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아무튼, 외국어

아무튼, 외국어

(모든 나라에는 철수와 영희가 있다)

조지영 (지은이)
위고
12,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0,800원 -10% 2,500원
600원
12,7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aladin 7,700원 -10% 380원 6,550원 >

책 이미지

아무튼, 외국어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아무튼, 외국어 (모든 나라에는 철수와 영희가 있다)
· 분류 : 국내도서 > 에세이 > 한국에세이
· ISBN : 9791186602409
· 쪽수 : 164쪽
· 출판일 : 2018-05-04

책 소개

아무튼 시리즈 12번째 주인공은 외국어 방랑자이다. 관심은 많지만 열심히는 하지 않는 꾸준함, 습관적인 게으름 속에서도 오랫동안 이어지는 이 집요한 미련을 해부(?)하고자, 미지의 외국어가 어째서 나를 매혹시켰는지, 혹은 그 매혹이 문득문득 어떻게 다시 일상에서 발현되곤 하는지를 더듬는다.

목차

아마도, 아마도, 아마도
어느 나라에나 철수와 영희가 있다

Bienvenue!
전공 불문입니다만
알리앙스여 안녕!
나는 그 사람이 아프다

Willkommen!
데어 데스 뎀 덴 디 데어 데어 디
안녕히 계세요, 또 만나요, 잘 가요
어제의 세계

¡Bienvenido!
‘바르셀로나의 모험’ 같은 제목을 걸고
내 사랑, 내 마음, 너의 눈
우나 세르베자, 포르 파보르

ようこそ!
그것은 일본어의 첫 키스니까
듣기와 말하기만이라도 어떻게 좀 안 될까?
아무튼, 계속 쓰고, 뛰며, 싸워나가는

欢迎!
미국식 커피를 마신다
애타게 청명검을 찾아서
등려군의 달, 왕페이의 달

지금이 아닌 언젠가, 여기가 아닌 어딘가

저자소개

조지영 (지은이)    정보 더보기
문학청년의 꿈을 품고 불어불문학과에 입학했으나 재능과 노력 어느 요건도 충족하지 못해 졸업 이후 일찌감치 전공과 무관한 직업을 택하여 오늘도 출퇴근에 매진하고 있다. 오래전 TV평론가 공모전에 당선되었던 추억이 있지만, 본방 사수가 어려운 관계로 활동은 전무하다. 연중 돈을 벌고 연휴에 돈을 쓰며 명절 피란을 단행하는 등 틈틈이 이국으로의 도피를 모색하다 연휴가 끝날 무렵 냉큼 돌아오는 일상을 반복하며 근속 일수를 늘려가고 있다. 귀국행 비행기에서 ‘이 나라 말을 배워서 다시 오자’ 다짐하면서.
펼치기

책속에서

외국어를 배울 때 고생문이 열리는 지점은 그러니까 바로 이런 순간, 시제를 배울 때다. 성과 수와 시제를 일치시켜야 할 때, 정확하게는 우리에게 없는 것을 배울 때다. 무엇이든 일대일 대응이 된다면, 어렵지 않다. 엄마와 아빠와 친구들, 책과 눈과 비와 사랑같이, 형태가 같고 개념이 같은 것들은 그대로 외우면 된다. 그러나 우리에게 없는 말들은 곧 우리에게 없는 개념들이다. 프라하의 소비에트 학교에서 수학했고, 후일 러시아어 통역을 오래 했던 일본의 에세이스트 요네하라 마리는, 열네 살에 일본으로 돌아오기 전까지는 ‘열등감’이라는 말을 들어본 적이 없어서, 그런 감정이 무엇인지도 몰랐다고 생전에 술회했다. 심지어 체코에서는 '어깨 결림'이라는 말도 들은 적이 없으니, 말이 없으면 신체 감각도 없게 마련이라고 했다. _「어느 나라에나 철수와 영희가 있다」


졸업 이후 지금까지, 프랑스어는커녕 문학의 ‘문’과도 일절 상관없는 매일매일을 20년 가까이 뚜벅뚜벅 지내오고 있다. 출근을 하고 퇴근을 하고 야근을 하고 기안을 올리고 결재를 하고 보고를 하고, 다시 출근을 하고…. 그런 일상의 틈새로 불현듯 마들렌 쿠키가 출몰할 때면, ‘아, 내가 그래도 불문과를 나왔는데…’ 하는 뜻 모를 상념에 젖곤 한다. 가령, 여름이 끝나갈 무렵 이소라의 <바람이 분다>를 들을 때처럼. _「나는 그 사람이 아프다」


‘독일=재미없음’이라는 인식은 새삼스럽지도 않았지만, 라디오에서 <맨해튼의 선신>을 듣고 동네 술집에라도 모여서 “어제 라디오 들었어?” 하면서 드라마 얘기를 나눴을 옛날 독일 사람들을 생각해보니 이상한 흥미가 돋았다. 진지함을 재미로 소비할 수 있는 성향이랄까, 문화랄까 그런 국가적(?) 특징은 어디서 비롯되는 것일까 궁금했다. 독일 책들은 재미없었지만 그 책들을 재미있게 읽고 있을 독일 사람들에게는 왠지 모를 호감을 느꼈다. 어렵고 복잡하고 깊고?진지한 것들을 외면하지 않는 사람들 같았다. _「데어 데스 뎀 덴 디 데어 데어 디」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
979116089107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