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한국근현대사 > 일제치하/항일시대
· ISBN : 9791186096338
· 쪽수 : 3468쪽
· 출판일 : 2016-03-26
책 소개
목차
안중근 자료집 01 안중근 유고-안응칠 역사·동양평화론·기서
발간사
편찬사
『안중근 유고-안응칠 역사·동양평화론·기서』 해제
안중근 유고-안응칠 역사·동양평화론·기서
안중근 유고-안응칠 역사·동양평화론·기서 번역본
① 안응칠 역사
② 동양평화론
③ 기서
安重根 遺稿-安應七 歷史·東洋平和輪·긔서 脫草本
① 安應七 歷史
· 安應七 歷史(漢文本, 日本 國會圖書館本·長崎本 合本)
· 安重根自傳(日本語本, 日本 公文書館本)
② 東洋平和輪
③ 긔서
안중근 유고-안응칠 역사·동양평화론·기서 원본(原本)
① 안응칠 역사
· 안응칠 역사(일본 국회도서관본)
· 안중근전(일본 국회도서관본)
· 안응칠 역사(나가사키본)
· 안중근자전(일본 공문서관본)
② 동양평화론
③ 긔서
안중근 자료집 07 재하얼빈 한인 신문기록
발간사
편찬사
『재하얼빈 한인 신문기록』 해제
재하얼빈 한인 신문기록
재하얼빈 한인 신문기록 번역본
① 김려수 제1회 신문기록
② 김려수 제2회 신문기록
③ 김성옥 제1회 신문기록
④ 김성옥 제2회 신문기록
⑤ 김배근 신문기록
⑥ 김택신 신문기록
⑦ 김형재 제1회 신문기록
⑧ 김형재 제2회 신문기록
⑨ 방사첨 제1회 신문기록
⑩ 방사첨 제2회 신문기록
⑪ 이진옥 제1회 신문기록
⑫ 이진옥 제2회 신문기록
⑬ 장수명 제1회 신문기록
⑭ 장수명 제2회 신문기록
⑮ 탁공규 제1회 신문기록
⑯ 탁공규 제2회 신문기록
⑰ 홍시준 신문기록
⑱ 강봉주 참고인 신문기록
⑲ 김성옥 참고인 신문기록
⑳ 김영환 참고인 신문기록
㉑ 박문순 제1회 참고인 신문기록
㉒ 박문순 제2회 참고인 신문기록
㉓ 김성백 증인 신문기록
在哈爾賓 韓人 訊問記錄 日本語本
① 金麗水 第一回 訊問記錄
② 金麗水 第二回 訊問記錄
③ 金成玉 第一回 訊問記錄
④ 金成玉 第二回 訊問記錄
⑤ 金培根 訊問記錄
⑥ 金澤信 訊問記錄
⑦ 金衡在 第一回 訊問記錄
⑧ 金衡在 第二回 訊問記錄
⑨ 方士瞻 第一回 訊問記錄
⑩ 方士瞻 第二回 訊問記錄
⑪ 李珍玉 第一回 訊問記錄
⑫ 李珍玉 第二回 訊問記錄
⑬ 張首明 第一回 訊問記錄
⑭ 張首明 第二回 訊問記錄
⑮ 卓公圭 第一回 訊問記錄
⑯ 卓公圭 第二回 訊問記錄
⑰ 洪時濬 訊問記錄
⑱ 姜鳳周 參考人 訊問記錄
⑲ 金成玉 參考人 訊問記錄
⑳ 金永煥 參考人 訊問記錄
㉑ 朴文順 第一回 參考人 訊問記錄
㉒ 朴文順 第二回 參考人 訊問記錄
㉓ 金成白 證人 訊問記錄
재하얼빈 한인 신문기록 원본(原本)
① 김려수 제1회 신문기록
② 김려수 제2회 신문기록
③ 김성옥 제1회 신문기록
④ 김성옥 제2회 신문기록
⑤ 김배근 신문기록
⑥ 김택신 신문기록
⑦ 김형재 제1회 신문기록
⑧ 김형재 제2회 신문기록
⑨ 방사첨 제1회 신문기록
⑩ 방사첨 제2회 신문기록
⑪ 이진옥 제1회 신문기록
⑫ 이진옥 제2회 신문기록
⑬ 장수명 제1회 신문기록
⑭ 장수명 제2회 신문기록
⑮ 탁공규 제1회 신문기록
⑯ 탁공규 제2회 신문기록
⑰ 홍시준 신문기록
⑱ 강봉주 참고인 신문기록
⑲ 김성옥 참고인 신문기록
⑳ 김영환 참고인 신문기록
㉑ 박문순 제1회 참고인 신문기록
㉒ 박문순 제2회 참고인 신문기록
㉓ 김성백 증인 신문기록
안중근 자료집 08 일본인 신문·청취기록
발간사
편찬사
『일본인 신문·청취기록』 해제
일본인 신문·청취기록
일본인 신문·청취기록 번역본
신문조서
① 에자키 카쓰타로 증인 신문조서
② 후루야 히사즈나 증인 신문조서
③ 후루사와 코키치 증인 신문조서
④ 쿠토 세이사부로 증인 신문조서
⑤ 미야자키 신조 증인 신문조서
⑥ 모리 레이이치 증인 신문조서
⑦ 스기노 호타로 증인 신문조서
⑧ 고야마 젠 증인 신문조서
⑨ 코지마 신지 증인 신문조서
⑩ 아베 타카 증인 신문조서
⑪ 쇼지 쇼고로 증인 신문조서
⑫ 다나카 세이지로 증인 신문조서
⑬ 나카무라 제코 증인 신문조서
⑭ 쓰마키 야스에 증인 신문조서
⑮ 카와카미 도시히코 증인 신문조서
⑯ 카와하라 군헤이 증인 신문조서
⑰ 나츠아키 카메이치 증인 신문조서
⑱ 이나다 하루 참고인 신문조서
⑲ 오미 카오루 감정인 신문조서
⑳ 토쿠오카 테루타카 감정인 신문조서
㉑ 고야마 젠 감정인 신문조서
청취서
① 무로다 요시아야 청취서 (1)
② 무로다 요시아야 청취서 (2)
③ 모리 타이지로 청취서
④ 오니시 하츠 청취서 (1)
⑤ 오니시 하츠 청취서 (2)
⑥ 고니시 오토야 청취서
⑦ 후루바 와키 청취서
⑧ 요시미 호시치 청취서
시말서
① 요시미 호시치 시말서
日本人 訊問·聽取記錄 日本語本
訊問調書
① 江崎勝太郞 證人 訊問調書
② 古谷久綱 證人 訊問調書
③ 古澤幸吉 證人 訊問調書
④ 工藤淸三郞 證人 訊問調書
⑤ 宮崎新造 證人 訊問調書
⑥ 森良一 證人 訊問調書
⑦ 杉野鋒太郞 證人 訊問調書
⑧ 小山善 證人 訊問調書
⑨ 兒島信治 證人 訊問調書
⑩ 阿部タカ 證人 訊問調書
⑪ 庄司鐘五郎 證人 訊問調書
⑫ 田中淸次郞 證人 訊問調書
⑬ 中村是公 證人 訊問調書
⑭ 妻木ヤスエ 證人 訊問調書
⑮ 川上俊彦 證人 訊問調書
⑯ 河原郡平 證人 訊問調書
⑰ 夏秋龜一 證人 訊問調書
⑱ 稻田ハル 參考人 訊問調書
⑲ 尾見薫 鑑定人 訊問調書
⑳ 德岡凞敬 鑑定人 訊問調書
㉑ 小山善 鑑定人 訊問調書
聽取書
① 室田義文 聽取書 (1)
② 室田義文 聽取書 (2)
③ 森泰二郞 聽取書
④ 大西はつ 聽取書 (1)
⑤ 大西ハツ 聽取書 (2)
⑥ 小西音哉 聽取書
⑦ 古場ワキ 聽取書
⑧ 吉見保七 聽取書
始末書
① 吉見保七 始末書
일본인 신문·청취기록 원본(原本)
신문조서
① 에자키 카쓰타로 증인 신문조서
② 후루야 히사즈나 증인 신문조서
③ 후루사와 코키치 증인 신문조서
④ 쿠토 세이사부로 증인 신문조서
⑤ 미야자키 신조 증인 신문조서
⑥ 모리 레이이치 증인 신문조서
⑦ 스기노 호타로 증인 신문조서
⑧ 고야마 젠 증인 신문조서
⑨ 코지마 신지 증인 신문조서
⑩ 아베 타카 증인 신문조서
⑪ 쇼지 쇼고로 증인 신문조서
⑫ 다나카 세이지로 증인 신문조서
⑬ 나카무라 제코 증인 신문조서
⑭ 쓰마키 야스에 증인 신문조서
⑮ 카와카미 도시히코 증인 신문조서
⑯ 카와하라 군헤이 증인 신문조서
⑰ 나츠아키 카메이치 증인 신문조서
⑱ 이나다 하루 참고인 신문조서
⑲ 오미 카오루 감정인 신문조서
⑳ 토쿠오카 테루타카 감정인 신문조서
㉑ 고야마 젠 감정인 신문조서
청취서
① 무로다 요시아야 청취서 (1)
② 무로다 요시아야 청취서 (2)
③ 모리 타이지로 청취서
④ 오니시 하츠 청취서 (1)
⑤ 오니시 하츠 청취서 (2)
⑥ 고니시 오토야 청취서
⑦ 후루바 와키 청취서
⑧ 요시미 호시치 청취서
시말서
① 요시미 호시치 시말서
안중근 자료집 13 한국인 집필 안중근 전기 Ⅲ
발간사
편찬사
『한국인 집필 안중근 전기 Ⅲ』 해제
한국인 집필 안중근 전기 Ⅲ
한국인 집필 안중근 전기 Ⅲ 번역본
① 대한계년사 중 안중근 기사|정교
② 매천야록 중 안중근 기사|황현
③ 기려수필 중 안중근|송상도
④ 삼한의군 참모중장 안중근전|백산포민(박은식)
⑤ 염재야록 중 안중근 해주|조희제
⑥ 안중근의사 따님의 수기|안현생
⑦ 안중근의사 전기|안학식
韓國人 執筆 安重根 傳記 Ⅲ 脫草本
① 大韓季年史 中 安重根 記事|鄭喬
② 梅泉野錄 中 安重根 記事|黃玹
③ 騎驢隨筆 中 安重根|宋相燾
④ 三韓義軍 參謀中將 安重根傳|白山逋民(朴殷植)
⑤ 念齋野錄 中 安重根 海州|趙熙濟
⑥ 안중근의사 따님의 수기|안현생
⑦ 安重根義士 傳記|安鶴植
한국인 집필 안중근 전기 Ⅲ 원본(原本)
① 대한계년사 중 안중근 기사|정교
② 매천야록 중 안중근 기사|황현
③ 기려수필 중 안중근|송상도
④ 삼한의군 참모중장 안중근전|백산포민(박은식)
⑤ 염재야록 중 안중근 해주|조희제
⑥ 안중근의사 따님의 수기|안현생
⑦ 안중근의사 전기|안학식
안중근 자료집 17 일본 신문 중 안중근 기사 Ⅰ-도쿄 아사히신문
발간사
편찬사
『일본 신문 중 안중근 기사 Ⅰ-도쿄 아사히신문』 해제
일본 신문 중 안중근 기사 Ⅰ-도쿄 아사히신문
일본 신문 중 안중근 기사 Ⅰ-도쿄 아사히신문 번역본
① 1909년 10월 3일
② 1909년 10월 4일
③ 1909년 10월 6일
④ 1909년 10월 9일
⑤ 1909년 10월 11일
⑥ 1909년 10월 12일
⑦ 1909년 10월 13일
⑧ 1909년 10월 14일
⑨ 1909년 10월 16일
⑩ 1909년 10월 17일
⑪ 1909년 10월 18일
⑫ 1909년 10월 19일
⑬ 1909년 10월 21일
⑭ 1909년 10월 22일
⑮ 1909년 10월 23일
⑯ 1909년 10월 24일
⑰ 1909년 10월 25일
⑱ 1909년 10월 26일
⑲ 1909년 10월 27일
⑳ 1909년 10월 28일
㉑ 1909년 10월 29일
㉒ 1909년 10월 30일
㉓ 1909년 10월 31일
日本 新聞 中 安重根 記事 Ⅰ-東京 朝日新聞 日本語本
① 1909年 10月 3日
② 1909年 10月 4日
③ 1909年 10月 6日
④ 1909年 10月 9日
⑤ 1909年 10月 11日
⑥ 1909年 10月 12日
⑦ 1909年 10月 13日
⑧ 1909年 10月 14日
⑨ 1909年 10月 16日
⑩ 1909年 10月 17日
⑪ 1909年 10月 18日
⑫ 1909年 10月 19日
⑬ 1909年 10月 21日
⑭ 1909年 10月 22日
⑮ 1909年 10月 23日
⑯ 1909年 10月 24日
⑰ 1909年 10月 25日
⑱ 1909年 10月 26日
⑲ 1909年 10月 27日
⑳ 1909年 10月 28日
㉑ 1909年 10月 29日
㉒ 1909年 10月 30日
㉓ 1909年 10月 31日
일본 신문 중 안중근 기사 Ⅰ-도쿄 아사히신문 원본(原本)
① 1909년 10월 3일
② 1909년 10월 4일
③ 1909년 10월 6일
④ 1909년 10월 9일
⑤ 1909년 10월 11일
⑥ 1909년 10월 12일
⑦ 1909년 10월 13일
⑧ 1909년 10월 14일
⑨ 1909년 10월 16일
⑩ 1909년 10월 17일
⑪ 1909년 10월 18일
⑫ 1909년 10월 19일
⑬ 1909년 10월 21일
⑭ 1909년 10월 22일
⑮ 1909년 10월 23일
⑯ 1909년 10월 24일
⑰ 1909년 10월 25일
⑱ 1909년 10월 26일
⑲ 1909년 10월 27일
⑳ 1909년 10월 28일
㉑ 1909년 10월 29일
㉒ 1909년 10월 30일
㉓ 1909년 10월 31일
안중근 자료집 25 중국인 집필 안중근 소설 Ⅰ-영웅의 눈물
발간사
편찬사
『중국인 집필 안중근 소설 Ⅰ-영웅의 눈물』 해제
중국인 집필 안중근 소설 Ⅰ-영웅의 눈물
중국인 집필 안중근 소설 Ⅰ-영웅의 눈물 번역본
· 서
· 차례
· 그림
제1권
① 제1회 대원군이 예수교를 학대하고, 민영준이 일 병선을 잘못 쏘다
② 제2회 통상조약을 체결하고, 대원군이 귀정(歸政)하여 영사관을 공격하기 위해 군사를 일으키다
③ 제3회 대원군을 폐하고 군왕과 황후가 정권을 잡고, 변법을 도모하니 신· 구세력이 충돌하다
④ 제4회 오제독(吳提督)이 서울에서 크게 싸우고, 형제는 화목하고 가정 편안 하다
⑤ 제5회 길에서 안 진사는 봉변을 당하고, 인리촌(仁里村) 후필이 대의를 베풀 다
제2권
① 제6회 한국으로 인하여 중일이 조약을 체결하고 황후는 나라를 위해 흉변 을 당하다
② 제7회 구본량(寇本良)이 천리 밖에서 편지를 띄우고, 후필은 평양에서 주연 (酒宴)을 베풀다
③ 제8회 운재소(雲在霄)가 친일당의 목을 자르고, 김유성(金有聲)이 동학부흥 을 부르짖기 시작하였다
④ 제9회 김옥균이 완용에게 편지를 띄우고, 동학당이 전라도에서 난을 일으 키다
⑤ 제10회 홍계훈(洪啓勳)은 고부에서 패전하고, 후필은 유성을 깨우치다
⑥ 제11회 중국이 동학당을 평정하고, 일본이 한국 정치를 개혁하다
⑦ 제12회 한국 때문에 중일 양국은 전쟁을 하고, 독미 양국은 강화를 주장 하다
⑧ 제13회 이홍장이 마관조약을 체결하고, 일본정부가 한국을 감독하다
中國人 執筆 安重根 小說 Ⅰ-英雄涙 中國語本
· 敘
· 目次
· 圖
第一卷
① 第一回 大院君虐待耶穌教 閔泳駿誤擊日兵船
② 第二回 定商約院君歸政 攻使館日本興師
③ 第三回 廢院君王妃擔國政 謀變法新舊起衝突
④ 第四回 吳提督大戰漢城 兄弟和睦家庭順
⑤ 第五回 中途路員外逢凶災 仁里村元首施大義
第二卷
① 第六回 中日因韓定條約 王妃為國罹凶災
② 第七回 寇本良千里寄魚書 侯元首平壤設祖帳
③ 第八回 雲在霄首誅袒日黨 金有聲始倡興東學
④ 第九回 金玉均寄書完用 東學黨作亂全羅
⑤ 第十回 洪啟勛兵敗古埠 侯元首義說有聲
⑥ 第十一回 中國平定東學黨 日本改革朝鮮政
⑦ 第十二回 中日交兵由韓國 德美說和為友邦
⑧ 第十三回 李傅相定約馬關 日政府監督韓國
중국인 집필 안중근 소설 Ⅰ-영웅의 눈물 원본(原本)
· 서
· 차례
· 그림
제1권
① 제1회 대원군이 예수교를 학대하고, 민영준이 일 병선을 잘못 쏘다
② 제2회 통상조약을 체결하고, 대원군이 귀정(歸政)하여 영사관을 공격하기 위해
③ 제3회 대원군을 폐하고 군왕과 황후가 정권을 잡고, 변법을 도모하니 신· 구세력이 충돌하다
④ 제4회 오 제독(吳提督)이 서울에서 크게 싸우고, 형제는 화목하고 가정 편안 하다
⑤ 제5회 길에서 안 진사는 봉변을 당하고, 인리촌(仁里村) 후필이 대의를 베풀다
제2권
① 제6회 한국으로 인하여 중일이 조약을 체결하고 황후는 나라를 위해 흉변 을 당하다
② 제7회 구본량(寇本良)이 천리 밖에서 편지를 띄우고, 후필은 평양에서 주연 (酒宴)을 베풀다
③ 제8회 운재소(雲在霄)가 친일당의 목을 자르고, 김유성(金有聲)이 동학부흥 을 부르짖기 시작하였다
④ 제9회 김옥균이 완용에게 편지를 띄우고, 동학당이 전라도에서 난을 일으키다
⑤ 제10회 홍계훈(洪啓勳)은 고부에서 패전하고, 후필은 유성을 깨우치다
⑥ 제11회 중국이 동학당을 평정하고, 일본이 한국 정치를 개혁하다
⑦ 제12회 한국 때문에 중일 양국은 전쟁을 하고, 독미 양국은 강화를 주장하다
⑧ 제13회 이홍장이 마관조약을 체결하고, 일본정부가 한국을 감독하다
안중근 자료집 26 중국인 집필 안중근 소설 Ⅱ-영웅의 눈물
발간사
편찬사
『중국인 집필 안중근 소설 Ⅱ-영웅의 눈물』 해제
중국인 집필 안중근 소설 Ⅱ-영웅의 눈물
중국인 집필 안중근 소설 Ⅱ-영웅의 눈물 번역본
제3권
① 제14회 약한 국력을 걱정하는 영웅이 모친과 작별하고, 학문이 깊지 못하 다고 여기는 지사들이 유학길에 오르다
② 제15회 안중근이 길에서 의로운 세 친구를 사귀고, 김유성(金有聲)이 여관 에서 아홉 명의 좋은 친구들을 만나다
③ 제16회 영웅들이 미국학교에 들어가고 후필(侯弼)이 신문사를 열다
④ 제17회 이토는 통감도장을 받고, 한국은 앉아서 행정권을 잃다
⑤ 제18회 국채를 청구하고 재정을 감독하며, 인명을 해치고 경찰권을 강탈 하다
⑥ 제19회 일본인들이 부녀강간을 일삼고, 한국은 재판권을 잃다
⑦ 제20회 농부가 원한을 품고 혁명을 일으키고, 부녀가 복수하기 위해 의단 (義團)을 창설하다
⑧ 제21회 본량(本良)이 귀국하여 자치를 주창하고, 악자(岳子)가 통감에 대한 복수로 저격을 하다
제4권
① 제22회 후필이 제자를 위해 죽고, 구본량(寇本良)이 허름한 옷을 입고 도주 하다
② 제23회 안 의사(安義士)가 귀국하여 선생님을 추모하고, 운재수(雲在岫)가 애국회를 만들다
③ 제24회 안 의사(義士)는 길에서 옛친구를 만나고, 이토 통감은 하얼빈에서 흉변을 당하다
④ 제25회 이완용이 영달을 위해 나라를 팔아먹고 김홍주(金洪疇)가 패하여 도주하다
⑤ 제26회 나라가 합병되니 영웅호걸 눈물만 훔치고, 나라가 분할되기 전 나 랏일에 관심을 갖다
中國人 執筆 安重根 小說 Ⅱ-英雄涙 中國語本
第三卷
① 第十四回 憂國弱英雄別母 患學淺\志士游洋
② 第十五回 安重根路收三義友 金有聲店結九良朋
③ 第十六回 英雄同入美學校 侯弼集股開報館
④ 第十七回 伊藤拜受統監印 韓國坐失行政權
⑤ 第十八回 索國債監理財政 傷人命強奪警權
⑥ 第十九回 日人肆行淫婦女 韓國又失審判權
⑦ 第二十回 農夫懷憤倡革命 婦女因仇起義團
⑧ 第二十一回 本良反國倡自治 岳子復仇刺統監
第四卷
① 第二十二回 侯元首為徒殞命 寇本良微服出奔
② 第二十三回 安志士韓國弔恩師 雲在岫義倡愛國會
③ 第二十四回 安志士中途逢故友 伊相國哈埠受凶災
④ 第二十五回 李完用賣國求榮 金洪疇敗兵逃走
⑤ 第二十六回 既合併英雄徒落淚 未瓜分國民宜關心
중국인 집필 안중근 소설 Ⅱ-영웅의 눈물 원본(原本)
제3권
① 제14회 약한 국력을 걱정하는 영웅이 모친과 작별하고, 학문이 깊지 못하 다고 여기는 지사들이 유학길에 오르다
② 제15회 안중근이 길에서 의로운 세 친구를 사귀고, 김유성(金有聲)이 여관 에서 아홉 명의 좋은 친구들을 만나다
③ 제16회 영웅들이 미국학교에 들어가고 후필(侯弼)이 신문사를 열다
④ 제17회 이토는 통감도장을 받고, 한국은 앉아서 행정권을 잃다
⑤ 제18회 국채를 청구하고 재정을 감독하며, 인명을 해치고 경찰권을 강탈 하다
⑥ 제19회 일본인들이 부녀강간을 일삼고, 한국은 재판권을 잃다
⑦ 제20회 농부가 원한을 품고 혁명을 일으키고, 부녀가 복수하기 위해 의단 (義團)을 창설하다
⑧ 제21회 본량(本良)이 귀국하여 자치를 주창하고, 악자(岳子)가 통감에 대한 복수로 저격을 하다
제4권
① 제22회 후필이 제자를 위해 죽고, 구본량(寇本良)이 허름한 옷을 입고 도주 하다
② 제23회 안 의사(安義士)가 귀국하여 선생님을 추모하고, 운재수(雲在岫)가 애국회를 만들다
③ 제24회 안 의사(義士)는 길에서 옛친구를 만나고, 이토 통감은 하얼빈에서 흉변을 당하다
④ 제25회 이완용이 영달을 위해 나라를 팔아먹고 김홍주(金洪疇)가 패하여 도주하다
⑤ 제26회 나라가 합병되니 영웅호걸 눈물만 훔치고, 나라가 분할되기 전 나 랏일에 관심을 갖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