채만식 (글)
정보 더보기
호는 백릉이며, 1902년 전라북도 옥구에서 태어났다.
어릴 때 서당에서 한문을 익혔으며 1914년 임피보통학교(臨陂普通學校)를 졸업하고, 1918년 경성에 있는 중앙고등보통학교에 입학한다. 재학중에 집안 어른들의 권고로 결혼했으나 행복하지 못했다. 1922년 중앙고등보통학교를 마치고 일본 와세다 대학(早稻田大學) 부속 제1고등학원 문과에 입학하지만 이듬해 공부를 중단하고 동아일보 기자로 입사했다가 1년여 만에 그만둔다.
1924년 단편 〈세 길로〉가 ‘조선문단’에 추천되면서 문단에 등단한다. 그 뒤 〈산적〉을 비롯해 다수의 소설과 희곡 작품을 발표하지만 별반 주목을 끌지 못했다. 1932년 〈부촌〉, 〈농민의회계〉, 〈화물자동차〉 등 동반자적인 경향의 작품을, 1933년 〈인형의 집을 나와서〉, 1934년 〈레디메이드 인생〉 등 풍자적인 작품을 발표하여 작가로서의 기반을 굳힌다. 1936년에는 〈명일〉과 〈쑥국새〉, 〈순공있는 일요일〉, 〈사호일단〉 등을, 1938년에는 〈탁류〉와 〈금의 열정〉 등의 일제강점기 세태를 풍자한 작품을 발표한다. 특히 장편 소설 〈태평천하〉와 〈탁류〉는 사회의식과 세태 풍자를 포괄적으로 보여주는 작품이다. 또한 1940년에 〈치안속의 풍속〉, 〈냉동어〉 등의 단편 소설을 발표한 그는 1945년 고향으로 내려가 광복 후에 〈민족의 죄인〉 등을 발표하지만 1950년에 생을 마감한다.
펼치기
임무출 (엮은이)
정보 더보기
(1) 경북 김천에서 출생하여 영남대학교 국어국문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 석사과정, 계명 대학교 대학원 박사과정을 수료, 국어국문학 박사 학위를 받음.
(2) 경북 경산 진량중・고등학교 국어교사, 계명대학교 강사 역임.
(3) 논문으로 「심훈소설 연구」(석사논문), 「김송의 생애 연구」, 「박태원의 홍길동전 연구」, 「김 송 소설론」, 「해방직후 장편역사소설 연구」(박사논문) 등이 있음.
(4) 편저로는 <윤백남의 장편 역사소설 「회천기」, <염상섭의 「만세전」・「삼대」 어휘 해석>, <속담・고사성어사전>, <채만식어휘사전>, <김유정어휘사전>, <퍼즐로 배우는 우리말>, <순우 리말 알아맞히기 101>, <윤석중의 소설 「황진이」 어휘사전>, <중학생을 위한 따라만 하면 잡히는 논술1.2.3>, <우달문1.2.3.4>, <우리말 겨루기(속담 편, 사자성어 편, 순우리말 편)> 등이 있음.
(5) 2000. 5. 15. 스승의 날에 국무총리 표창장(제103244호) 받음.
(6) 2001. 10. 9. 한글날을 맞이하여 한글학회에서 한글운동 공로(저술 부분) 표창패 받음.
(7) 2011 2. 28. 정년퇴임 때 황조근정훈장(제20244호) 받음.
(8) 2024년 현재 한글학회 회원.
(9) 영남일보에 「임무출의 우리말 알아맞히기」 연재(2006년부터 2024년 3월까지).
펼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