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우리말을 지킨 사람들

우리말을 지킨 사람들

곽영미 (지은이), 이수영 (그림)
숨쉬는책공장
13,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1,700원 -10% 2,500원
650원
13,55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15개 6,90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aladin 9,100원 -10% 450원 7,740원 >

책 이미지

우리말을 지킨 사람들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우리말을 지킨 사람들 
· 분류 : 국내도서 > 어린이 > 문화/예술/인물 > 한국인물
· ISBN : 9791186452776
· 쪽수 : 184쪽
· 출판일 : 2021-09-29

책 소개

우리말 사전인 《말모이》, 《큰사전》 편찬에 힘쓴 인물들과 한글 보급 운동에 참여한 인물들, 우리말을 지키고 다듬고 가로쓰기를 정착시키는 데 애쓴 인물들인 지석영, 호머 헐버트, 주시경, 박용만, 김두봉, 이상춘 등 15명의 이야기를 담았다.

목차

1장 우리의 소중한 말과 글
지석영(1855∼1935년) 우리글의 필요성을 깨치다
호머 헐버트(1863∼1949년) 한글과 조선을 사랑한 외국인
주시경(1876∼1914년) 한글 연구의 주춧돌을 놓다
박용만(1881∼1928년) 미국에서 한글 운동을 펼치다
일제 강점기와 조선어 말살 정책

2장 《말모이》와 주시경의 제자들
김두봉(1889년∼미상) 주시경의 사상을 잇다
이상춘(1882년∼미상) 한글 사전 원고를 기증하다
대종교와 한글학자들
장지영(1887∼1976년) 한글 보급 운동에 앞장서다
최용신(1909∼1935년) 신여성 혼불로 살아가다
한글 운동과 계몽 운동

3장 《큰사전》이 만들어지기까지
권덕규(1890∼1950년) 한글로 역사서를 쓰다
이극로(1893∼1978년) 한글 사전에 열정을 바치다
이우식(1891∼1966년) 조선어 학회 재정 이사로 일하다
조선어 학회 사건

4장 우리말의 다듬기와 변화
최현배(1894∼1970년) 감옥에서 가로쓰기를 완성하다
이인(1896∼1979년) 조선어 학회를 도운 조선인 변호사
이희승(1896∼1989년) 국어 문법의 길을 열다
정인승(1897∼1986년) 《큰사전》 수정에 힘을 싣다

부록
참고 문헌
작가의 말

저자소개

곽영미 (지은이)    정보 더보기
제주에서 태어나 성균관대학교 아동청소년학과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습니다. 지금은 성균관대학교 생활과학연구소의 선임연구원으로 일하며, 대학과 도서관에서 강의를 하고 있습니다. 어린이책으로 《달려라, 요망지게!》, 《오빠가 미운 날》, 《스스로 가족》, 《판타스틱 듀오》, 《우리말을 지킨 사람들》 들을 썼습니다.
펼치기
이수영 (그림)    정보 더보기
공책에 낙서를 끄적이며 화가를 꿈꾸던 어린이였 습니다. 지금도 낙서를 끄적이며 많은 아이디어를 얻고 있어요. 쓰고 그린 책으로 《텔레비전이 고장 났어요!》가 있고, 그린 책으로 《사차원 엄마》 《나도 크리에이터!》 《구불구불 강이 흐르면》 《여기는 빠른섬 미디어를 배웁니다》 《호야, 아빠를 구합니다》 《세상에서 가장 더러운 모험》 《어느 날 미운 친구가 사라졌다》 등이 있습니다.
펼치기

책속에서

“선생님, 무얼 그렇게 열심히 적습니까?”
순돌이는 지석영이 적는 책을 보았다. 언문이 적혀 있었다. 지체 높은 분들은 다들 어려운 한자로 적는데, 지석영은 언문으로 적고 있었다.
_본문 중에서


“이제 한시라도 빨리 우리말과 우리글을 지킬 《말모이》를 만들어야 한다.”
‘말모이’는 말을 모은다는 뜻이다. 주시경은 한글을 모은 《말모이》 사전 사업을 제자들과 함께하자고 했다.
“선생님이 이끌어 주시면 할 수 있습니다.”
“저도 따라가겠습니다.”
제자 김두봉, 이규영, 권덕규은 주시경과 사전 《말모이》를 함께 만들기로 했다. 이렇게 해서 1911년 《말모이》 편찬 사업이 시작되었다.
-본문 중에서


이상춘은 고개를 저으며 말을 이었다.
“사전은 한 민족의 전체 문화를 담는 보고입니다. 개인이 사전을 내는 것도 의미가 있겠지만, 우리 민족 모두가 인정할 수 있는 그런 사전이 되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그러니 이곳에서 제 원고가 제대로 쓰여서 바르게 나오길 바랄 뿐입니다.”
_본문 중에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
97911864529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