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교양 인문학
· ISBN : 9791187147343
· 쪽수 : 400쪽
· 출판일 : 2018-12-30
책 소개
목차
프롤로그_ 스트레스로 넘쳐나는 도시, 그럼에도 왜 떠나지 못하는 걸까?
1장_ 도시의 스트레스: 아무도 원하지 않는 모두의 것, 스트레스란 무엇인가?
2장_ 도시의 사람들: 사회적 스트레스, 공존을 가로막는 장벽
3장_ 도시의 고충: 더 빠르게, 더 번화하게, 더 다양하게
4장_ 도시의 교통: 무엇을 이용해 도시를 누빌 것인가?
5장_ 도시의 위험: 무엇이 사람들을 두려움에 떨게 만드는가?
6장_ 도시의 아이들: 아이들이 살기 좋다면 모든 사람에게도 좋은 도시다
7장_ 도시의 건강: 우리는 마음껏 숨쉬고 싶다
8장_ 도시의 고독: 군중에 둘러싸여 있어도 외로운 사람들
9장_ 도시의 이방인: 다양성은 도시 발전에 날개를 달아준다
10장_ 도시의 재구성: 스마트폰 안에 도시 데이터를 축적하다
11장_ 도시의 사회자본: 도시 생활을 행복하게 만들어줄 최우선 조건
12장_ 도시의 활용 : 어떻게 해야 도시형 인간이 될 수 있을까?
에필로그_ 사람들은 도시에 사는 것을 넘어 도시를 이루는 중요한 일부가 되어야 합니다
리뷰
책속에서
일기 형식의 소설 『말테의 수기Die Aufzeichnungen des Malte Laurids Brigge』에서 라이너 마리아 릴케Rainer Maria Rilke는 세기말 시대 파리의 인상을 다음과 같이 묘사했다.

대도시에서의 삶이 부담스럽다고 호소하는 이들은 흔히 도시의 분주함과 소란함을 이유로 든다. 동시에 우리는 도시가 제공하는 변화무쌍함과 선택의 다양함을 좋아한다. 그러나 수많은 선택 가능성이 오히려 문제를 불러일으킬 때도 있다. 내게는 문화생활에 관심이 많은 의사 동료가 한 명 있는데, 최근에 도시로 이사한 뒤 그곳이 자신에게 맞지 않는 것 같다고 괴로움을 호소했다. 교육, 문화적 자극 등 여가시간을 위한 선택 가능성이 무궁무진하다 보니 무엇을 해도 완벽하게 만족스럽지 못하다는 것이었다. 영화관에 가는 등의 문화생활을 한 가지 선택하고 나면, 선택하지 않은 다른 온갖 가능성들에 대한 생각이 머릿속을 떠나지 않는다고 했다. 그에게는 이것이 도시 스트레스였다. ‘더 많은 선택권’이 곧 ‘더 큰 만족’을 의미하지는 않는다는 것을 알기에 나는 차마 그 말에 반박할 수 없었다. 너무 많은 선택 가능성이 특정 수준을 넘으면 스트레스가 된다. _ <도시의 고충>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