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비평/칼럼 > 한국사회비평/칼럼
· ISBN : 9791156624028
· 쪽수 : 360쪽
· 출판일 : 2019-02-11
책 소개
목차
책을 펴내며
김승환
프롤로그 왜 ‘막힌 사회’와 ‘비상구’인가?
이대환
‘물질주의’에 관하여
방민호
한국사회의 계층 양극화
한준
한국 노동사회의 갈등: 내부자-외부자의 복지정치
김원섭
세대갈등과 인정 투쟁
김왕배
한국사회의 젠더와 젠더갈등 : 청년세대를 중심으로
배은경
더 나은 한국사회를 위한 분절 문제와 해소 방안 : 이념갈등
강원택
저자소개
책속에서
『막힌 사회와 그 비상구들』의 기획 의도는 열리고 또 열려서 아주 활짝 ‘열린 사회’인 오늘의 한국사회 내부의 곳곳에 가로놓인 ‘벽’에다 소통의 ‘비상구’를 만들어보자는 데 맞춰져 있었다. ‘사회’란 말이 불거져 보이듯 이 책은 인간의 본질, 인간의 근원을 탐구하기보다는 사회적 문제들을 해소하여 더 인간다운 삶을 담보할 수 있는 사회로 나아가기 위한 ‘오늘의 한국사회 진단서’ 구실을 해보자는 것이었다.
_‘왜 ‘막힌 사회’와 ‘비상구’인가?’ 중에서
그렇다. 지금 이 물질주의적 현대를 구가하면서 동시에 시달리는 한국인들에게는 지금 어떤 ‘회심’이 필요한 것 같다. 이 종교적 어휘가 아니고는 우리가 처한 상황의 절박감을 다르게 표현하기 어려운 것도 같다. 그러나, ‘이 열정적인 세계의 메아리 없는 공허는 나를 두렵게 한다.’ 우리는 지금도 너무 물질적인 삶을, 육체적인 삶을 산다. 영혼으로부터, 사랑으로부터 먼 채.
_‘‘물질주의’에 관하여’ 중에서
한국에서 현재 문제가 되고 있는 불평등은 어떤 특성을 지니는가? 불평등 수준은 높아지는가 아니면 낮아지는가? 불평등한 지위는 개인의 노력에 의해 극복 가능한가 아니면 지속되는가? 이러한 질문들에 대해 이 글에서는 답하고자 한다. 그 과정에서 이 글은 한국의 계층적 불평등이 양극화되고 있는가라는 더 큰 질문에 대한 답을 찾고자 한다.
_‘한국사회의 계층 양극화’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