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기업 경영 > 경영전략/혁신
· ISBN : 9791185962030
· 쪽수 : 248쪽
· 출판일 : 2017-10-16
책 소개
목차
들어가는 말_조선 백성들의 먹거리를 해결하라 / 6
제1장 심각한 기근 문제, 먹거리 해법을 찾다
- 발견력(發見力)
1 남들은 못 보는 통찰이 빚은 놀라운 결과 ……15
고구마 전래자 조엄의 사행 전 이력 / 관료들의 사행 기피 이유
조엄의 사행 후 이력 / 조엄 다시 읽고 톺아보기
2 조엄, ‘우연의 힘’으로 일본에 가다 ……35
3 고구마, 사고의 전환이 가져온 놀라운 발견 ……40
4 지구상의 발견, 마침내 조선에 이르다 ……45
5 가치 발굴을 이뤄낸 탁월한 통찰력 ……55
혁신을 이루는 ‘즉시 실행의 원칙’ / 원천 가치, 완전 백업의 원칙
고구마 의문사(疑問事)의 재구성
가치를 보는 눈; 홍치중의 경우, 홍계희의 경우
6 본격적인 ‘먹거리’ 혁명의 시작 ……73
‘표적집단 면접법’과 자원 투여 전략 / 혁신가 그룹 내 ‘관심’ 확산 법칙
7 확산 모델과 지식 누적 시스템 ……87
제2장 탁월한 해법을 찾아 확산시켜라
- 혁신력(革新力)
8 초발확산력을 부르는 힘 ……95
9 혁신을 외면한 사람들의 특징 ……101
10 초발확산자들의 무한 지식경영법 ……107
이광려와 강계현 팀의 경우 / 고구마 프로젝트의 위기
강필리와 강필교 팀의 경우
11 혁신의 릴레이 현상과 재혁신의 주창자들 ……124
서영보의 경우 / 이제화의 경우
12 확산을 일으킨 지식 집적의 힘 ……131
서유구의 경우
13 먹거리 혁명을 부른 ‘조고집’ 리더십 ……136
엇갈린 역사적 평가, 진실은 무엇인가
14 조선관리, 목민관으로 거듭나는 조건 ……154
조엄의 목민관 행적의 예 / 강필리의 경우
제3장 업무 이외의 것도 챙겨라
- 사행(使行)길의 우연한 발견
15 국가적 위기상황에 일본을 가다 ……167
16 대일(對日)통신사 사행길의 긴 여정 ……174
17 변화로 꿈틀대는 일본의 속살을 보다 ……181
그 많던 혁신 전통은 다 어디로 갔을까
18 일본을 통해, 조선을 다시 보다 ……202
19 꼼꼼한 기록 정신: 한계와 성과의 계승 ……210
20 현실 외교 능력을 발휘하다 ……221
윤리강령을 따르도록 하다
21 글과 학문으로 세상을 논하다 ……229
유학으로 세상 읽기의 성과와 한계
나오는 말_혁신적 목민관으로 거듭나기 위한 조건 / 240
참고자료 / 247
저자소개
책속에서
조엄이 대일통신사로 파견될 즈음 조선은 수년간 흉년으로 심대한 기근에 시달리고 있었다. 백성들의 삶은 말이 아니었고, 국가적으로도 재정 및 경제상 어려움이 컸다. 특히 1757년(영조 33)에는 서울에만 굶주려 죽는 자가 8천700명에 달했고, 자작농들은 당장 허기를 면하기 위해 지주들에게 토지를 넘기고 소작농으로 전락했다. 1763년 3월에는 곡창지대인 호남에서도 48만 명의 기민이 발생했다. 또 아사자가 450여 명이나 되었다. 한마디로 국가적 초위기 상황이었다.
조엄 일행은 1763년 10월 6일 대마도에 도착해 5일 동안 사스우라(佐須浦)에 머물게 된다. 이 때 조엄은 조선의 먹거리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최대의 구원투수를 만나게 된다. 고구마였다. 고구마를 처음 본 순간, 조엄은 그것이 구황작물로 이용후생에 가치가 높다는 점을 즉각 인지했다. 그 즉시 고구마의 생태?맛?재배법?저장법 등을 상세히 탐문하여 기록하고, 고구마 종자를 사서 재배설명서와 함께 부산진으로 보냈다. 이 신(新)작물을 조선에서 성공적으로 재배, 채종케 하려는 목적이었다.
이처럼 남미가 원산지인 고구마는 콜럼버스가 스페인으로, 스페인 선원들이 필리핀으로, 명나라 상인 진진용이 푸저우로, 노쿠니 쇼칸이 류큐로, 다시 일본으로 전해져 1716~1735년경에는 사츠마번, 가고시마, 나가사키, 간사이, 간토로 전파되었고, 다시 가고시마를 통해 대마도로 전해졌다. 류큐로 전파 된지 120년 만에 규슈와 혼슈 등 일본 남부 여러 지방에서 광범위하게 재배되었고, 콜럼버스가 유럽으로 가지고 온지 270년 만에 마침내 조선에까지 당도한 것이다. 그야말로 길고 긴 여정을 통해 우리와 운명적으로 만나게 된 셈이다. 나아가 지구상 대발견이 낳은 놀라운 결과물이었다. 이 새로운 ‘지구촌 시대’는 고구마와 더불어 조선과 일본 간에 크나 큰 변화를 잉태하고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