될 수 없다. 감각적 지각의 가치가 절하되어 단편적인 것이 됨에 따라 직관의 독립적 인식 기능이 거부되고, 직관의 인지적 힘이 과연 자명한 것인지가 문제시되었다. 미와 예술이 인식과 유사성을 갖는다는 주장을 지속하기 위해서라도 미와 예술에 대한 철학이 새롭게 정초될 필요가 있었다. 이에 독자적 학문이 된 수학적 자연과학의 인식관에 입각한 미학 이론이 본격적으로 등장할 여지가 생겼다. 즉 미학 이론에 합리성 자체를 예술 창작 및 판정의 최고 원리로 삼으려는 시도가 나타난 것이다.
- 2장. 미학, 독자적 학문의 동기를 부여받다: 데카르트, 라이프니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