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개신교) 목회/신학 > 설교/성경연구
· ISBN : 9791186910498
· 쪽수 : 336쪽
· 출판일 : 2023-10-20
책 소개
목차
여는 글/ ‘가나안’ 하면 떠오르는 것
모조리 죽여라!
가나안 종족들은 좀비였나?
좀 더 넓은 시야로 바라보자
1장 구약성서는 어떤 책인가?
구약성서는 하나님의 말씀을 사람이 기록한 책
어떻게 영감을 받았을까?
구약성서에서 ‘역사’란 무엇인가?
2장 야훼는 정말 폭력적인 신인가?
자비롭고 은혜로우며 사랑과 진실이 넘치는 하나님
분별없이 마구 죽이는 게 공정한 행위인가?
적은 마구 죽여도 되나?
야훼는 자기 백성도 몰살하려 했다
지나치게 폭력적인 계명들
폭력적인 시편들
악을 방조한 행위는 정당한가?
3장 야훼의 폭력성을 해결하는 다양한 방법
회피하지 말고 정면으로 부딪쳐야
야훼가 했으니 무조건 옳다는 주장
정경 안의 정경 접근방법
통전적 접근방법
문화상대주의적 접근방법
야훼의 폭력성에 대한 비판
그리스도 중심적 접근
독자반응적 접근방법
어떻게 해결할 것인가?
4장 가나안 정복을 준비하다(1)
광야에서 받은 명령
가나안 정복의 전초전
정탐꾼 파견
라합의 신앙고백과 언약 체결
라합은 누구인가?
몰살하라고 명령하지 않았나?
5장 가나안 정복을 준비하다(2)
요단강을 건너다
홍해가 갈라지다
요단강을 건넌 후 에발 산으로 갔을까?
할례를 베풀다
누구의 편도 아닌 야훼의 군사령관
전쟁행위인가 제의행위인가?
6장 여리고 성을 정복하다
또 다시 행진하다
큰 소리로 외치니 성벽이 무너졌다
모호하게 남겨진 것들
여전히 경계선 위에 놓이다
창녀 라합, 신앙인으로 우뚝 서다
다시 세우는 자는 저주를 받으리라!
7장 아간과 아이 성에서의 실패와 성공
처음으로 실패를 경험하다
누구 책임인가?
무엇을 해야 하나?
아간은 무슨 죄를 지었나?
기어코 아이 성을 무너뜨리다
8장 헤렘-어떤 맥락에서 어떤 의미로 사용됐나?
헤렘의 기본적인 의미
성전에 바쳐진 제물로서의 헤렘
죄에 대한 처벌로서의 헤렘
배교한 성읍 주민을 모두 헤렘하라!
가나안 종족과 헤렘
멀고도 가까운 약속의 땅
9장 속임수로 살아남은 기브온 사람들
소문에 대해 정 반대의 결정을 내리다
기브온 사람들과 언약을 맺다
기브온을 구하는 전투에 개입하다
기브온 사람은 특별한 집단인가?
입장을 바꿔놓고 보면
보론-사울 왕에게 내려진 헤렘 명령
사울이 왜?
순종이 제사보다 낫다
헤렘의 메시지는 순종
10장 헤렘은 정말 가나안 정복전쟁 원칙인가?
헤렘은 예외 없는 원칙
헤렘은 지켜지지 않은 원칙
헤렘보다 위에 있는 원칙들
11장 그냥 지나쳐서는 안 되는 이야기들(1)
모세의 후계자 여호수아
지도자로서 여호수아의 역할
야훼의 군사령관
12장 그냥 지나쳐서는 안 되는 이야기들(2)
야훼가 가나안 사람들이 고집을 부리게 만들어서 망하게 했다?
그래도 살아남은 자들
그들은 ‘왜’ 살아남았을까?
가나안 정복 이야기는 일종의 ‘판타지’
13장 헤렘의 해석학-고대 해석자의 해석
정복 이야기의 문학 형식
가나안 정복 이야기의 신화적 성격
구약성서의 해석학
외경과 신약성서의 해석학
신약성서와 고대 유대교 랍비의 해석
문자적 해석 vs. 상징적-영적 해석
14장 기독교의 헤렘 해석학
정복 이야기에 대해 관심 갖게 한 일들
하나님이 했다는데 사람이 왜 문제 삼느냐고?
대량학살의 윤리문제
구약성서의 문제를 신약성서가 바로잡았다
여호수아 망상
학살은 학살이라고 불러야 한다!
15장 가나안 정복 이야기를 이렇게 읽는다
조금만 더 침착하게 읽어보자
결국 구약성서를 어떤 책으로 보는가에 달려있다
가나안 정복 이야기는 하나님과 사람의 공동작품
여분의 의미
가나안 정복 이야기는 일종의 ‘판타지’
그들은 그런 명령을 받았다고 믿었다
닫는 글/ 오늘의 헤렘
땅, 땅, 땅이 문제다
기독교의 무감각증
저자소개
책속에서
구약성서에는 현대인이 이해할 수 없고 수긍할 수도 없는 내용이 많다. 그 중 가장 공감하기 어려운 것이 야훼가 가나안 일곱 종족을 남녀노소 막론하고 모두 죽이라고 명령했고 이스라엘이 그대로 실행했다는 얘기다. 구약성서가 특정 종교의 ‘경전’이 될 자격이 없다고 주장하는 사람은 말할 것도 없고 유대교나 기독교에 호의적인 사람도 이 이야기는 수긍하기 어렵다.
가나안 종족들은 좀비였나? 이스라엘의 가나안 정복을 전하는 여호수아서를 읽다보면 고개를 갸우뚱하게 된다. 야훼는 이스라엘에게 가나안 종족을 남녀노소 할 것 없이 모두 죽이라고 명령했고 이스라엘은 그대로 실행했다는데 그 후에도 가나안 사람들이 끊이지 않고 계속 등장하니 말이다.
구약성서에서 폭력은 대개 전쟁과 관련되지만 전부 그런 것은 아니다. 권력관계, 억압, 가난, 소외, 트라우마에 대한 기억 등도 폭력과 관련된다. 폭력은 직접적이고 명시적으로 행사되는 경우가 대부분이지만 때로는 간접적이고 은밀하게 행사되기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