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함께 만든 기적, 꺼지지 않는 불꽃

함께 만든 기적, 꺼지지 않는 불꽃

(불가능을 가능케 한 포스코 재난극복 135일의 이야기)

김기흥, 김진홍, 김철식, 김춘식, 노승욱, 박상준, 배영, 백가흠, 서숙희, 서진, 송성수, 송호근, 양승훈, 오수연, 윤호영, 이재원, 이종식, 정진호, 하창수 (지은이)
나남출판
25,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5,000원 -0% 0원
750원
24,25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알라딘 직접배송 16개 15,500원 >
알라딘 판매자 배송 47개 1,50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함께 만든 기적, 꺼지지 않는 불꽃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함께 만든 기적, 꺼지지 않는 불꽃 (불가능을 가능케 한 포스코 재난극복 135일의 이야기)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사회학 > 사회학 일반
· ISBN : 9788930041348
· 쪽수 : 436쪽
· 출판일 : 2023-03-15

책 소개

태풍 힌남노가 불러온 초대형재난을 극복한 포스코의 사투를 담은 기록《함께 만든 기적, 꺼지지 않는 불꽃》을 포스텍 융합문명연구원이 펴냈다.

목차

화보 5
발간사 19

프롤로그 우향우에서 기업시민으로
포스코 135일의 시련, 135일의 기적 | 31
재난 속에 더 강고해진 기업시민 | 53

1부 물이 차오릅니다

1장 괴물로 변신한 힌남노가 덮친 포스코 | 73
2장 격류로 돌변한 냉천, 냉천에 잠긴 포스코 | 93

2부 불 꺼진 제철소

3장 신의 한 수, 철과 물의 전쟁에서 승부수를 던지다 | 113
4장 이것은 진짜 재난이다 | 141
5장 암흑에 휩싸인 3일 | 159

3부 함께 밝히는 희망의 불빛

6장 불이 꺼질 뻔한 용광로 | 179
7장 ‘왜? 왜? 왜?’로 찾은 해결책 | 197
8장 ‘다시 숨 쉰다’는 것 | 217
9장 세대 화합의 미래를 열다 | 235
10장 전사적인 임직원의 복구 참여: 조직문화의 진수 | 259
11장 민관군 어벤져스, 아이언맨을 구하다 | 279
12장 바다 밖까지 쌓인 신뢰, 폐허를 재건하다 | 297

4부 135일의 기적, 절대 포기할 수 없었던 동행

13장 따뜻한 동행, 진화된 고객 DNA | 317
14장 위기 극복의 병참시지 135일 | 339
15장 돈으로 살 수 없는 것들 | 355

에필로그 하늘은 스스로 돕는 자를 돕는다 381

인터뷰 포스코의 재난극복은 세계 철강회사들의 모범 사례
세계철강협회 사무총장 에드윈 바손 405

추천사 임성근 포항특정경비지역 사령관 겸 해병대 제1사단장/
이영팔 경상북도 소방본부장/한명석 현대중공업 부사장/
공윤식 포스코 포항제철소 협력사협회 회장 417

부록 또 한 번의 기적을 위하여
포항제철소 냉천범람 피해복구 수기 공모전 최우수작 419

필자 소개 427

저자소개

송호근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림대 도헌학술원 원장 겸 석좌교수. 정치·경제·사회 현상, 정책에 대한 정교한 분석으로 정평이 난 사회학자이자 칼럼니스트. 서울대 석좌교수를 지냈다. 《21세기 지성의 몰락》(2023), 《정의보다 더 소중한 것》(2021), 《국민의 탄생》(2020), 《시민의 탄생》(2013), 《인민의 탄생》(2011) 등의 저서를 펴냈다.
펼치기
송성수 (지은이)    정보 더보기
부산대학교 교양교육원 교수 서울대학교 무기재료공학과를 졸업한 뒤 서울대 대학원 과학사 및 과학철학 협동과정(현재 과학학과)에서 석사학위와 박사학위를 받았다. 한국산업기술평가원(ITEP) 연구원, 과학기술정책연구원(STEPI) 부연구위원, 부산대학교 물리교육과 교수를 거쳐 부산대학교 교양교육원 교수로 재직 중이다. 부산대 대학원의 과학기술(인문)학 협동과정과 기술사업정책 전공에서 전공주임을 지냈으며, 현재 융합학부 과학기술혁신 전공에 겸직하고 있다. 한국과학기술학회 회장, 부산대 교양교육원 원장 등을 역임했고, 현재 한국과학사학회 부회장과 한국혁신학회 부회장을 맡고 있다. 저서로는 『우리에게 기술이란 무엇인가』, 『과학기술은 사회적으로 어떻게 구성되는가』, 『나는 과학자의 길을 갈테야』(공저), 『소리 없이 세상을 움직인다, 철강』, 『과학기술과 문화가 만날 때』, 『과학기술과 사회의 접점을 찾아서』, 『과학기술학의 세계』(공저), 『한 권으로 보는 인물과학사』, 『과학의 본성과 과학철학』, 『과학기술로 세상 바로 읽기』(공저), 『사람의 역사, 기술의 역사』, 『발명과 혁신으로 읽는 하루 10분 세계사』, 『한국의 산업화와 기술발전』, 『세상을 바꾼 발명과 혁신』, 『과학기술의 경영과 정책』, 『과학기술과 사회를 만든 사람들』, 『한국인의 발명과 혁신』 등이 있다.
펼치기
하창수 (지은이)    정보 더보기
『문예중앙』 신인문학상으로 등단해 한국일보문학상·현진건문학상을 수상한 소설가이자, 헤밍웨이·포크너·피츠제럴드·웰스·키플링 등 영미문학사 주요작가들의 작품을 우리말로 옮긴 번역가이다. 그 외 옮긴 책으로 《킴》, 《소원의 집》, 《친구 중의 친구》, 《마술가게》, 《바람 속으로》, 《어떤 행복》, 《과학의 망상》, 《답을 찾고 싶을 때 꺼내 보는 1000개의 지혜》, 《부자독학》, 《말 잘하는 즐거움》, 《당신을 위해서라면 죽어도 좋아요》 등이 있다.
펼치기
박상준 (지은이)    정보 더보기
포스텍 인문사회학부 교수, 포스텍 융합문명연구원 원장, 문학평론가. 전문학술서로 《현대 한국인과 사회의 탄생》, 《1930년대 한국 모더니즘과 이상, 최재서》, 《형성기 한국 근대소설 텍스트의 시학》 등이 있다. 그 외 문학비평집으로 《스토리 오브 스토리》, 《문학의 숲, 그 경계의 바리에떼》, 인문 교양서로 《에세이 인문학》, 《꿈꾸는 리더의 인문학》 등이 있다.
펼치기
오수연 (지은이)    정보 더보기
소설가. 〈한국일보〉 문학상, 거창평화인권문학상, 아름다운작가상, 신동엽문학상, 대한민국문화예술상을 수상했다. 소설 《빈집》, 《부엌》, 《황금지붕》, 《돌의 말》, 《건축가의 집》, 보고문집《아부 알리, 죽지 마》 등을 썼고, 《팔레스타인의 눈물》, 《팔레스타인과 한국의 대화》, 팔레스타인 자카리아 무함마드 시인의 시선집 《우리는 새벽까지 말이 서성이는 소리를 들을 것이다》를 번역했다.
펼치기
정진호 (지은이)    정보 더보기
유라시아 원이스트씨 포럼 회장, 포스텍 친환경소재대학원 교수 포스텍 친환경소재대학원 교수, 유라시아 원이스트씨 포럼(한동해 포럼) 회장. 서울대 금속공학과 졸업, MIT Post-Doc 시절 NASA 프로젝트 수행, RIST 연구원을 거쳐 연변과기대 교수 및 평양과기대 설립부총장, 한동대 객원교수, 토론토 대학 방문교수를 역임했다. 수소환원제철법 연구를 통해 친환경 신제철법으로 포항과 청진을 잇는 남북한 철강공동체를 만들어 한동해의 평화경제 시대를 꿈꾸고 있다. 대표 저서로는 역사소설 『여명과 혁명, 그리고 운명(구례선과 리동휘 그리고 손정도)』, 『루카스 이야기』, 『21세기 공학과 기독교 인문학이 만날 때』 등이 있다.
펼치기
백가흠 (지은이)    정보 더보기
2001년 서울신문 신춘문예에 단편소설 「광어」가 당선되어 작품 활동을 시작했다. 소설집으로 『귀뚜라미가 온다』 『힌트는 도련님』 『사십사』 『같았다』, 장편소설으로 『향』 『아콰마린』, 여행소설집 『그리스는 달랐다』, 산문집 『왜 글은 쓴다고 해가지고』등이 있다. 현재 계명대학교 문예창작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펼치기
김진홍 (지은이)    정보 더보기
포항지역학연구회 연구위원, 포스텍 융합문명연구원 환동해위원회 위원, 수필가, 향토사학자. 전 한국은행 부국장. 다수의 지역경제 연구보고서 외에 저서로 《일제의 특별한 식민지 포항》, 《포항 6ㆍ25》(공저), 《통계센스》가 있다.
펼치기
김기흥 (지은이)    정보 더보기
과학기술학자. 감염병의 사회적 구성과 재난에 관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서강대학교에서 사회학으로 학사학위와 석사학위를, 영국 에든버러대학교에서 과학기술학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이후 런던 유니버시티칼리지의 웰컴트러스트 의학사연구소에서 박사 후 연구원으로 일했고, 임페리얼칼리지 런던의 화학공학과에서 수석연구원으로 실험실 연구를 진행했다. 2011년부터 포항공과대학교 인문사회학부 교수로 일하며 과학기술학을 가르치고 있다. 2019년부터 2021년까지 《중앙일보》에 「김기흥의 과학판도라상자」를 연재했다. 지은 책으로는 『Social Construction of Disease』(2007)와 『광우병논쟁』(2009), 『팀 잉골드』(2025)가 있고, 『기억하는 인간 호모 메모리스』(2014), 『역사 속의 질병, 사회 속의 질병』(2015), 『로보스케이프』(2016), 『포항지진 그 후』(2020), 『관계와 경계』(2021), 『동물의 품 안에서』(2022), 『함께 만든 기적, 꺼지지 않는 불꽃』(2023)의 편저자로 참여했다.
펼치기
김춘식 (지은이)    정보 더보기
독일 함부르크대학교에서 역사학·교육학·정치학 석사와 서양근현대사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동 대학 역사학과 강의교수 및 포스텍 인문사회학부 교수를 거쳐, 현재는 동신대학교에서 창의융합교육을 담당하고 있다. 독일의 역사와 문화, 직업교육 및 평생교육, 지역학, 그리고 직접 개발한 창의·융합 발표토론교육프로그램(CCEP) 분야에서 다수의 논문을 발표하였다. 2014년 한-독 정부 간 직업교육 및 고등교육 교류 협약 체결에 기여했으며, 한·독 교사, 학생 및 연구 교류를 꾸준히 지원해왔다. 2024년에는 독일 연방교육연구부(BMBF)와 아헨공대(RWTH Aachen)가 주관하는 ‘칼만 해외 석학(Theodore von Karman Fellow)’에 인문학자로는 최초로 선정되었다. 또한 한국독일사학회 제19대 회장으로서의 학술 활동과 더불어, 독일 미텔슈탄트대학교(FHM) 시니어 펠로우이자, 칼스루에 공과대학교(KIT)와 슈투트가르트대학교(USTUTT)의 공동 캠퍼스(ICM) 시니어 펠로우로 선임되어 한·독 간 대학의 공동 연구와 교육 교류의 가교 역할을 하고 있다. 교육부 고등교육 및 직업교육 정책 자문위원, 국가교육위원회 미래과학인재양성특위 전문위원, 한국전문대학평가인증위원회 부위원장을 역임하였으며, 현재는 통일부 통일교육위원, 한국독일네트워크(ADeKo) 이사 겸 인문교육위원장, 농어촌 ‘우리동네 예술학교’ 총괄운영위원장,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열린경영위원장, 녹색에너지연구원 운영위원,전라남도 국제교류자문관, 도정평가위원, 인재육성분과 정책자문위원장, 전라남도교육행정협의회 위원, 도교육청 및 나주교육지원청 민관산학교육협력위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저자들
펼치기
노승욱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림대학교 도헌학술원 교수 및 R&D 기획단 실장으로 재직 중인 저자는 고향인 서울을 떠나 포항과 춘천 등의 도시에서 새로운 경험을 즐기며 살고 있다. 서울과 지방으로 양극화되어 가는 이분법적 구도를 넘어서기 위해서는 글로컬 시민의 양성이 중요하다는 생각에 포항공과대학교 인문사회학부 재직 시절에 시민들을 상대로 〈일상의 글쓰기〉 강좌를 기획해 『포항의 길』을 비롯한 세 권의 책을 시민들과 함께 출간했다. 한림대학교로 자리를 옮긴 후에도 시민강좌인 〈시민지성 한림연단〉을 운영하면서 글로컬 지성시민 양성에 힘을 쏟고 있다. 포스텍 평화연구소 부소장, 포항학위원회 위원, 《문명과 경계》 기획위 원장 및 편집위원 등을 지낸 저자는 경북매일신문 고정칼럼니스트, 경북교통방송 〈노승욱의 문화 읽기〉 진행자로 시민들과 소통했으며, 현재 한국디지털문인협회에서 학술위원장을 맡 고 있다. 서울대학교에서 문학박사 학위를 취득한 저자는 『황순원 문학의 수사학과 서사학』 외 여러 권의 저서를 집필했고, 『AI의 세상에서 인간을 찾다』, 『총장의 고뇌: 대학의 혁신을 말하다』 등 다수의 저서를 공저했다. 초판본에 주해를 붙여서 『윤동주 시선』, 『박목월 시선』 등을 편저했고, 「황순원의 〈신神들의 주사위〉에 나타난 양자론적 세계관」과 「윤동주 시에 나타난 고백의 기독교적 성격 연구」 등 다수의 논문을 썼다.
펼치기
이재원 (지은이)    정보 더보기
포스텍 융합문명연구원 교수, 포항지역학연구회 대표. 의사, 칼럼니스트, 방송인 등 다양한 활동으로 포항의 숨은 가치를 찾아내 동시대를 살아가는 지역민과 나누는 일에 즐거움을 느낀다. 주요 저서로 《포항의 문화유산》 등이 있다.
펼치기
배영 (지은이)    정보 더보기
포스텍 인문사회학부 교수, 포스텍 융합대학원 소셜데이터사이언스 전공 책임교수, 포스텍 사회문화데이터사이언스 연구소 소장. 정보사회학을 전공했으며 주요 저서로 《지금, 한국을 읽다》, 《지능정보사회의 이해》, 《포스트 코로나 시대:데이터로 본 대한민국》, 《압축성장의 고고학》, 《위기의 청년세대: 출구를 찾다》, 《인터넷 권력의 해부》등이 있다.
펼치기
서숙희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92년 《매일신문》과 《부산일보》 신춘문예 시조, 1996년 《월간문학》 신인상 소설이 당선되어 작품 활동을 시작했다. 시조집 『빈』 『먼 길을 돌아왔네』 『아득한 중심』 『손이 작은 그 여자』 『그대 아니라도 꽃은 피어』와 시조선집 『물의 이빨』이 있다. 중앙일보 시조대상, 백수문학상, 김상옥시조문학상, 이영도시조문학상, 애린문화상 등을 수상했다.
펼치기
양승훈 (지은이)    정보 더보기
정치학, 문화인류학, 과학기술학을 공부했다. 현재 경남대학교 사회학과 교수로 재직중이며, 사회조사방법론, 사회조사통계, 과학기술학을 강의한다. 청년 노동시장에 미칠 영향에 관심을 갖고, 제조업, 혁신, 비수도권 산업도시, 여성 공학 인력 등을 연구해왔다. 지은 책으로 『울산 디스토피아, 제조업 강국의 불안한 미래』 『중공업 가족의 유토피아』 등이 있다.
펼치기
윤호영 (지은이)    정보 더보기
이화여대 커뮤니케이션미디어학부 교수. 인문과학-사회과학-자연과학을 서로 연결하는 학자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주로 사회학의 관점을 커뮤니케이션학에 적용하면서 컴퓨터공학을 활용하는 전산사회과학자다. 기업과 관련하여서는 사회연결망 분석의 관점을 개별 기업조직 내부 소통에 적용하고, 기업 간 경쟁은 조직생태학을 적용하여 연구하고 있다.
펼치기
이종식 (지은이)    정보 더보기
포스텍 인문사회학부 교수. 포스텍 인문사회학부와 융합대학원에서 과학사, 기술사, 동아시아사, 과학기술학을 가르치고 연구하고 있다. 고려대 사학과에서 학사 및 석사학위를, 하버드대 과학사학과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