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통일/북한관계 > 북한학 일반
· ISBN : 9791186061343
· 쪽수 : 156쪽
· 출판일 : 2015-05-30
책 소개
목차
머리말 · 6
1부 북한의 대남전략과 도발
1장 한국은 1년 365일, 전쟁에 대비해야 한다·11
2장 6·25전쟁 인식과 무력통일론 ·15
3장 북한의 도발 양상·28
4장 선전포고 없는 전투: 1960년대 북한의 도발 ·42
5장 1970∼80년대 북한의 도발·74
2부 동구권 붕괴 이후 북한 체제의 생존전략과 도발
1장 남북교류와 지상도발 감소·103
2장 북한의 화전양면 생존전략과 서해교전·109
3장 북한, 핵개발과 군사적 위협·125
3부 북한의 도발 극복방안
1장 더 이상 무력도발이 없는 평화공존이 우선이다·133
2장 평화 체제 구축과 주변 강국의 협력·143
참고문헌 · 153
저자소개
책속에서
남북 양측의 군인들이 오늘도 휴전선 철책을 정찰하고 있듯이 이곳의 상황만으로 판단할 때 휴전선 일대는 1950년의 여름과 별반 달라 보이지 않는다. 한국은 오늘날 지구상에서 유일한 분단국가로 남아 있다. 전쟁을 겪지 않은 대부분의 국민들은 한반도의 긴장에 대해 실감하지 못하고 있는 게 사실이지만, 판문점에서 근무하거나 휴전선 철책을 직접 보면 남북한의 긴장상태를 실감할 수 있을 것이다. 더욱이 서울이 휴전선으로부터 불과 24마일밖에 떨어져 있지 않고 북한의 장사정포 사거리 안에 있는 수도권에는 남한 인구의 약 절반이 살고 있어서 북한의 위협에 매우 취약하다.
1987년 11월 29일에는 북한 공작원 김승일·김현희는 KAL 858기 기내에 시한폭탄을 설치, 미얀마 해역 상공에서 폭파해서 탑승객 115명 전원이 사망했다. 체포된 김현희는 KAL기 폭파를 통일에 기여한다고 해서 실행했으나, 통일에 기여하기는커녕 그냥 민족상잔이며, 무고한 주민 학살이라는 걸 깨달으면서 심경의 변화가 일어났다고 회고했다. 이 사건을 이유로 미국 정부는 북한을 테러 지원국으로 지정했다.
1974년부터 1999년까지 북한의 대표적인 도발 사례는 1974년 2건, 1980년 4건, 1989년 3건, 1998년 2건 등이었다. 1970년대 이후에는 사라진 조기 대신 꽃게잡이 어선에 대한 도발이 주를 이루었다. 1974년 2월 15일 백령도 서방에서 북한 함정 3척이 북방한계선을 침범하여 남한 어선 1척을 격침시키고 1척을 나포한 사건이 발생했다. 북한 측은 이들 선박 수원 32, 33호가 간첩선이며, 남측이 이들을 서해 연해에 침입시켰다고 주장했다. 하지만 우리 측은 수원호 사건이 백령도 서북쪽 30마일 공해상에서 북한군이 도발사건이라고 반박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