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건축 재료의 새로운 사고

건축 재료의 새로운 사고

이공희, 최왕돈, 이승택, 장영철, 최혜정, 김찬중, 조남호, 봉일범, 장윤규, 박미예, 최욱 (지은이), 국민대학교 건축대학 (엮은이)
공간서가
20,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0,000원 -0% 0원
1,000원
19,0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건축 재료의 새로운 사고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건축 재료의 새로운 사고 
· 분류 : 국내도서 > 예술/대중문화 > 건축 > 건축이론/비평/역사
· ISBN : 9791187071167
· 쪽수 : 232쪽
· 출판일 : 2018-03-30

책 소개

건축 재료들은 어떤 성질과 기능을 가지고 있을까? 또 건축가는 어떻게 건축 재료를 선택하고 어떤 성질을 활용해 건축물을 만들까? 이 질문에 대한 답은 이 책에서 찾을 수 있다. 11명의 건축학자, 건축가 등으로 구성된 필진이 건축 재료의 이론과 실천에 대한 모든 것을 담았다.

목차

06
프롤로그
이공희

14
돌무더기에서 스마트 재료까지 - 건축 재료의 역사
◇ 최왕돈

32
한국 건축의 재료 신사용법
⊙ 이공희

52
재료의 발견
▧ 이승택

70
건축의 재료
▲ 장영철

96
건축, 재료와 물질적 관행 사이
◈ 최혜정 114
새로운 텍토닉을 찾아서: UHPC
✖ 김찬중

136
나무, 건축의 미래 가치
▤ 조남호

152
경골목구조에 관한 이런저런 생각들
♠ 봉일범

176
물질과 비물질 사이의 건축
▷ 장윤규

190
지속적인 지각 전환의 생산
● 박미예

210
바다는 비에 젖지 않는다
□ 최욱

저자소개

봉일범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건축학과와 하버드대학교 건축대학원에서 공부했다. 공간건축사사무소에서 근무했으며, 2006년 이후 국민대학교 건축대학 교수로 있다. 저서로 『건축-지어지지 않은 20세기』 연작이 있고, 파주 책집, 완주 단계정, 동탄 다른 두 집, 진접 돌음집, 판교 숨은 다락집, 호매실 느린집, 대전 내생주택, 파주 삼나무집 등을 설계했다. 특히 최근에는 2016년의 캐나다 FPInnovations 연구소 체류를 계기로 한국의 상황에 맞는 경골목구조 설계-시공 통합 시스템을 새로 구축하고 실험하는 일에 큰 관심을 갖고 있다.
펼치기
최왕돈 (감수)    정보 더보기
국민대학교 건축대학 건축시스템전공 교수이다. 1984년 서울대학교 건축학과를 졸업하고 1986년 동 대학원 건축학과에서 석사학위를 취득했다. 문교부 국비유학생에 선발되어 영국 바틀렛 건축대학에서 수학했으며, 맨체스터 대학에서 건축학박사를 취득했다. (주)해안건축, 주택연구소 등에서 근무했으며 1995년부터 국민대학교 건축대학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국민대학교 총무처장, 건축대학장 등을 역임했다. 저서로는 『The Architecture Reader』, 『통섭지도』, 『세컨드모더니티의 건축』, 『상징과 정치』 등이 있으며 역서로는 『모더니티 이후의 현대건축』, 『건축의 메타언어』 등이 있다. 작품으로는 KAIST테크노경영대학원, 부암동 소나무집, 전주 소소 등이 있다.
펼치기
최욱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63년생. 2000년 설립된 원오원아키텍스의 대표이자 ≪도무스 코리아≫ 발행인이다. 홍익대학교 건축학과, 이탈리아 베네치아건축대학교(Dott. of Architecture)에서 건축설계 및 이론을 공부하였고 미국의 맥도웰 콜로니, 스페인의 발파라이소 파운데이션에서 펠로우십을 받았다. 한국예술종합학교의 객원교수를 역임하였다. 그가 이끄는 원오원은 다양한 배경을 가진 전문가 집단이다. ‘그라운드스케이프’와 ‘프리미티브 모던’에 대한 탐구와 실현을 기본 원칙으로 삼으며, 도시 및 건축 프로젝트부터 라이프스타일 디자인까지 국내외에서 다양한 활동을 하고 있다.
펼치기
장윤규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64년생으로 서울대학교 건축학과와 동대학원을 졸업하였다. 신건축 타키론 국제현상, UIA 바로셀로나 국제현상, 이스라엘 평화광장 국제현상 13파이널리스트 등에 입상하였으며, 2001년에는 일본저널 ‘10+1’ 세계건축가 40인에 선정되기도 하였다. 현재 국민대 건축대학 교수로 있으며 건축을 넘어 문화적 확장을 위해서 갤러리 정미소를 운영하고 장윤규건축실험아뜰리에를 건축가그룹 운생동으로 변화시켜 새로운 건축적 실험을 시도해오고 있다. 장윤규는 《복합체 COMPOUND BODY》라는 자신의 저서를 통하여 《FLOATING》 《SKINSCAPE》 《TRANSPROGRAMMING》 《인간이 동물되기》 이라는 단어로 요약하는 일련의 새로운 건축적 접근들을 제시했다.
펼치기
조남호 (감수)    정보 더보기
솔토지빈건축사사무소의 대표 건축가이자 서울시 건축정책위원, 한국건축가협회의 부회장으로 활동하고 있다. 서울시립대와 성균관대학교 건축도시디자인대학원에서 공부했으며, 서울시립대와 서울대 등에서 수년간 강의했다. 1995년 독립 후 긴 시간 동안 삶과 건축, 사회와의 관계를 고민해왔다. 그가 이끄는 솔토지빈은 역사의 선례로부터 지혜를 얻고, 새로운 건축 유형을 만들어 가는 조직으로서의 공동의 지향성과 구성원 각자의 고유성을 존중하는 집단으로 정착해 가고 있다. 건축문화대상 대상, 건축가협회 작품상(5회), 서울시건축상 최우수상, 아카시아건축상 골드메달 목조건축대전 대상 등을 수상했다.
펼치기
김찬중 (지은이)    정보 더보기
고려대학교 건축공학과를 졸업하고 스위스 연방공과대학에서 수학했으며 미국 하버드대학에서 건축학 석사학위를 취득했다. 현재 경희대학교 건축대학원의 설계전공 초빙교수로 재직하면서 THE_SYSTEM LAB의 대표로 활동하고 있다. 2006년에 제10회 이태리 베니스 비엔날레 한국 대표 건축가로 초청되었으며, 2016년에는 wall paper에서 선정하는 세계의 떠오르는 건축가 20인에 포함되었다. 대표작으로는 SK 행복나눔재단 사옥, 경기도지사 관사, KEB하나은행 랜드마크타워, 울릉도 리조트 프로젝트 등이 있다. 2014, 2016 서울시 건축상 및 건축문화대상, IF design award, ICONIC design award, Red Dot Award와 같은 국내외에서 다수의 상을 받았다.
펼치기
이승택 (지은이)    정보 더보기
고려대학교를 졸업하고, 하버드 대학교 건축대학원에서 수학했다. 엔아키텍츠, 레벤베츠에서 실무를 쌓고, 2012년 뉴욕에서 임미정과 함께 stpmj를 설립한 후 2015년 서울오피스를 개소했다. 최근 시어 하우스(Shear House) 외 다수의 주택 및 아모레퍼시픽 신사옥 공공보도를 완성했다. 2012년에 뉴욕 젊은 건축가상을, 2016년에 뉴욕 신진건축가상 및 대한민국 젊은건축가상을, 2017년에 Architectural Record 선정 Design Vanguard 상을 수상했다.
펼치기
최혜정 (지은이)    정보 더보기
국민대학교 건축학과 조교수로 미국 렌슬리어 공대 건축학사(B.ARCH), 콜럼비아대학원 건축디자인석사(MSAAD)를 취득했다. 미국건축사로 활동 중 서울로 이주하여, 건축가, 교수, 큐레이터로 활동하고 있다. 2011 광주 디자인비엔날레, 2017 서울 도시건축비엔날레 큐레이터를 역임했으며, 2014 광주 아시아문화전당 문화정보원 책임연구원으로 활동했다.
펼치기
이공희 (지은이)    정보 더보기
국민대학교 건축학과와 동대학원을 졸업하고 현재 국민대학교 건축대학 교수로 재직 중이다. 주요 작품으로는 강북문화예술회관(구 강북구민회관), 일민미술관, 갤러리 조선, 국민대 법학관 등이 있다.
펼치기
장영철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97년 홍익대학교를 졸업하고, U.C. 버클리에서 수학했다. 이로재, Steven Holl Architects, Rafael Vinoly Architects New York에서 실무를 하고, 현재는 전숙희와 함께 와이즈건축을 운영하고 있다. 와이즈건축은 2008년에 사무실을 개소하여 건축 작업을 하고 있다. 서울 가회동에 어둠속의 대화, 북촌을 완성했다. 공공예술 프로젝트를 기획하고 실행하며, 여러 집단과 연계되어 건축 놀이 활동을 지속하고 있다. 2011년에 대한민국 젊은건축가상을, 2012년과 2015년에 전쟁과 여성인권 박물관과 어둠 속의 대화, 북촌으로 서울시 건축상 최우수상을 수상했고, 2015년 코리아 디자인 어워드 공간대상을 수상했다. 2017년 빼빼한 막대나무로 가구를 만드는 ‘가라지가게’를 시작했다.
펼치기
박미예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미술대학 조소과에서 학부와 대학원을 졸업하고, 하버드 건축대학(Harvard Graduate School of Design)에서 건축석사 과정인 M. Arch 1을 수학했다. NADAAA, Machado & Silvetti Associates에서 실무를 쌓고, 미국 건축사와 LEED AP를 취득했다. 귀국 후, 서울대학교 건축학과에서 「확장된 현재성을 통한 미니멀 사물의 장소형성 연구」로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2014년부터 국민대학교 건축대학에 재직하고 있다.
펼치기
국민대학교 건축대학 (엮은이)    정보 더보기
펼치기

책속에서









“개념의 시대에 학습했던 이 세대의 신진건축가들은 그 실현화 과정에서 더욱 호된 갈등이 있었을 것이다. 하지만 이 사회의 지원과 배려는 제한적이지만, 실제 현장에서 벌어지는 일은 좋은 징조를 보여주고 있다. 그 가운데 뚜렷하게 변화된 하나가 한국 신진건축가들을 중심으로 시도되고 실천되는 건축 재료에 관한 탐색과 그 사용법의 변화이다.” 이공희, 한국 건축의 재료 신사용법


“재료의 사용법에 관한 오해와 건축에 대한 효율과 같은 생리상 불편의 일반적 요구를 탓하기 보다 건축가가 생산 이전의 본질과 흔적을 추적하고 고민함으로써 새로운 표질이 만드는 공간과 장소, 도시가 또 다른 건축적 가능성을 만들어나가야 한다.” 이공희, 한국 건축의 재료 신사용법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