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교육학 > 교육 일반
· ISBN : 9791185992730
· 쪽수 : 246쪽
· 출판일 : 2018-01-19
책 소개
목차
프롤로그 _ 위기와 개혁
1장. 개혁의 긴급성-교직의 3가지 위기
교육 수준의 저하=뒤떨어진 고도화와 전문직화 | 시대착오적인 수업 실태 | 교사의 질과 교직 생활의 위기 | 연수와 성장의 위기
2장. 개혁의 속박-혼미의 배경
교사교육의 제도적 구조-대학에서의 교원양성과 개방제 | ‘면허장주의’ 대 ‘전문성 기준’ | 행정과 현장이 안고 있는 어려움 | 그랜드 디자인의 필요성
3장. 가르치는 전문가에서 배우는 전문가로-21세기 교사상
전문가의 개념 | 전문가의 요건 | 교직의 고도로 지성적인 성격 | 교직 전문성의 기초 | 가르치는 전문가에서 배우는 전문가로
4장. 교사교육 개혁의 과제와 정책
개혁의 글로벌 스탠더드 | 교사교육 개혁의 정책과제
5장. 전문가 교육으로서의 교사교육-교직의 장인성과 전문성
듀이의 제언 | 장인성과 전문성 | 교사의 장인성 | 교사 전문성의 문제 영역
6장. 교사교육을 위한 교육과정 개혁
‘기술적 숙달자’에서 ‘반성적 실천가’로 | 전문가상의 전환과 권한 구조의 변용 | 이론(연구)과 실천의 통합 | 교사의 실천적 지식 | 케이스 메소드에 의한 실천적 사고의 형성 | ‘면허장주의’에서 ‘교직 전문성 기준’으로 | 교사교육 교육과정의 구조 | 실천 경험·실천연구의 개선
7장. 수업연구의 개혁-케이스 메소드의 개발로
케이스 메소드로서의 수업연구 | 수업연구의 역사 | 수업연구 패러다임의 전환 | 수업연구의 신구 두 가지 양식 | 배움의 대화적 실천 | 서로 듣는 관계 | 협동적인 배움의 탐구 | ‘레슨 스터디’와 수업연구 | ‘사례’로서의 수업실천 | 배움의 디자인과 성찰
8장. 교사가 서로 배우고 성장하는 학교-동료성의 구축
교사가 배우고 성장하는 장의 구조 | ‘전문가의 배움의 공동체’로서의 학교 | 교내연수의 개혁 | 교장의 역할 | 학교와 교사의 자율성 | 학교의 자율성과 어카운터빌리티 정책| 교육위원회의 현직연수 개혁
9장. 대학과 대학원 개혁-전문가 교육으로의 패러다임 전환
개혁과제의 전환 | 교사교육의 고도화 | 교사교육의 전문직화 | 교원양성계 대학과 학부의 장래상 | 일반 대학·대학원에서의 개혁 | 교직대학원의 혼란과 개혁 | 연구대학의 교육학부와 교원양성학부 | 다원적인 교원양성 기관의 공존시스템 | ‘지역교원양성기구(가칭)’ 구상 | 대학과 학교의 파트너십 | 대학과 교육위원회의 협동 | 도입교육의 제언-시보제도의 구상
10장. 새로운 도전을 향한 제언-개혁과 정책의 그랜드 디자인
그랜드 디자인의 정책원리 | 전문성 기준의 구축 | 면허제도의 개혁 | ‘교직전문개발기구(가칭)’의 창설 | 커리어 스테이지의 구축 | 양성교육의 개혁-다원적 시스템의 효용 | 채용제도 개혁-정규 교원의 증가와 공정하고 엄격한 채용으로 | 현직교육 개혁 | 지위와 대우의 개선
에필로그 _ 교사, 대학관계자, 정책결정자, 시민에게 보내는 메시지
후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