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좋은부모 > 교육/학습 > 학교/학습법
· ISBN : 9791186217474
· 쪽수 : 282쪽
· 출판일 : 2016-07-20
책 소개
목차
머리말 학습부진 아이들에게는 햇살코칭이 필요하다
추천사 어쩌면 학습부진아는 우리 자신이 아니었을까?
Part 1. 학습장애와 학습부진을 극복한 사람들
01_ 시청각장애인에서 유명 작가이자 연설가가 된 헬렌 켈러
02_ IQ 43의 저능아에서 명문대 최우등 졸업생이 된 라이언 카샤
03_ 10살에 글을 깨친 우둔아에서 천재 시인이 된 백곡 김득신
04_ 학습장애를 극복하고 세계 최고의 영화감독이 된 스티븐 스필버그
05_ 난독증을 극복하고 세계적인 억만장자가 된 리처드 브랜슨
06_ 발달장애를 극복하고 초콜릿회사 CEO가 된 루이스 바넷
07_ ADHD를 극복하고 하버드대학원 교수가 된 토드 로즈
Part 2. 학습부진, 이것만은 꼭 알자
01_ 학습부진의 이해: 학습지체, 학습지진, 학습장애
02_ 인지유형의 이해: 시각형, 청각형, 운동감각형
03_ 성격유형의 이해: 머리형, 가슴형, 장형
04_ 학습부진의 유형: 노력형, 동기형, 행동형, 조절형
05_ 학습부진 체크리스트의 이해
06_ 삼중초점모델을 통한 학습부진 극복법
07_ 학습부진을 극복하기 위한 중산층의 규범 배우기
08_ 학습보조자로서의 바람직한 부모 역할
09_ 학습코치로서의 올바른 교사 역할
10_ 효과적인 교수학습전략
Part 3. 영역별 학습부진 지도방법
01_ 학습부진아를 위한 읽기 지도방법
02_ 학습부진아를 위한 쓰기 지도방법
03_ 학습부진아를 위한 수학 지도방법
04_ 영역별 학습부진 체크리스트: 읽기, 쓰기, 수학, 정보처리기술, 언어기술
05_ 학습부진아를 위한 시간관리 지도방법
06_ 학습부진아를 위한 주의 집중력 지도방법
07_ 영역별 학습부진 지도 시 유형별 팁과 유의사항
Part 4. 학습부진아 학습코칭 사례
01_ 학습클리닉프로그램을 활용한 학습부진 지도 사례
02_ 맞춤형스터디 솔루션프로그램을 활용한 학습부진 지도 사례
03_ 또래튜터링프로그램을 활용한 학습부진 지도 사례
04_ 행동수정프로그램을 활용한 학습부진 지도 사례
Part 5. 학습부진아를 위한 학습동기부여 프로그램 사례
01_ 칭찬은 고래도 춤추게 한다
02_ 1회 차 Fun학습법: 퀴즈로 배우는 공부의 원리
03_ 2회 차 꿈을 찾아 떠나는 여행: 성공의 불문율 5가지 방법
04_ 3회 차 동기부여워크숍: 활동시트 작성하기
05_ 4회 차 학습관리워크숍: 카드플래너 활용
06_ 5회 차 카드학습법워크숍: 암기카드 활용법
07_ 6회 차 과정을 마치는 나의 다짐: 수료식과 발표
맺음말 학습부진아를 위한 7가지 햇살코칭전략
부록 학습부진아를 위한 ‘잠깨 독서학습코칭’ 프로그램
참고문헌
저자소개
책속에서
가족이나 친척, 이웃 사람들이 ‘발달장애’ ‘지진아’ ‘저능아’ ‘학습부진’ ‘꼴찌’ ‘바보’ 등의 말로 놀리거나 야유를 보낼 때, 이들은 무한긍정의 에너지로 격려와 칭찬을 아끼지 않았다. 이들의 모습을 지켜보면서 학습장애아나 학습부진아를 변화시키는 것은 꾸지람과 질책 같은 ‘바람’이 아니라 칭찬과 격려 같은 ‘햇살’이라는 것을 깨닫게 되었다. 그래서 <해님과 바람> 이야기에서 아이디어를 얻어 이런 방식의 코칭방법을 ‘햇살코칭’이라고 부르기로 했다. 즉 햇살코칭이란 바람이 아니라 햇살이 나그네의 옷을 벗기듯이, 햇살과도 같은 무한긍정 에너지가 학습부진아들을 변화시킬 수 있다는 뜻을 담고 있다.
_머리말 … 학습부진 아이들에게는 햇살코칭이 필요하다
학습부진 아이들에게는 햇살코칭이 필요하다난독증을 극복하고 세계적 사업가로 우뚝 선 리처드 브랜슨은 이렇게 말한다.
“우등생과 기업가의 자질은 전혀 다릅니다.”
그는 그 둘의 자질을 이렇게 설명한다. 우등생의 자질을 가진 학생은 학교시스템에 복종하면서 선생님 말씀을 잘 듣고, 열심히 교과목을 암기해서 우수한 성적을 거두는 ‘좋은 학생’이다. 하지만 기업가의 자질을 가진 학생은 무한한 꿈과 열망, 호기심, 고집, 반항심 때문에 학교에서 문제아로 불리는 ‘나쁜 학생’이다. 학교에서는 우등생의 자질이 어려운 이론을 배우고 학위를 받는 데에 유리하게 작용하지만, 사회에서는 그 자질이 이론에 갇혀서 새로운 생각과 도전을 못 하도록 막는다. 오히려 불리하게 작용하는 것이다. 리처드 브랜슨은 난독증도 어떻게 바라보느냐에 따라 장점이 될 수도 있음을 세상을 향해 증명해 보이고 있다.
_Part 1. 학습장애와 학습부진을 극복한 사람들
‘학습부진’이란 학습결과가 학습자의 잠재능력에 미치지 못하는 경우를 말한다. 교육부의 <교육발전 5개년 계획안>에 따르면 학습부진아는 ‘지능은 정상이나, 읽고 쓰고 셈하기를 포함한 각 교과가 요구하는 최소한의 학업성취 수준을 미달한 자’로 정의된다. 일반적으로 학습부진은 창의성이 요구되는 영역보다는 지적 활동이 많이 요구되는 영역과 관련이 있다. …
따라서 학습부진은 특별한 아이들만 해당되는 이상한 것이 아니다. 그리고 누구나 잘하는 것과 잘 못하는 것이 있게 마련이다. 어떤 분야에서는 학습성취를 보이지만, 다른 분야에서는 학습부진을 보일 수도 있다. 그러므로 학습부진을 바라볼 때 역시, 정도의 차이만 있을 뿐 누구나 가질 수 있는 현상이라고 생각하는 것이 좋다.
_Part 2. 학습부진, 이것만은 꼭 알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