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21세기 한국영화

21세기 한국영화

(IMF 이후 변화상을 중심으로)

함충범, 정태수, 정찬철, 이현진, 이지현, 강지원, 우현용, 박병윤, 박일아, 김승경 (지은이)
국학자료원
17,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6,150원 -5% 0원
490원
15,66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21세기 한국영화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21세기 한국영화 (IMF 이후 변화상을 중심으로)
· 분류 : 국내도서 > 예술/대중문화 > 영화/드라마 > 한국영화
· ISBN : 9791186478868
· 쪽수 : 246쪽
· 출판일 : 2016-03-30

책 소개

한양대학교 현대영화연구소 시리즈 4편. 21세기 한국영화에 대한 연구와 세미나를 거쳐 정책과 제도, 자본과 산업, 관람문화라는 키워드를 설정하고, 이를 통해 분석하였다.

목차

? 서문

Ⅰ. 정책과 제도

1. 영화진흥법 개정과정과 내용 14
1) IMF체제 하 ‘국민의 정부’의 영화 정책 기조 14
2) 등급분류의 조정과 진흥기구의 개편 18
3) 탈규제와 제도적 체계화, 그리고 세계화의 지향 24
4) 역사적 의의와 한계 및 이후의 양상 31

2. 영화등급제도의 변화와 쟁점 33
1) IMF 이전의 영화심의제도 33
2) 규제 완화와 표현의 자유 35
3) 영화등급분류제를 둘러싼 쟁점 40
4) 탈규제의 성과와 향후 과제 47

3. 영화진흥위원회의 설립 배경과 활동 양상 49
1) 영화진흥위원회의 설립 배경 49
2) 영화진흥위원회의 활동 양상 55
3) 영화진흥기구로서 영진위의 공과 및 향후 방향 67

Ⅱ. 자본과 산업

1. IMF 이전 한국영화산업의 동향 74

2. 제작 78
1) 2000년: 제작사 중심의 합종연횡 78
2) 제작사의 추락 85
3) 제작사의 생존의 문제 94

3. 투자 배급 97
1) 새로운 투자자본의 유입 97
2) 중소영화 전문 투자배급사의 등장과 쇠퇴 115
3) 전략적 투자자들의 시장 석권 119

4. 상영 128
1) 멀티플렉스의 배경과 등장 128
2) 상영관을 둘러싼 갈등과 논란 133
3) 상영관의 다각적인 변화: 차별화, 글로벌, 예술전용관 140


5. 부가시장 147
1) 디지털 환경의 확산과 새로운 영화 감상 매체의 형성 147
2) 인터넷과 디지털 제품의 일상화 149
3) 디지털 시네마와 디지털 온라인 시장의 형성 151
4) 디지털 온라인 시장의 관객과 영화산업 163
5) 영화 부가산업시장의 재편 165


Ⅲ. 관람문화

1. 국제 교류 : 국내와 해외의 국제영화제, 영화의 한류 175
1) 국내의 국제영화제 활성화 경향 175
2) 한국영화의 해외영화제 진출 방향 185
3) 영화 분야의 한류 201

2. 문화에서 산업으로, IMF 이후 한국영화의
위상변화와 인식의 전환 210
1) 영화, 산업과 문화의 경계 210
2) 영화, 문화에서 상품으로 214
3) 한미투자협정과 스크린쿼터 제도, 문화에서 산업으로 220
4) 영화산업노조의 출범과 산업으로서 영화 228
5) 한국영화의 위상 변화와 인식의 전환 231

참고문헌 237

저자소개

함충범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양대학교 연극영화학과에서 영화학 박사학위를, 고려대학교 중일어문학과에서 문학 박사학위를 받았으며, 서울시립대학교 국사학과 박사과정을 수료한 상태이다. 고려대학교 일본연구센터 연구교수, 나고야대학교대학원 문학연구과 객원연구원, 한양대학교 현대영화연구소 연구교수를 거쳐, 현재 한국영상대학교 영화영상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주요 연구 분야는 한국영화사, 북한영화사, 일본영화사 등을 아우르는 동아시아영화사이다. 주 전공은 식민지 시대를 중심으로 하는 한일 영화 교류·관계사이고, 계속해서 그 시기와 지역을 확대하며 연구의 지평을 넓혀 가는 중이다.
펼치기
정찬철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국외국어대학교 미네르바교양대학 교수로 있다. 한양대학교 영화학과에서 포스트시네마에 관한 연구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영화 기술 및 문화, 미디어 고고학, 미디어 기술의 문화사에 관심을 두고 있다. 「포스트시네마로의 전환」(2015), 「완전 영화의 테크놀로지: 바쟁, 시네마스코프, 공간 영화」(2019), 『디지털 시각 효과에 관한 짧은 역사』(2018) 등을 쓰고, 「키틀러 이후: 최근 독일 미디어 이론으로서 문화기술학에 관하여」(2018), 『미디어 고고학이란 무엇인가』(공역, 근간) 등을 우리말로 옮겼다.
펼치기
이현진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양대학교 영화학 석사, 박사수료
펼치기
이지현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양대학교 영화학 박사, Universit? de Caen 석사, 한양대, 경희대 강사
펼치기
강지원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양대학교 영화학 박사수료 Rochester Institute of Technology MFA (College of Imaging Arts), 한양대학교 영화학전공 겸임교수
펼치기
우현용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양대학교 영화학 석사, 박사수료, 인천가톨릭대 강사
펼치기
박병윤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양대학교 영화학 석사, 박사수료, 경기대, 세종대 강사
펼치기
박일아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 구절, 한 장면을 가지고 음미하기를 좋아하는 사색가. 영화이론을 전공하고 한양대, 인하대, 숭의여대에서 강의를 한다. 서울시교육청 고전인문아카데미 '고전 인문학이 돌아오다' 등에서 대중 강연도 하고 있다. 공저로 《21세기 한국영화》 《휴전과 한국영화》가 있다. 영화를 통해 다양한 사람들의 시선을 공유하는 것이 보다 넓은 세상을 이해하는 한 걸음이라고 믿는다.
펼치기
김승경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양대학교 영화학 석사, 박사수료, 한국영상자료원 영화사연구소 연구원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