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비평/칼럼 > 한국사회비평/칼럼
· ISBN : 9791187147336
· 쪽수 : 220쪽
· 출판일 : 2018-11-30
책 소개
목차
들어가며
1부 | 우리 마음의 행로
한국 사회와 혐오, 우리가 꺼리고 싫어하는 것 | 불안 사회, 무엇이 우리를 불안하게 하는가? | 한국인의 행복과 불행 | 누가, 무엇에 분노하는가?
2부 | 변화하는 가족과 관계의 사회학
쉼 없는 일은 불가능하고, 일 없는 쉼은 무의미하다 | 결혼과 비혼 사이 | 저출산, 무엇부터 해결해야 할까? | 혼밥, ‘스따’를 아시나요? | 명절, 연고는 유효한가?
3부 | 합리적 개인과 사회적 신뢰
김영란법, 인정과 부패의 경계는? | 우리 사회의 적폐 청산 대상은? | 갑과 을의 건강한 공생과 상생은 불가능한가? | 누진제 정부 신뢰와 제도변화 | ‘거짓’ 같은 현실과 ‘진짜’ 같은 뉴스 사이에서
4부 | 다가오는 미래와 새로운 과제
대학 이상과 현실 사이 | 북한 분단을 넘어 공존을 위한 동반자로 | 일상화된 일자리 고민 | 미세먼지, 이제야 자각한 오래된 위험 | 인공지능, 인간의 반면교사 | 우리 사회에서 4차 산업혁명의 의미는?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기사 데이터 추이를 보면 특히 최근으로 올수록 혐오 관련 보도에서 여성들이 부정적으로 대상화됨을 알 수 있다. 일반적으로 매체에 기사화된다는 것은 해당 이슈가 보도할 가치가 있는 특별한 일이거나 지속적으로 문제가 제기되었지만 해결되지 않은 사안임을 뜻한다. 정치?사회 분야 전체 기사량에 비하면 적은 수이지만, 혐오 관련 기사가 꾸준히 이어졌다는 것은 간헐적이나마 지속적으로 사회적 차원의 대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는 의미다. 과거에는 온라인상의 극소수가 보이는 일탈적 표현이나 개인 문제로 치부했던 혐오를 사회문제로 규정하고 그 대책을 촉구하는 목소리가 공론화된 것이기 때문이다.
- <혐오>
행복은 주관적이고 상대적인 가치다. 그렇기에 삶을 위한 기본조건을 갖추는 것만큼이나 추구하는 가치에 대한 의미 부여가 중요하다. 현재의 행복이 주관적인 판단과 만족의 정도에 따라 결정된다면, 미래의 행복은 추구하는 가치에 자리한다. 이런 점을 고려할 때 분석한 내용 중 가장 눈에 띄었던 것은 우리 국민의 성숙함이었다. 국가 위기 상황에서 오히려 행복을 더 많이 이야기하며, 어려울 때일수록 미래를 내다보고 희망과 의지를 함께 다져가는 우리가 있었다.
- 〈행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