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근대시조시인연구

근대시조시인연구

이우재 (지은이)
글도출판사
16,5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4,850원 -10% 2,500원
820원
16,530원 >
14,850원 -10% 2,500원
카드할인 10%
1,485원
15,865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8개 8,00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aladin 8,000원 -10% 400원 6,800원 >

책 이미지

근대시조시인연구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근대시조시인연구 
· 분류 : 국내도서 > 소설/시/희곡 > 문학의 이해 > 한국문학론 > 한국시론
· ISBN : 9791187058724
· 쪽수 : 214쪽
· 출판일 : 2022-12-30

책 소개

근대시조의 개척자들인 육당 최남선과 가람 이병기, 노산 이은상 세 사람의 작품평을 담은 근대시조시인 평전.

목차

근대시조시인연구에 붙여(序) ……………………………12

육당 최남선론(六堂 崔南善論)
서 론 …………………………………………………………18
1. 시대배경 …………………………………………………21
2. 생애와 사상 ………………………………………………24
3. 『백팔번뇌(百八煩惱)』의 시사적 의의 …………………34
결 론 …………………………………………………………64

가람 이병기론(嘉藍 李秉岐論)
서 론 …………………………………………………………74
1. 생애와 시대 배경 ………………………………………78
2. 문단에 남긴 시조시론 …………………………………94
3. 대표작 이해 …………………………………………… 106
(1) 전기(1920-1939)의 시풍 ………………………… 107
(2) 후기(1939-1960)의 시풍 ………………………… 122
결 론 ……………………………………………………… 136

노산 이은상론(鷺山 李殷相論)
서 론 ……………………………………………………… 144
1. 노산의 생애 …………………………………………… 149
2. 노산의 3권 시조시집 분석 ………………………… 158
(1) 1932년의 『노산시조집(鷺山時調集)』 면모 ……… 158
(2) 1970년의 『푸른 하늘의 뜻은』 면모 ……………… 174
(3) 1982년의 절필시집 『기원(祈願)』 면모 ………… 190
결 론 ……………………………………………………… 203

저자소개

이우재 (지은이)    정보 더보기
광운대 국문과 명예교수로서 동 대학 도서관장을 역임하였고, 현재는 서희장에 은거 연구와 집필에 몰두하고 있다. 2개의 국민훈장(모란장, 석류장)을 받은 전쟁영웅이다. 시조시인이다. 격조 높은 민족시어를 아름답게 갈고 닦아 한 단계 높은 현대시조를 엮었다. 자연따라, 예술따라, 항상 밝은 문학의 생생한 꽃을 피운다. 또한 수필가이다. 투철한 나라관과 공동체관을 지닌 그의 문장은 언제 읽어 보아도 신선미를 안고 자연미가 풍긴다. 또한 자기 문화를 깊이 사랑하는 문화재 애호가이다. 국내여행은 물론 세계여행을 통하여 아름다운 시어를 갈고 닦는 서정시인이다. 우주여행을 못 가본 것을 유일한 아쉬움으로 지닌 여행 매니아이기도 하다. 저서로는, 시집 : 『그 어느날처럼』, 『은항의 나그네길』 『산은 나의 애인이다』 수필 : 『동트는 추억일기』, 『은항 수필집』 평저 : 『음양철학과 현대생활』, 『약사신앙이 한민족 문화에 끼친 영향 에 대한 연구』 등, 그 외 126편여에 이르는 저작이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서 문(초판)

우리 한국 문학시단에 뿌리를 내린 겨레의 글(시조)은 민족의 역사와 함께 눈부시게 새 아침의 빛을 던져주고 있다. 우리 시조문학의 기원은 6세기경으로 추정 계산할 수 있으나 사실 내용면이나 형식상의 문제를 따져보면 앞지른 선대로 훨씬 거슬러 올라가 이모저모 검토·연구·분석이 가능한 문제다.
그 특성이나 여러 가지 조건, 환경을 낱낱이 살펴보면 한글 창제 당시 연대쯤으로 짚어봄이 마땅하나 실은 고대 삼국시대와 고려 때의 시가, 가요 양식과 비슷한 점이 많아 서로 통하는 길, 공통되는 점이 눈부시게 많다.
옛시조는 첫째로 그 창작법이 노래하기 위하여 지어지고 쓰여진 감이 있다.
둘째로 조선 초기에 작자의 공명과 세도를 안고 양반, 권력형 명사들이 시대상을 그려 펴 지은 점을 들출 수가 있다.
셋째로 옛시조는 서민층으로 내려오면서 풍류객, 평민들 사이는 물론 유한 기생들에게까지 쓰여져서 국민문학으로 힘차게 자리를 굳혀나갔다.
넷째로 조선 후기의 시조문학은 연형과 장형의 변화를 가져와 새바람을 일으켜 대성황하였으니, 국문과 함께 중국, 일본의 근대시 형세에 밀려 약세를 몰고 서구풍에 시달린 고단한 위치에서 그만 한때 침체기를 몰고 올 뻔도 했다.
대충 시조문학사를 더듬어보면, 개화바람의 계몽시기로부터 우리의 것을 지키는 보람차고 피어린 구극일념의 작업에서 얻어진 20세기의 오늘날에 이르면서 시조는 창사(唱詞)의 입장을 탈바꿈하여 읽고 짓고 생각하는 시문학 예술로 변모, 변신되어 세분화 되어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과학, 문화, 문명이 발달되면서 종합예술을 전문분야로 나누어 짚고 넘어보면 시조문학도 뚜렷한 민족시어로 정형시의 한 자리를 완전히 차지하여 전수·계승되었다.
여기에 짚고 넘어가야 할 일은 시조가 시의 독자성을 지니고 명맥을 유지하며 힘찬 국민문학으로 또는 민족의 시어로 큰 비중을 차지한 오늘 전문인에 의하여 지어지고 연구되어온 지 어언 60여년이 넘고 넘었다.
하지만 시인(작자)에 대한 연구나 작품분석을 뚜렷하게 해놓은 일은 별로 없고, 있다고 하더라도 어떠한 기준을 두고 체계적으로 연구해 놓은 예가 그리 많지 않아 이모저모 아쉬운 점이 참으로 많다.
저술이나 연구논문 또한 많지 않아 아직까지 미흡한 점이 더러 보여 답답한 마음이 든다. 까닭에 여러 해 동안 강단에서 문단에서 활약하면서 얻어진 경험과 체험을 토대로 우선 시조계의 거성 육당, 가람, 노산의 3인 시인 연구와 작품을 분석하는 작업을 한 부분 시도해봤다.
앞으로 계속해서 많은 시조시인을 상대로 연구할 것을 다짐하면서 다음 기회로 미루고 선배 후배들의 아낌없는 보살핌과 꾸지람이 있기를 바란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
97911870587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