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여성학/젠더 > 여성학이론
· ISBN : 9791186036464
· 쪽수 : 350쪽
· 출판일 : 2019-06-28
책 소개
목차
초역판 역자 서문(1993)
저자 서문
1장 가치에 대한 질문
1. 정치적 맥락
2. 가족의 호소력
3. 가족화된 사회
4. 자연에 맞서다?
5. 가족 가치와 좌파
2장 반사회적 가족
1. 상속
2. 개인주의=가족중심주의
3. 감옥으로서의 사생활권
4. 여성의 일
5. 작은 권력과 사회적 권력
6. 성해방
7. 가족이 얻은 것과 사회가 잃은 것
3장 당대 사회의 분석
1. 가족을 해체하기
2. 주체성과 권위
4장 변화를 위한 전략
1. 두 가지 일반 목표
2. 개인적 정치학: 선택의 문제
3. 쟁취할 사항들
4. 가족의 자리에 무엇을 둘 것인가?
제2판 저자 후기
추천의 글
제2판 공역자 후기(2019)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가족은 언제나 자연적으로 주어졌다고 간주되며, 사회적·도덕적으로도 바람직한 것으로 받아들여진다. 우리가 가족에 대해 갖는 느낌과 생각에서처럼 ‘자연적’ 영역과 사회적-도덕적 영역이 뒤엉키고 혼동되는 곳은 없다. 다른 많은 문제들에서 두 영역은 엄격하게 분리된다. 굶주림, 질병, 잔인함, 살인 등은 자연적인 세계에서 언제나 규칙적으로 발생하지만, 그것을 제거하려는 노력은 문명 진보의 표식으로서 명백하게 인간적인 것으로 여겨진다. 그러나 문제가 가족이 되면 상황이 역전된다. 가족에 대한 도덕적·사회적·정치적 주장들의 많은 부분이 가족을 사회적 질서라기보다는 생물학적 단위로 보는 가정 위에서 제시된다.
현재의 지배적인 가족형태는 자연적인 것, 생물학적으로 결정된 불가피한 것으로 간주되지만, 실제로는 독특한 사회적·도덕적 힘에 침윤되어 있다. 왜냐하면 그것이 특정 사회의 관행적 습속이 아니라 일반적인 인간적 가치의 구현으로 간주되기 때문이다. 현대 사회의 가족 이미지는 자연적인 것과 도덕적인 것의 조합에 크게 의존한다.
미디어나 광고, 대중적인 엔터테인먼트들이 가족주의 이데올로기에 침윤되어 있음은 굳이 지적할 필요도 없다. 독신자 아파트에 사는 싱글 남녀가 시트콤에 그토록 자주 등장하는 이유는, 거실의 편안한 의자에 앉아 이 기괴한 사람들을 보는 평균적인 남녀 시청자들이 세탁실까지 빨랫감을 끌고 내려가는 남자의 모습이나 전구를 갈아끼우려 애쓰는 여자의 모습을 우스꽝스럽게 생각할 것이라는 전제가 있기 때문이다. 텔레비전이나 라디오에서 가장 인기있는 시리즈물들은 본질적으로 안정성과 변화의 미묘한 균형이 조심스럽게 봉합되는 가족생활을 극화한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