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청소년 > 청소년 수학/과학
· ISBN : 9791186900161
· 쪽수 : 200쪽
· 출판일 : 2016-09-28
책 소개
목차
머리말_ 생물은 왜 환경에 적응할까
감수의 글_ 진화론의 과거-현재-미래를 흥미진진하게 풀다
Part 1 탄생, 최초의 진화론
신의 업적을 경배하라
살아 있는 동안은 끊임없이 변화한다
생물은 세대를 초월해 변화할까
최초의 진화론, 라마르크의 용불용설
진화론 최고의 스타, 다윈의 진화론
환경에 적응한 개체만 살아남는다
신의 존재는 필요없다? 『종의 기원』의 발표
Part 2 진화는 지금도 일어나고 있다
멘델, 유전 법칙을 발견하다
변이는 어떻게 일어나는 것일까
DNA 움직임만으로 진화를 설명하는 종합설
자연은 비약하지 않는다
진화는 종합설에 기초해 일어날까
연속성과 선택, 진화론의 두 가지 관점
유전적 변이를 일으키는 요인들
진화의 수수께끼를 푸는 또 하나의 열쇠, 공생
적응 만능론은 사고를 정지시킨다?!
유리하지도 불리하지도 않은 유전자의 진화
진화의 원리와 일신교
Part 3 진화론도 진화한다
진화가 일어나는 몇 가지 단위
생물의 놀라운 다양성을 과학적으로 설명하다
호수에서 플랭크톤의 다양성이 유지되는 이유
일하지 않는 그물등개미는 왜 멸종하지 않을까
경쟁 관계에서 가장 강한 한 종만 살아남는다?
투구새우의 위기관리
미래의 진화론에서 말하는 ‘살아남는다는 것’
지금 얻는 이익과 내일 얻는 이익은 다르다
성(性)이 있는 것은 진화에 유리할까
일하지 않는 개미의 존재 의의
진화에 방향성은 없다
맺음말_ 새로운 진화론의 출현을 기대하며
리뷰
책속에서
어째서 이 세상에는 이리도 다양한 생물이 존재하며, 왜 그 생물들은 자신이 사는 곳에 알맞은 특성을 갖추고 있는 것일까? 이것은 오래전부터 사람들의 흥미를 자아내던 문제이며, 이에 대한 생각은 시대와 함께 변화해왔다. 옛날 사람들은 생물은 처음 만들어졌을 때부터 그 모습이었고 시간이 지나도 변하지 않는다고 생각했다. 그러나 비교적 최근에 들어와 ‘생물은 처음부터 그런 모습이었던 것이 아니라 시간이 지나면서 변화해온 것이 아닐까’라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나타났다. 이런 생각을 ‘진화론’이라고 부른다.
진화론은 왜 등장했고 어떻게 사람들에게 받아들여졌을까? 현대의 진화론은 생물의 다양성을 어디까지 해명할 수 있을까? 그리고 진화론은 어떻게 새롭게 전개되고 있을까?
이 책은 생물의 다양성과 적응을 둘러싼 진화론의 모험을 되도록 알기 쉽게 해설한 것이다. 생물들은 인간의 상상을 초월하는 신비한 생태를 보일 때가 있다. 그런 생물의 신비한 생태와 함께, ‘왜’ 그리고 ‘어떻게’라는 과학이 해명해야 할 근본적인 관점에서 진화론의 역사, 가능성과 한계, 그리고 새로운 전개에 관해 설명해나갈 것이다.
- <머리말> 중에서
다윈이 진화론 최고의 스타인 이유는 세계 최초로 이론적으로나 사실적으로나 모순이 없는 이론, 즉 생물의 다양성과 적응을 설명하는 이론을 발견했기 때문이다. 라마르크의 용불용설은 논리적으로는 가능하지만 안타깝게도 관찰 사실이 그 가설을 뒷받침해주지 못했기 때문에 과학의 가설로 살아남을 수 없었다.
다윈의 가설은 무엇이며 어떤 과정을 거쳐서 탄생했는지는 앞으로 설명하겠지만, 이것은 오늘날까지 적응 진화를 설명하는 유일한 가설로 살아남았다. 이는 다양한 관찰 사실이 그의 설을 지지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다윈의 가설은 대략 200년에 걸쳐 살아남았으므로 논리적으로 정합성이 있고 사실과 합치하는 위대한 발견이라고 할 수 있다. 과학의 역사에서는 아인슈타인의 ‘상대성 이론’과 맞먹는 커다란 발견이다. 이것은 과연 어떻게 탄생했을까?
- <진화론 최고의 스타, 다윈의 진화론>
멘델 덕분에 생물의 형질은 어떤 유전 인자와 함께 자식에게 전해짐이 밝혀졌다. 이제 다음 문제는 ‘이 유전자의 정체는 과연 무엇인가’가 되었다. 자연 선택설에 따르면 선택을 받는 집단 속에는 다양한 형질의 개체가 존재하게 되어 있다(=변이). 그렇다면 어떻게 집단 속에 변이가 나타나는 것일까? 조금 생각해보면 알 수 있지만, 자연 선택은 집단 속의 특정한 개체(환경에 적합한 개체)만이 자손을 남긴다는 것이므로 변이는 점점 줄어들어야 할 것이다. 그렇다면 언젠가 변이가 사라짐에 따라 진화는 멈추고 마는 것일까?
이와 같은 문제에 답하기 위해서는 유전자란 무엇이며 어떤 작용으로 변이가 일어나는지를 알아야 한다. 수많은 생물학자가 ‘유전자는 무엇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유전 정보는 어떤 구조로 자식에게 전해질까’라는 생물학의 커다란 문제에 도전했다. 그리고 바이러스를 사용한 실험에서 그 해답을 얻게 되었다.
- <변이는 어떻게 일어나는 것일까>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