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인문계열 > 철학
· ISBN : 9788975857621
· 쪽수 : 330쪽
· 출판일 : 2017-01-31
책 소개
목차
여는 글_4
총론
■ 조선 중기 낙중학과 정구의 ‘한강학’_홍원식
1. 머리말 10
2. 정구의 학맥 연원과 학통 및 도통 의식 12
3. ‘명체적용’의 한강학 20
4. 맺음말 24
제1부 정구의 학맥과 사상
■ 한강 정구의 학문 연원_김학수
1. 머리말 28
2. 가학연원: 친외 양변적 학문의 수용과 계승 29
3. 영남학통의 계승: 다원적 사승과 그것의 통섭과 절충 49
4. 맺음말 68
■ 한강 정구의 성리학 체계와 연원에 관한 소고_정도원
1. 머리말 70
2. 천인일리의 상동구조와 본질적 주재 77
3. 본질과 현실의 내외 대립적 구조 86
4. 생명성 편재의 본체와 무욕 속 정의 본체 92
5. 맺음말: 정맥과 고풍, 그리고 현실적 한계 96
■ <심경발휘>와 정구의 심학_추제협
1. 머리말 102
2. <심경발휘>의 체계와 특징 105
3. '경이직내장'에 나타난 ‘경’의 체계와 논리 111
4. '존덕성재명장'에 나타난 존덕성과 도문학의 관계 118
5. <심경발휘>와 ‘경간’ 127
6. 맺음말: 정구 심학의 의의 131
■ 한강 정구의 예학_김현수
1. 머리말 134
2. 종법과 제례 137
3. 상례 157
4. 맺음말 183
제2부 정구의 경세관과 문학
■ 한강 정구의 현실인식과 경세관_김무진
1. 머리말 194
2. 관직생활과 향촌사회에서의 활동 198
3. 현실인식과 경세론의 구조 218
4. 맺음말 238
■ 한강 정구의 상소문 연구_정시열
1. 머리말 241
2. 사실에 근거한 설득: 경계와 면피의 수단 244
3. 논리적 사유와 입론: 국가 기강의 확립 252
4. 정서적 압박과 호소: 왕실 문제의 해결 260
5. 맺음말 269
■ 한강 정구의 무흘 경영과 무흘구곡 정착과정_정우락
1. 머리말 271
2. 정구의 무이산 인식 277
3. 정구의 존주적 무흘 경영 284
4. 정구의 구곡 심의 291
5. ‘정구 무흘구곡’의 정착과정 298
6. 맺음말 3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