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예술/대중문화 > 건축 > 건축이야기/건축가
· ISBN : 9791196592950
· 쪽수 : 88쪽
· 출판일 : 2021-12-11
책 소개
목차
1. 발간사 김왕직
2. 제3회 한국건축역사학회 작품상 선정 과정 송석기
3. 크리틱 1) 오버 더 레인보우: 노스테라스에서 본 황두진의 ‘무지개떡 건축’과 그 너머 김현섭
4. 크리틱 2) 무지개떡이라는 개념 박정현
5. 크리틱 3) 유형학적 형태와 중첩된 기하학 조남호
책속에서
이론이란 개별적인 개념이나 아이디어와는 다른, 일종의 시스템이다. 이론은 현실에 대한 관찰과 판단으로 시작한다. 이렇게 해서 도출된 각 개념들은 따로따로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서로 체계적으로 연계되어야 한다. 즉 감각적 표현이나 개념어의 느슨한 집합만으로는 이론이 되기 어렵다. 나아가 이론은 구체적인 실행 방법론까지 제시할 수 있을 정도의 확장 가능성을 갖고 있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이 모든 것이 종합되었을 때 과연 어떤 세계를 지향하고 있는가에 대한 가치관과 사상의 존재가 필수적이다. 정리하자면, 이론은 지식과 개념, 그리고 가치관의 체계적 네트워크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황두진, 「수상자의 글」 중
무지개떡 건축물 하나하나는 사회적 조건에서나 개별적 디자인에 있어서나 참으로 매력적이다. 황두진은 이 개념을 개별 건축물 차원을 넘어 이들의 집합이 만들어 내는 마을과 도시에 대한 통합적 전망으로까지 확장하고자 한다. 그리고 이로써 한반도의 남북 모두에 알맞은 정주 환경을 제공한다는 야심찬 비전마저도 내비치고 있다.
김현섭, 「오버 더 레인보우: 노스테라스에서 본 황두진의 ‘무지개떡 건축’과 그 너머」 중
황두진의 무지개떡 건축은 이와는 다른 유형의 개념, 건축론이자 책이다. 자신의 작품, 나아가 건축물 일반을 평가하는 비평의 도구에서 한발 더 나아가 행정가나 다른 건축가들이 따르고 동참하길 바라는 방법론이다.
박정현, 「무지개떡이라는 개념」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