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서양철학 > 독일철학
· ISBN : 9791187036340
· 쪽수 : 701쪽
· 출판일 : 2018-01-26
책 소개
목차
서문 13
약호에 대하여 16
서론 17
제1장 칸트와 하만 그리고 질풍노도의 부상
1.1. 하만의 역사적?철학적 의의 45 / 1.2. 런던 회심과 그 철학적 결과 50 / 1.3. 1759년 여름: 질풍노도의 분출 57 / 1.4. <소크라테스 회상록> 61 / 1.5. 칸트와 하만 그리고 낙관주의 논쟁 71 / 1.6. 어린이-물리학 대실패 76 / 1.7. <미학 개요>와 18세기 미학 79 / 1.8. ?메타-비판?: 발생과 내용 그리고 결과 86
제2장 야코비와 범신론 논쟁
2.1. 범신론 논쟁의 역사적 의의 103 / 2.2. 독일에서 스피노자주의의 부상, 1680-1786년 111 / 2.3. 레싱의 스피노자주의에 대한 논란 135 / 2.4. 논쟁의 철학적 의의 163 / 2.5. 야코비의 첫 번째 이성 비판 178 / 2.6. 야코비의 두 번째 이성 비판 183 / 2.7. 야코비의 신앙 옹호 190
제3장 멘델스존과 범신론 논쟁
3.1. 철학사에서 멘델스존의 위치 199 / 3.2. 이성을 옹호하여 204 / 3.3. 멘델스존의 악몽 또는 정위의 방법 211 / 3.4. 스피노자주의 비판과 순화된 범신론 218 / 3.5. 멘델스존의 은밀한 칸트 비판 223
제4장 칸트와 야코비 그리고 비첸만의 논전
4.1. 토마스 비첸만의 <결론들> 233 / 4.2. 범신론 논쟁에 대한 칸트의 기여 242 / 4.3. 칸트에 대한 비첸만의 응답 252 / 4.4. 칸트에 대한 야코비의 공격 259
제5장 헤르더의 정신 철학
5.1. 헤르더와 18세기 정신 철학 271 / 5.2. 헤르더의 언어 기원론 276 / 5.3. 하만과 헤르더의 언어 기원 논쟁 286 / 5.4. 헤르더의 발생적 방법 296 / 5.5. 헤르더의 생기론의 원리들 304 / 5.6. 칸트와 헤르더의 다툼 311 / 5.7. 칸트-헤르더 논쟁과 <판단력 비판>의 기원 319 / 5.8. 헤르더와 범신론 논쟁 330
제6장 로크주의자들의 공격
6.1. 대중 철학: 운동에 대한 스케치 345 / 6.2. 칸트에 반대하는 로크주의 캠페인의 주요 장면들 352 / 6.3. 가르베 사건 357 / 6.4. 초기의 두 비판자: C. G. 셀레와 D. 티데만 369 / 6.5. 로크주의의 우두머리, J. G. 페더 375 / 6.6. 페더의 동아리: A. G. 티텔과 A. 바이스하우프트 383 / 6.7. 선한 목자 피스토리우스 390
제7장 볼프주의자들의 복수
7.1. 볼프주의 캠페인의 주도 동기 403 / 7.2. 혁명 대 반동 411 / 7.3. 볼프주의의 형이상학 옹호 415 / 7.4. 칸트 편에서의 가시, J. A. 울리히 424 / 7.5. 튀빙겐의 스크루지, J. F. 플라트 437 / 7.6. 플라트너의 메타-비판적 회의주의 444 / 7.7. 에버하르트 논쟁 452 / 7.8. 볼프주의 캠페인의 결과 466
제8장 라인홀트의 근원 철학
8.1. 라인홀트의 역사적 의의 471 / 8.2. 라인홀트의 칸트와의 초기 다툼 476 / 8.3. 라인홀트의 <서한>과 비판 철학에로의 전향 481 / 8.4. 근원 철학을 향한 도정 490 / 8.5. 라인홀트의 칸트 비판과 근원 철학의 목표 497 / 8.6. 라인홀트의 방법론 503 / 8.7. 라인홀트의 현상학적 기획 509 / 8.8. 라인홀트의 의식의 명제와 새로운 표상 이론 518 / 8.9. 근원 철학의 위기 536
제9장 슐체의 회의주의
9.1. 슐체의 역사적 의의와 영향 543 / 9.2. 슐체의 메타-비판적 회의주의 547 / 9.3. 라인홀트에 대한 비판 555 / 9.4. 칸트에 대한 메타-비판 568 / 9.5. 슐체의 회의주의의 강점과 약점 574
제10장 마이몬의 비판 철학
10.1. 마이몬의 역사적 의의와 그의 사상의 통일성 문제 579 / 10.2. 마이몬의 회의주의 584 / 10.3. 무한한 지성의 이념 593 / 10.4. 미분 이론 597 / 10.5. 새로운 공간.시간 이론 606 / 10.6. 비판적 가운뎃길 611 / 10.7. 사물 자체의 제거 616 / 10.8. 마이몬의 초월론적 논리학 621 / 10.9. 규정 가능성 원리 626 / 10.10. 마이몬의 라인홀트와의 논쟁 636 / 10.11. 마이몬 대 슐체 642
결론 647
참고 문헌 653
찾아보기 685
옮긴이 후기 697
리뷰
책속에서
칸트의 <순수 이성 비판>과 피히테의 <전체 학문론의 기초>의 시기 동안(1781-1794) 철학자들은 단 하나의 근본적인 문제에 몰두했다. …… 만약 이 쟁점을 단일한 문구로 정식화할 수 있다면 우리는 그것을 ‘이성의 권위’라고 부를 수 있을 것이다.
18세기 후반의 철학자들은 이성의 권위에 물음을 던지기 위한 한 가지 매우 훌륭한 이유를 지녔다. 근대 과학과 철학이 도덕과 종교 그리고 국가의 기반을 훼손하고 있는 것으로 보였던 것이다. 계몽주의의 이성 통치는 죽음과 파괴의 통치가 되었는데, 왜냐하면 근대 과학의 기계론적 방법들과 근대 철학의 비판적 요구들은 곧바로 무신론과 숙명론 및 아나키즘으로 이어지고 있었기 때문이다.
이성과 자연의 조화에 대한 계몽주의의 믿음을 향한 가장 커다란 위협은 일찍이 1739년에 <인간 본성에 관한 논고>에서 인과성에 대한 흄의 공격과 함께 나타났다. 흄에 따르면 사건들 사이에 보편적이고 필연적인 연관성이 존재한다는 가정에 대한 어떠한 경험적 정당화도 존재하지 않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