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사회운동 > 사회운동가/혁명가
· ISBN : 9791187064176
· 쪽수 : 848쪽
· 출판일 : 2017-12-01
책 소개
목차
머리말
프롤로그 - 신격화와 악마화를 걷어낸 인간 레닌
1부 부르주아 반란자
1장 뿌리-유대인과 루터파
2장 명석한 두뇌 1870년~1885년
3장 반역자 집안 1886년~1887년
4장 퇴학당한 법학도 1887년~1888년
5장 변호사 혁명가 1889년~1893년
6장 혁명의 중심으로 1893년~1895년
7장 시베리아 유형 1895년~1900년
2부 볼셰비키 이론가
8장 망명자-《무엇을 할 것인가?》1900년~1902년
9장 볼셰비키와 멘셰비키 1902년~1904년
10장 ‘피의 일요일’과 러시아 귀환 1905년~1907년
11장 파리 망명 1908년~1911년
12장 전투적 논쟁가 1912년~1914년
13장 패전을 위한 투쟁 1914년~1915년
14장 고독한 투사 1915년~1916년
3부 ‘10월 혁명’ 지도자
15장 2월 혁명과 4월 테제 1917년 2월~4월
16장 임시정부와의 투쟁 1917년 5월~7월
17장 변장과 도피 1917년 7월~10월
18장 권력 장악 1917년 10월~12월
19장 포위된 혁명 1917년~1918년 겨울
20장 브레스트리톱스크 조약 1918년 1월~5월
21장 내전 속으로 1918년 5월~8월
4부 혁명 수호자
22장 전쟁 지도자 1918년~1919년
23장 전시 공산주의 논쟁 1919년 4월~1920년 4월
24장 실패한 ‘혁명 전쟁’ 1920년
25장 신경제정책 1921년 1월~6월
26장 강박증과 죽음의 공포 1921년 7월~1922년 7월
27장 스탈린이라는 문제 1922년 9월~12월
28장 레닌의 유언 1923년~1924년
에필로그 - 레닌 숭배와 스탈린주의
주석
참고문헌
레닌 연보
옮긴이 후기
찾아보기
리뷰
책속에서
신격화와 악마화를 걷어낸 인간 레닌
레닌은 혁명을 요구한 많은 지식인 중 한 명이었다. 당시 정치·경제 구조는 그에게 참을 수 없이 불쾌했다. 사회적 위계도 역겨웠다. 그가 보기에 러시아에서 합의에 의한 발전의 기회는 매력이 없었다. 레닌은 로마노프 왕조와 구러시아를 증오했다. 그는 새로운 러시아, 유럽 국가로서 러시아, 서구화된 러시아를 원했다. …… 그러나 레닌은 서구도 변화하기를 원했다. 자본주의 질서 전체를 쓸어버릴 전 유럽 규모의 사회주의 혁명이 일어나야 했다. 동시에 그는 러시아와 다른 지역에서도 자신이 보기에 후진적이며 억압적인 현상들을 단호히 일소하고자 했다. - ‘프롤로그’
혁명가 레닌은 어떻게 탄생했나?
레닌에게 영향을 끼친 것은 마르크스주의자만이 아니었다. 얼마 전에 우리는 레닌이 19세기 말 러시아 농업 사회주의 테러리스트들의 영향을 받았음을 알게 되었다. 사실 마르크스주의와 인민주의가 극과 극인 양 둘 중 하나를 선택할 필요는 없었다. 두 사상은 겹치는 부분이 많았다. 그러나 레닌에게 영향을 준 사상 중에는 우리에게 덜 익숙한 다른 것들도 있다. 《톰 아저씨의 오두막》 이래 레닌이 어릴 때 읽은 책들은 그에게 지속적으로 영향을 끼쳤다. …… 레닌은 마키아벨리와 다윈의 사상도 공부했다. 또 우연히 접한 지인들의 사상 역시 설사 그들이 마르크스주의에 적대적이라 할지라도 받아들였다. …… 마르크스주의야말로 레닌 사상의 기본 요소였으나, 그 상당 부분은 다른 요소들과 결합함으로써 더욱 탄탄해질 수 있었다. - ‘프롤로그’
교양 있는 부르주아 집안의 아이
‘구’러시아, 즉 농민들, 농촌 관습, 폭음, 무지, 자의적 통치, 사회적 복종과 세습적 특권의 러시아는 그들 눈에 매력이 없었다. (레닌의 부모인) 일리야와 마리야는 그런 낡은 전통들을 제거하고 싶어 했다. 그들은 근대성을 지지했으며, 러시아가 서구 여러 나라와 좀 더 유사해지기를 원했다. 일리야와 마리야는 1860년대의 개혁들이 사회를 변화시키기를 바랐다. 울리야노프 부부는 진보, 계몽, 질서, 청결, 복종, 위계제, 격식을 믿는 사람들이었다. …… 일리야 울리야노프와 마리야 울리야노바는 ‘교양 있는’ 러시아인이었다. 그들은 애국자였다. 그들은 ‘근대적’이고 ‘유럽적’이고 ‘서구적’이고 ‘계몽된’ 사회를 건설하기를 원했다. 레닌은 그런 부모의 아들이었다. - 1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