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큰글자책] 이순신, 경제전쟁에 승리하라](/img_thumb2/9791185962320.jpg)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자기계발 > 리더십 > 리더십
· ISBN : 9791185962320
· 쪽수 : 240쪽
· 출판일 : 2022-12-01
책 소개
목차
머리말_경제난국시대, 글로벌 도전을 넘어설 해법을 이순신에게서 찾다│8
1장. 경제전쟁시대, 우리는 모두 이순신이다│12
2장. 철저한 준비역량으로 경영현장에 우뚝 서다│20
장군과의 만남│22
작은 첫출발과 원칙주의│24
임박한 전란과 준비역량│28
위기의 현실화│34
상시적 대비책으로 전략적 유연성을 발휘하라│35
3장. 필사즉생의 자세로 격전의 현장에 맞서다│44
400년 전 핏빛 남녘 바다│46
옥포해전: 경영자라면 태산같이 무거이 하라│48
당포해전: 거북선은 적진을 가르고│53
한산대첩: 개별 승리보다는 전체 판세를 뒤집어라│55
전략적 우위를 점하는 기본전략을 점검하라│61
부산포해전: 성공 혁신을 재혁신의 기회로 삼아라│70
웅포해전: 전투수행을 위한 협력체계를 강화하라│73
2차 당항포해전 등: 승리를 위한 조직력을 확보하라│75
4장. 리더에게 진정 임무란 무엇인가?│80
목숨을 건 이순신 협업 공동체│82
전략적 판단은 모든 것에 우선한다│90
구성원의 능력개발에 총력을 다하라│93
굳은 맹세로 한결같이 신념에 복무하다│97
열망으로 쓰러짐을 일으켜 세우다│102
난중 여가활동으로 사기 진작과 반성의 시간을 갖다│104
꿈의 대화를 통해 현실문제의 해법을 찾다│107
경영자란 끊임없이 두려움과 맞서는 자│113
수신은 경영자다움을 얻는 마지막 관문│118
5장. 난국을 뛰어넘는 창조적 전략│122
고도의 학습력으로 경쟁력을 갖추다│124
제한된 자원을 살리는 수국(水國) 프로젝트│130
조직 구성원의 자발적 참여를 이끌어 내다│134
정보전쟁에서 승리하라│136
창조적 가치 창출로 현재의 한계를 뛰어넘어라│141
6장. 조직 내 사내정치를 경계하라│158
내부의 적들과의 싸움│160
선조의 뒤늦은 후회│ 171
7장. 승리를 향한 대장정에 나서다│176
멀고 먼 대장정의 길│178
일대회전의 싸움을 옹골차게 준비하다│185
명량에 우뚝 서다│190
승리를 이끄는 전략적 우위의 조건│198
이순신, 불멸의 정신으로 남다│204
나오는 말_'이순신 정신'은 경제전쟁 승리의 보루이다│216
<부록1> 이순신 장군 주요 연표│219
<부록2> 이순신 장군 행적도와 임진왜란 전도│228
<부록3> 이순신 장군이 치룬 주요 해전│229
<참고문헌>│237
'이순신, 경제전쟁에 승리하라' 답사 워크숍│239
저자소개
책속에서
1960년대 국민소득 79달러라는 최빈국에서 90년대 완제품 시장으로 진출한 쾌거는 이미 과거의 성과에 불과하다. 그간 우리의 수종 산업이었던 반도체, 정보통신, 가전, 자동차, 조선 등 주력산업이 크게 힘을 잃어 가고 있다. 세계 12위의 경제 강국이라지만 내수 부문은 보잘 것 없다. 글로벌 경쟁이 격화되지만, 우리 경제의 미래에 대한 불안감은 좀처럼 가시지 않는다. 어떻게 하다가 이 지경에 이르게 되었을까? 이 같은 총체적 위기상황을 타개할 묘안은 무엇인가? 이순신이 해답이다.
-(1장)
이순신이 상사와 갈등을 겪게 된 것은 그의 강직한 성품 탓이 크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원칙주의적인 면모는 개인적 어려움 앞에서도 꺾이지 않았고, 현실과 타협하지 않는 자세로 줄곧 나타났다. 장군은 불의와 타협하지 않았고, 그런 강직함은 적과 맞서 싸우는 데서도 수군의 기강이 되었다. 어느 때보다 윤리경영이 강조되고 있는 이즈음의 글로벌 경영환경에서 친기업적 정서의 핵심은 윤리의식에서 나온다. 원칙을 져버릴 때, 기업은 걷잡을 수 없이 고객 불만과 여론의 뭇매를 맞게끔 되어 있다. -(2장)
오늘날 기업들은 크든 작든 위기에 맞서 그간 마련한 준비역량으로 손실을 최소화하고, 남들이 혼란스러워 할 때 오히려 기회를 잡는 전환능력을 보여야 한다. 위기와 기회가 병존하는 것은 이런 상황의 가변성 때문이다. 장군은 임란 발발 전 최소 자원을 마련함으로써 국난 극복의 전기를 마련한다. 이 점에서 유비무환으로 대응하는 장군의 탁월성의 경영의 일면을 엿볼 수 있다. -(2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