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한국인도 모르고 중국인도 모르는 한·중 우호 교류사

한국인도 모르고 중국인도 모르는 한·중 우호 교류사

김승일 (지은이)
경지출판사
23,8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1,420원 -10% 0원
1,190원
20,23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한국인도 모르고 중국인도 모르는 한·중 우호 교류사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한국인도 모르고 중국인도 모르는 한·중 우호 교류사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정치학/외교학/행정학 > 외교정책/외교학
· ISBN : 9791186819791
· 쪽수 : 434쪽
· 출판일 : 2018-01-13

책 소개

한중관계의 역사는 수천 년 동안 이루어졌고, 그러한 오랜 시간을 지나면서 여러 사안들도 발생했지만, 서로의 보호와 협조 아래 세계에서도 몇 안 되는 오랜 역사를 지닌 국가로써 오늘날까지 존재하고 있는 매우 드문 교류관계를 지니고 있다.

목차

제1장 한국인이 본 중국의 가치관
1. 중국의 전통가치와 현대세계
1) 교화(敎化)적 문화이념을 전파해온 중국
2) 동아시아에 대한 서양의 시각 변화와 동아시아인의 대처
2. 중국 전통가치관의 한국적 수용문제
1) 호칭을 통해 본 한국인의 중국 중국인관
2) 수교 이후 중국 가치이념의 한국 전파 경로와 문제
3) 한중 양국 상호간의 올바른 가치관 정립을 위한 제언

제2장 중국문화는 한국문화의 원류
1. 한국문화를 중국문화 속에서 이해해야만 하는 이유
2. 중국문화를 변용(變容)시킨 한국문화
3. 유교를 통해 본 중국문화의 한국적 수용 모식(模式)

제3장 고대 한중 양국의 유기적(有機的) 관계
1. 중한의 조공관념과 제도
1) 중화 지배질서의 이념과 조공 기능의 변질 배경
2) 외교형식의 조공에서 무역형식의 조공으로
2. 중국의 대외민족주의와 조선(朝鮮)
1) 중국 대외민족주의 범주 속의 조선과 국제환경
2) 일본의 조선 출병과 명의 대외민족주의의 충돌

제4장 호혜와 존중의 문화교류
1. 인적 물적 문화교류
1) 상호보완적 문화교류
2) 우호 친선 교류
2. 정보문화교류의 역사적 기능
1) 호혜적 정보문화교류
2) 정보문화교류의 시기별 역할과 영향

제5장 근대 한중간의 애상(愛想)과 편견(偏見)
1. 중국은 한국의 롤모델(role model)
1) 이론과 실천에 있어서 양국 지식인들의 지적 함수관계
2) “중국에게 배우자(學中國)”를 주창한 북학파(北學派)의 중국관
2. 조선에 대한 청말 양무파(洋務派)의 착오와 교훈
1) 양무파 조선책략의 한계와 모순
2) 제국주의 침략의 길을 열어준 양무파의 조선책략
3) 조선의 개화파를 아우르지 못한 청말 양무파의 국제인식
3. 전통 가치이념에 갇혀버린 한중 양국의 지식인들
1) 청말 중국지식인들의 관념론적 유불사상의 비현실론
2) 한말(韓末) 지식인들의 독선적 소중화주의의 비극

제6장 중국혁명 전후 한중 양국의 역학적 관계
1. 동아시아의 신질서 구축과 한중관계의 현대적 의의
1) 중국 국공 양당의 정책 노선과 한국 통일전선의 성격
2) 신질서 구축을 위한 한중 양국의 역할
2. 한국 화교(華僑)의 역정(歷程) 곡절(曲折) 희망(希望)
1) 한국 화교의 곡절과 분투
2) 한국 화교의 특성과 한국 차이나타운의 출현
3. 잠자는 사자(중국)에 접근하려던 한국의 참사
1) 한국의 북방정책과 아웅산(Aung San)묘역 참사
2) 잠자는 사자에 대한 접근 노력과 실패

제7장 한중 발전상의 유사성(類似性)과 상대성(相對性)
1. 중국특색의 사회주의와 한국식 민주주의
1) 중국특색의 사회주의
2) 한국식 민주주의와 경제발전
2. “중국의 꿈(中國夢)”과 “정의로운 대한민국”의 실현
1) ‘샤오캉(小康)사회’의 실현을 꿈꾸는 “중국의 꿈”
2) ‘국민의 나라’를 지향하는 “정의로운 대한민국” 3. 문화와 성장의 교향악(交響樂)
1) 한중 양국 경제발전의 문화적 기초
2) 한중 관계의 조화로운 발전을 위한 제언

제8장 한중 양국 국민이 서로를 이해하는 지혜가 필요한 시대
1. 중국 역사학계의 한중관계사 연구시각에 대한 검토와 제언
1) 자해적(自害的) 시각의 동북공정(東北工程) 연구
2) 한국학계의 한중관계사 연구시각에 대한 중국학자들의 비판
2. 중국은 기회의 땅인가?
1) 중국식 사회주의 시장경제에 대한 한국인의 시각
2) 세계경제의 주역인 중국과의 교류는 한국의 운명
3. 한국은 작은 나라인가
1) 거인병에 걸린 중국의 자가당착
2) 한국도 큰 나라다

제9장 한중관계의 재정립과 미래의 역할
1. 동아시아 전통지역질서에 대한 새로운 인식의 필요성
2. 한중 양국의 관계발전을 위한 역사적 모형
3. 세계의 형상을 변화시키자

부록Ⅰ
동북아의 화해(和諧)와 공생(共生)을 위한 제언
- 역사교과서의 수정과 공동연구의 문제점과 해결방법
부록Ⅱ
나의 중국 이야기 - 중국연구의 계기

후기
중문 서문 및 목차
일문 서문 및 목차

저자소개

김승일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87년 중국대만(정치대학 문학석사)과 1992년 일본(국립규슈대학 문학박사)에서 중국현대사를 전공한 후 귀국해 동아시아경제연구원 수석연구원 등으로 활동하는 동안 하와이대학 동서문화센터에서 연수한 바 있다. 2002년부터 국민대 한국학과와 동아대 동북아특수대학원에서 교수를 역임했고, 2012년부터 ‘동아시아미래연구원’ 원장으로 활동하고 있다. 연구 성과로는 『한민족과 동아시아세계』, 『[중문] 내 눈 속의 한중관계(我眼中的韓中關係)』, 『[일문] 중국혁명의 기원』등 40종의 저술과 「한중일 삼국의 근대화 좌절과 성공의 사상적 배경에 관한 비교연구」를 비롯해 200여 편의 논문이 있으며, 『모택동선집』등 200여 종의 역서가 있다. 이러한 공로를 중국정부로부터 인정받아 2012년에 ‘중화도서특수공헌상”을 수상했고, 2018년에는 저서『내 눈 속의 한중관계』가 ‘135중국중점출판물출판계획항목’과 ‘2021-2022년도 중국문화수출중점항목’에 선정된 바 있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