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동양철학 > 한국철학 > 퇴계/율곡
· ISBN : 9791186853108
· 쪽수 : 443쪽
· 출판일 : 2016-05-15
책 소개
목차
서문
· 책의 구성과 내용 등에 대하여
조선의 도학: 퇴계와 율곡의 성학
퇴계와 율곡 성학의 구조: 전통적 학 개념과 퇴·율 성학의 이학-심학 연관 구조
1. 들어가며: 유학 분류의 기준에 관하여
2. 성학의 구조와 검증 체계
3. 이학-심학, 그리고 성학
4. 퇴·율 심학의 귀결과 도학 실천 방향
5. 나오며
사계와 우암의 퇴계·율곡 읽기: 이발 비판과 심시기 강조의 한계
1. 들어가며
2. 율곡의 호발 비판과 일본의 이상
3. 사계와 우암의 심시기와 이발 비판
4. 이의 의미 재발견과 율곡학파의 분열
5. 나오며
퇴계학파의 학문과 실천
직전제자들의 미발심체·지각 논쟁과 예학
1. 들어가며
2. 심위태극과 존체응용
3. 본체와 주재의 일치
4. 나오며
퇴계학파 예학의 심학적 기반과 수범적 예교: 학봉과 간재를 중심으로
1. 들어가며
2. 심위태극과 호발의 외왕론
3. 수범적 예교와 시중의 주체
4. 주자 예학과 사설의 계승
5. 나오며
근기 남인의 학문: 한강 정구와 여헌 장현광
한강 정구의 성리학 체계와 연원: 천리와 인욕의 대립 구조와 “정중유물”의 의미를 중심으로
1. 들어가며
2. 천인일리의 상동구조와 본질적 주재
3. 본질과 현실의 내외 대립적 구조
4. 생명성 편재의 본체와 무욕 속 정 본체
5. 나오며: 정맥과 고풍, 그리고 현실적 한계
여헌 장현광과 17세기 근기 남인 사상: 일원과 심태허, 경상의 도덕론
1. 들어가며
2. 일원과 대대의 본체
3. 심태허와 경상의 회복
4. 나오며
퇴계학파와 근기 남인의 학통
퇴계학파의 학문적 특성과 학파의 혼입
1. 들어가며
2. 퇴계 직전 제자의 범위
3. 자료분석의 기준과 철리시
4. 퇴계학의 체계와 사설 계승
5. 퇴계학파와 남인계열의 혼입
6. 나오며
근기남인 학통 재검토: 도통의 계승인가, 형이상학의 계승인가?
1. 들어가며
2. 퇴계학파의 심학: 심여리상함의 심위태극
3. 남명-한강의 심학: 사욕정진의 정중유물
4. 여헌의 이학과 심학: 일원의 경위와 심태허
5. 미수와 백호의 본체: 성발위정과 무사의 일본
6. 나오며
근기 실학과 성호학파의 퇴계학
반계 유형원 실학의 철학적 기저: 물지리의 주재성과 이전위본
1. 들어가며
2. 이의 주재성과 물지리
3. 이전위본의 사회사상
4. 나오며
성호 이익의 퇴계 읽기와 학파 분열: 성호와 근기남인의 학문적 접점과 “도동론”의 괴리
1. 들어가며
2. 『도동록』과 근기남인의 학문
3. 『사칠신편』의 기발과 공희로
4. 심위태극과 탈도학적 퇴계읽기
5. 나오며
· 참고문헌
·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