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문화/문화이론 > 일본문화
· ISBN : 9791186578889
· 쪽수 : 376쪽
· 출판일 : 2021-03-31
책 소개
목차
일본문화총서 속편 발간에 즈음하여 ·5
古代 (1세기~1185)
01. 고대 일본의 민간요법 ? 13
02. 왜 결혼이란 것을 꼭 해야 하죠? - 21
03. 일본판 ‘선녀의 날개옷 전설’ - 29
04. 여성의 불안을 가나 문자로 적은 일기-38
05. 애정과 증오의 끝에서 - 47
06. 질병이 사랑의 도구라고? - 55
07. 왕조 모노가타리의 빛나는 주인공 - 63
08. 일본 문학 속 고양이 이야기 ? 71
09. 젊은 승려에 홀려 뱀이 된 과부 - 79
中近世(1185~1867)
10. 노래를 통해 보는 일본 중세 유녀의 문화사·89
11. 되풀이 되는 몸바뀜 이야기 ? 95
12. 억세게, 뻔뻔하게 ? 102
13. 봄에는 와카를, 가을에는 하이쿠를 기억하다·110
14. 흔들리는 인생관, 우키요 - 118
15. 세계문학사에 유일무이한 장르 - 126
16. 류큐 정쟁(政?)에 뛰어든 활의 명수 ? 134
17. 삽화소설로 되살아난 가부키(歌舞伎) - 141
18. 역병과 가짜 뉴스로 본 일본 사회 서벌턴·147
近現代(1868~2020)
19. 나쓰메 소세키의 질병 체험을 통한 글쓰기 의미·157
20. 무사시노를 걷다 ? 165
21. 언어 연금술사의 원더랜드 ? 172
22. 이중적 성향이 천재를 낳다 ? 178
23. 조선을 사랑하여 추방당한 시인 ? 186
24. 일본 페미니즘문학의 바이블 ? 194
25. 동화로 읽는 인생의 이정표- 202
26. 죽음(死)과 시(詩)가 만나게 될 때 ? 209
27. 가와바타 야스나리의 『설국』 - 217
28. 지상 최고의 사랑을 꿈꾸다 ? 226
29. 우주적 고독과 생명력 ? 233
30. 외설과 예술 사이, 에로틱 서스펜스로 그리는 노년의 성 ? 240
31. 강의실에서 만난 명작의 의미 ? 249
32. 재난에 좌절하지 않는 인생들의 시점 - 254
33. 불경한 ‘정치소년’ 세상에 나오다 ? 261
34. 산간마을 소년에서 노벨문학상까지 ? 269
35. 난해한 소설의 수수께끼 풀이 ? 275
36. 특권적 육체론, 역도산 ? 283
37. 내가 누구인지 말할 수 있는 자 ? 291
38. 오키나와인은 누구인가? 일본인은 누구인가? - 296
39. 가차시와 시마고토바로 만나는 오키나와, 아시아, 그리고 여성- 304
40. 폭력을 감지하는 예리한 감수성, 행동하는 문학자 ? 311
41. 사소설이 『사소설』이 될 때 ? 318
42. 암호화 되어 있는 수식, 그리고 조화 ? 323
43. 판타지에서 현실로 ? 329
44. 고통을 바라보다 ? 335
45. 소중한 사람, 잊으면 안 되는 사람, 잊고 싶지 않았던 사람! 344
46. 난자는 난세포라 불러야 옳다! - 350
47. 현생인류의 존재방식을 묻는 스페이스 오디세이- 355
48. 코로나가 사라지면 나 미쳐버릴지도 몰라- 361
49. 재일 사회파 추리소설 작가의 탄생 - 368
일본문화총서 속편 발간에 즈음하여 ·5
古代 (1세기~1185)
01. 고대 일본의 민간요법 – 13
02. 왜 결혼이란 것을 꼭 해야 하죠? - 21
03. 일본판 ‘선녀의 날개옷 전설’ - 29
04. 여성의 불안을 가나 문자로 적은 일기-38
05. 애정과 증오의 끝에서 - 47
06. 질병이 사랑의 도구라고? - 55
07. 왕조 모노가타리의 빛나는 주인공 - 63
08. 일본 문학 속 고양이 이야기 – 71
09. 젊은 승려에 홀려 뱀이 된 과부 - 79
中近世(1185~1867)
10. 노래를 통해 보는 일본 중세 유녀의 문화사·89
11. 되풀이 되는 몸바뀜 이야기 – 95
12. 억세게, 뻔뻔하게 – 102
13. 봄에는 와카를, 가을에는 하이쿠를 기억하다·110
14. 흔들리는 인생관, 우키요 - 118
15. 세계문학사에 유일무이한 장르 - 126
16. 류큐 정쟁(政争)에 뛰어든 활의 명수 – 134
17. 삽화소설로 되살아난 가부키(歌舞伎) - 141
18. 역병과 가짜 뉴스로 본 일본 사회 서벌턴·147
近現代(1868~2020)
19. 나쓰메 소세키의 질병 체험을 통한 글쓰기 의미·157
20. 무사시노를 걷다 – 165
21. 언어 연금술사의 원더랜드 – 172
22. 이중적 성향이 천재를 낳다 – 178
23. 조선을 사랑하여 추방당한 시인 – 186
24. 일본 페미니즘문학의 바이블 – 194
25. 동화로 읽는 인생의 이정표- 202
26. 죽음(死)과 시(詩)가 만나게 될 때 – 209
27. 가와바타 야스나리의 『설국』 - 217
28. 지상 최고의 사랑을 꿈꾸다 – 226
29. 우주적 고독과 생명력 – 233
30. 외설과 예술 사이, 에로틱 서스펜스로 그리는 노년의 성 – 240
31. 강의실에서 만난 명작의 의미 – 249
32. 재난에 좌절하지 않는 인생들의 시점 - 254
33. 불경한 ‘정치소년’ 세상에 나오다 – 261
34. 산간마을 소년에서 노벨문학상까지 – 269
35. 난해한 소설의 수수께끼 풀이 – 275
36. 특권적 육체론, 역도산 – 283
37. 내가 누구인지 말할 수 있는 자 – 291
38. 오키나와인은 누구인가? 일본인은 누구인가? - 296
39. 가차시와 시마고토바로 만나는 오키나와, 아시아, 그리고 여성- 304
40. 폭력을 감지하는 예리한 감수성, 행동하는 문학자 – 311
41. 사소설이 『사소설』이 될 때 – 318
42. 암호화 되어 있는 수식, 그리고 조화 – 323
43. 판타지에서 현실로 – 329
44. 고통을 바라보다 – 335
45. 소중한 사람, 잊으면 안 되는 사람, 잊고 싶지 않았던 사람! 344
46. 난자는 난세포라 불러야 옳다! - 350
47. 현생인류의 존재방식을 묻는 스페이스 오디세이- 355
48. 코로나가 사라지면 나 미쳐버릴지도 몰라- 361
49. 재일 사회파 추리소설 작가의 탄생 - 368
저자소개
책속에서
고대 공동체 사회의 수장(首長)은 주술 및 종교적 직능(職能)을 가지고 통치 능력을 보완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