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소설/시/희곡 > 문학의 이해 > 세계문학론 > 러시아문학론
· ISBN : 9791186430378
· 쪽수 : 296쪽
· 출판일 : 2016-12-26
책 소개
목차
저자의 말__4
1. 소련 노래시의 변천__11
2. 1930년대 소련의 노래시__32
3. 전쟁시 모음집 연구__55
4. 세계의 전장 / 소련 편__75
5. 보리스 파스테르나크__83
6. 보리스 파스테르나크를 소개하며__103
7. 스탈린 문화와 소설—『개척되는 처녀지』의 경우__106
8. 사회주의 리얼리즘 작품론__124
9. 서평: 『스탈린 시대의 문화』 한스 귄터 편__138
10. 서평: 『신기루로부터의 해방』 예브게니 도브렌코 편__144
11. 사회주의 리얼리즘과 루카치, 바흐틴의 문학 논의__149
12. 1930년대와 전쟁 기간의 사랑 노래 비교__165
13. 스탈린 문화 속의 여성—노래시 장르를 중심으로__193
14. 『율리 김, 자유를 노래하다』 역자 서문과 해설__220
15. 러시아 바르드와 율리 김—전쟁 테마를 중심으로__258
찾아보기__291
저자소개
책속에서
정치적 탄압 속에 피어난 러시아 바르드(음유시인)들의 노래
스탈린 사후, 1950년대 중반부터 시인들이 조그만 방에 모여 앉아 하고 싶은 이야기를 시로 쓰고, 그것을 기타 반주의 노래로 불러 차갑게 얼어붙은 러시아인들의 마음을 따뜻하게 녹이고, 촉촉이 적시면서 집집마다 파고들었을 때부터 시인 율리 김의 노래는 영원히 잊혀지지 않는 노래가 되었다.
러시아 바르드(음유시인) 및 이를 계승한 대중음악은 말하자면 서구에서와 같은 포크송도 컨트리송도 샹송도 가곡도 록도 아니다. 이것들의 요소들을 다 갖추고 있으나 그 어느 것과도 딱 떨어지게 일치하지 않는다는 것이 음악 비평가들의 견해이다. 서구 음악 비평가들이 놀라는 것은 러시아 바르드들이 폭 넓고 수많은 청중을 가지고 있다는 사실이다. 통기타를 들고 노래하는 시인들인 러시아 바르드가 정치적 탄압을 받았고 그들의 노래시가 문학성이 높고 체제 도전적이고 하다는 면에서, 구(舊)동베를린에서 1960년대 중반 통기타를 들고 노래하다가 서베를린에 알려지고 곧 출연 금지를 당하고 결국 1976년 구동독에서 추방당했던 음유시인 볼프비어만이나 우리나라에 1970년을 전후하여 나타난 통기타 음유시인들과 유사한 데가 있는 것 같으나 러시아 바르드가 훨씬 폭넓은 청중을 가지고 있다는 면에서는 다른 것 같다.
러시아 바르드는 말하자면 러시아의 특수한 정치?사회적인 상황이 낳은 독특한 문화 현상으로 어쨌든 러시아인들은 서구인들로서는 매우 부러운 고급 대중문화를 가지고 있는 셈이다. - 『율리 김 자유를 노래하다』 역자 서문과 해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