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한강 정구의 삶과 사상

한강 정구의 삶과 사상

(조선 중기의 낙중학)

정우락, 홍원식, 김학수, 정도원, 정시열, 김무진, 추제협, 김현수 (지은이)
계명대학교출판부
28,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8,000원 -0% 0원
1,400원
26,6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한강 정구의 삶과 사상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한강 정구의 삶과 사상 (조선 중기의 낙중학)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인문계열 > 철학
· ISBN : 9788975857621
· 쪽수 : 330쪽
· 출판일 : 2017-01-31

책 소개

낙중학 총서 3권. 한강 정구는 한훤당 김굉필의 외증손으로 조선 중기 낙중학을 대표하는 인물이다. 이 책에는 '낙중학'이란 관점으로 총 8편의 글을 실었다.

목차

여는 글_4

총론
■ 조선 중기 낙중학과 정구의 ‘한강학’_홍원식
1. 머리말 10
2. 정구의 학맥 연원과 학통 및 도통 의식 12
3. ‘명체적용’의 한강학 20
4. 맺음말 24

제1부 정구의 학맥과 사상
■ 한강 정구의 학문 연원_김학수
1. 머리말 28
2. 가학연원: 친외 양변적 학문의 수용과 계승 29
3. 영남학통의 계승: 다원적 사승과 그것의 통섭과 절충 49
4. 맺음말 68

■ 한강 정구의 성리학 체계와 연원에 관한 소고_정도원
1. 머리말 70
2. 천인일리의 상동구조와 본질적 주재 77
3. 본질과 현실의 내외 대립적 구조 86
4. 생명성 편재의 본체와 무욕 속 정의 본체 92
5. 맺음말: 정맥과 고풍, 그리고 현실적 한계 96

■ <심경발휘>와 정구의 심학_추제협
1. 머리말 102
2. <심경발휘>의 체계와 특징 105
3. '경이직내장'에 나타난 ‘경’의 체계와 논리 111
4. '존덕성재명장'에 나타난 존덕성과 도문학의 관계 118
5. <심경발휘>와 ‘경간’ 127
6. 맺음말: 정구 심학의 의의 131

■ 한강 정구의 예학_김현수
1. 머리말 134
2. 종법과 제례 137
3. 상례 157
4. 맺음말 183

제2부 정구의 경세관과 문학
■ 한강 정구의 현실인식과 경세관_김무진
1. 머리말 194
2. 관직생활과 향촌사회에서의 활동 198
3. 현실인식과 경세론의 구조 218
4. 맺음말 238

■ 한강 정구의 상소문 연구_정시열
1. 머리말 241
2. 사실에 근거한 설득: 경계와 면피의 수단 244
3. 논리적 사유와 입론: 국가 기강의 확립 252
4. 정서적 압박과 호소: 왕실 문제의 해결 260
5. 맺음말 269

■ 한강 정구의 무흘 경영과 무흘구곡 정착과정_정우락
1. 머리말 271
2. 정구의 무이산 인식 277
3. 정구의 존주적 무흘 경영 284
4. 정구의 구곡 심의 291
5. ‘정구 무흘구곡’의 정착과정 298
6. 맺음말 310

저자소개

정우락 (지은이)    정보 더보기
경북대학교 국어국문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 대학원에서 석사와 박사 학위를 받았다. 현재 경북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으며, 주로 한국 문학 사상, 한국 문학사, 동아시아 문학을 연구하고 있다. 저서로는 《남명 문학의 철학적 접근》(박이정, 1998), 《남명 설화 뜻풀이》(남명학연구원출판부, 2001), 《남명 문학의 현장》(경인문화사, 2006), 《남명과 이야기》(경인문화사, 2007), 《남명과 퇴계 사이》(경인문화사, 2008), 《문화 공간, 팔공산과 대구》(글누림, 2009), 《남명학파의 문학적 상상력》(역락, 2009), 《조선의 서정시인 퇴계 이황》(글누림, 2009), 《영남의 큰집, 안동 퇴계 이황 종가》(예문서원, 2011), 《삼국유사, 원시와 문명 사이》(역락, 2012), 《영남을 넘어, 상주 우복 정경세 종가》(예문서원, 2013), 《한강 정구와 무흘구곡 이야기》(경인문화사, 2014), 《남명학의 생성 공간》(역락, 2014), 《모순의 힘, 한국 문학과 물에 관한 상상력》(경북대학교출판부, 2019), 《영남 한문학과 물의 문화학》(역락, 2022) 등이 있으며, 역서로는 《탈초 역주, 영총》(경상북도·영남문화연구원, 2007, 공역), 《역주 고대일록》(태학사, 2009, 공역), 《국역 흑산일록》(경북대학교출판부, 2019), 《후산졸언 시문선집》(지만지한국문학, 2020) 등이 있다.
펼치기
홍원식 (지은이)    정보 더보기
고려대학교 철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에서「주자학의 거경궁리설 연구」로 철학박사 학위를 받았으며, 현재 계명대학교 철학윤리학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동양철학 전반에 걸쳐 관심을 가지고 있으며, 한주 이진상의 생애와 사상, 동도관의 변화로 본 한국 근대철학, 조선시대 가문의 탄생 등 30여 권의 저·역서(공저 포함)와 80여 편의 논문을 발표하였다.
펼치기
김학수 (지은이)    정보 더보기
경상북도 영천에서 태어나 인하대학교 인문대학 사학과를 졸업하고,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에서 문학 석사 및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 인문학부 한국사학전공 부교수로 재직 중이며, 주로 조선시대 지식문화사에 대하여 공부하고 있다. 저서로는 『끝내 세상에 고개를 숙이지 않는다』, 『허주 이종악의 삶과 풍류』, 『구미 구암 김취문 종가』, 『김천 정양공 이숙기 종가』, 『조선을 이끈 명문가 지도』(공저), 『조선사회 이렇게 본다』(공저) 등이 있으며, 논문으로는 「제주지역 유교 지식(知識)·문화(文化)의 수용 양상과 ‘제주학풍(濟州學風)’」, 「17세기 영남학파 연구」, 「조선중기 한강학파의 등장과 전개」,「존주론의 작동과 정치이념적 家의 출현」, 「鄭經世·李埈의 穌齋觀」 등 다수가 있다.
펼치기
정도원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70년 서울 출생. 1989년 성균관대학교 한국철학과 입학, 동 대학원 석사, 박사 과정 졸업. 현 성균관대학교 유학대학 유학 동양학과 겸임교수, 동양철학문화연구소 연구원. 성균관대, 국민대 출강. 주요논문 -「16세기 한·중 유학사의 지평에서 본 퇴계 이황의 理 철학에 관한 연구 : 理의 無爲性과 能動性을 중심으로」 -「퇴계 이황의 지행병진과 존체응용의 리더십」 -「전통적 학學 개념과 퇴·율 성학의 이학-심학 연관 구조」 -「16-17세기 퇴계학파의 학문적 특성과 전개양상 고찰 : ‘이학-심학’ 상호 연관 체계의 예학적 귀결과 학파의 혼입」 -「16-17세기 퇴계학파의 내성학과 외왕으로의 전개 : 직전제자들의 미발심체·지각 논쟁과 예학을 중심으로」 -「근기남인 학통 재검토 : 도학의 계승인가, 형이상학의 계승인가?」 -「성호 이익의 퇴계 읽기와 학파 분열 : 성호와 근기 남인의 학문적 접점과 “도동道東”론의 괴리」 -「사계-우암 계열의 퇴율 읽기와 학단의 분열 : 이발理發 비판과 심시기心是氣 강조의 한계」 저서 -「유학과의 짧은 만남」(문사철, 2009) -「퇴계 이황과 16세기 유학」(문사철, 2010)
펼치기
김무진 (지은이)    정보 더보기
계명대학교 사학과 교수
펼치기
김현수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성균관대 학부대학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