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사회적 소통망

사회적 소통망(SNS)의 언어문화 연구

이정복 (지은이)
소통
24,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1,600원 -10% 0원
1,200원
20,4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사회적 소통망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사회적 소통망(SNS)의 언어문화 연구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기호학/언어학 > 언어학/언어사
· ISBN : 9791186453414
· 쪽수 : 498쪽
· 출판일 : 2017-02-20

책 소개

영국 언어학자 데이비드 크리스털은 <언어 혁명>에서 21세기의 세 가지 언어 혁명 중의 하나로써'인터넷을 통한 언어 사용'을 언급했다. 사회적 소통망(SNS)는 인터넷 언어 사용의 중심 요소로 등장하였고 언어 사용의 패턴을 완전히 바꾸어 놓았다.

목차

머리말 / 5
1부_ SNS의 소통 구조와 언어
1장_ SNS의 소통 구조 / 15
1. SNS란 무엇인가? 15
2. 누가, 왜 SNS에 열광하는가? 25
3. SNS의 소통 구조 33
2장_ 통신 언어 사용 동기와 SNS 공간의 통신 언어 / 49
1. 경제적 동기 50
2. 표현적 동기 53
3. 오락적 동기 62
4. 유대 강화 동기 65
5. 심리적 해방 동기 70
3장_ SNS 통신 언어의 특성과 변화 / 75
1. SNS 이용 목적에 따른 통신 언어의 변이 76
2. SNS 통신 언어의 최근 변모 양상 89
2.1 통신 언어는 종결어미 바꾸기에서 90
2.2 인터넷 새말의 꾸준한 등장과 유행 94
2.3 통신 언어가 일상어로 확산, 표준말로 등재 99
2.4 컴퓨터에서 스마트폰으로 무게 중심 이동 108
2.5 그림 글자와 시각 요소의 비중 증가 112
3. SNS 통신 언어의 변화 방향 117
4장_ 대중 매체 언어 연구의 목적과 방향 / 121
1. 매체의 발달과 언어 사용의 관계 123
2. 대중 매체 언어 연구의 최근 경향 132
2.1 인쇄 매체 133
2.2 방송 매체 136
2.3 인터넷 매체 141
3. 대중 매체 언어 연구의 목적 149
4. 대중 매체 언어 연구의 방향 153

2부_ SNS 언어문화의 전개 양상
5장_ 인터넷 말놀이의 유형과 기능 / 161
1. 인터넷 말놀이 관련 선행 연구 163
2. 사회적 소통망 말놀이의 유형 167
3. 사회적 소통망 말놀이의 기능 185
3.1 재미 나누기 186
3.2 심리적 긴장 풀기 188
3.3 정보 전하기 190
3.4 사회 비판하기 192
6장_ '한다요체'의 확산과 분포 / 201
1. '한다요체'의 등장과 확산 202
2. '한다요체'의 기능 215
3. '한다요체'의 사회언어학적 분포 223
7장_ 호칭어를 통한 태도와 정체성 드러내기 / 231
1. 통신 언어 호칭어 연구 검토 232
2. 트위터 호칭어의 쓰임과 기능 235
3. 트위터 호칭어의 쓰임에 대한 통계적 분석 251
8장_ 지역 방언의 쓰임과 사회언어학적 문제 / 261
1. 인터넷 공간의 방언에 대한 연구 검토 263
2. 인터넷 공간의 지역 방언 사용 실태 269
2.1 방언 사용의 의식성 269
2.2 방언 사용의 동기와 기능 273
3. 지역 방언 사용의 사회언어학적 문제 281
9장_ 지역 방언에 대한 누리꾼들의 언어 태도 / 295
1. 개별 방언에 대한 태도 296
1.1 경상 방언 297
1.2 전라 방언 301
1.3 제주 방언 303
1.4 중부 방언 306
2. 방언에 대한 전반적 태도 310
2..1 긍정적 태도 311
2.2 부정적 태도 312
2.3 방언 불평등 및 방언 활용에 대한 태도 317
2.4 인터넷 공간의 방언 사용에 대한 태도 324
10장_ 세대 간 인터넷 소통과 불통 / 329
1. 통신 언어의 세대별 쓰임 332
2. 통신 언어와 관련된 세대별 태도 339
3. 세대 간 의사소통 문제의 원인 346

3부_ 한국과 중국의 SNS 언어문화 비교
11장_ 인터넷 통신 별명 / 363
1. 통신 별명의 개념과 특성 365
2. 구조와 의미 유형에 따른 통신 별명의 분류 369
2.1 구조에 따른 통신 별명 369
2.2 의미 유형에 따른 통신 별명 374
3. 통신 언어 발생 동기와 통신 별명의 쓰임 387
3.1 경제적 동기 388
3.2 표현적 동기 390
3.3 오락적 동기 393
3.4 유대 강화 동기 396
3.5 심리적 해방 동기 398
4. 한중 통신 별명의 특징 비교 400
12장_ 의성어와 의태어 / 405
1. 의성의태어에 대한 선행 연구 검토 407
2. 일상어와 인터넷에서 두루 쓰이는 의성의태어 409
2.1 의성어 410
2.2 의태어 420
3. 통신 언어로 활발히 쓰이는 의성의태어 427
3.1 의성어 428
3.2 의태어 433
4. 한중 인터넷 의성의태어의 특징 비교 437
13장_ 호칭어 '님'과 '?(친)' / 443
1. '님'과 '친'의 쓰임과 기능 446
1.1 접미사로서의 쓰임 446
1.2 의존명사로서의 쓰임 451
1.3 대명사로서의 쓰임 455
2. '님'과 '친'의 세대별 쓰임 457
3. '님'과 '친' 사용의 공통점과 차이점 464

참고문헌 470
찾아보기 495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