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통일/북한관계 > 통일문제
· ISBN : 9791187297154
· 쪽수 : 216쪽
· 출판일 : 2018-10-15
책 소개
목차
들어가며
Ⅰ 왜 통일인가요
통일은 우리의 선택에 달렸다
왜 통일을 해야 하나요
청년들은 통일에 관심이 없어요
통일이 한국의 사회문제를 해결해 줄까요
정부와 시민들의 염원으로 만들어낸 베를린의 기적
북한의 무력시위를 어떻게 봐야 할까요
Ⅱ 한반도의 미래는 통일에서부터
통일의 열쇠는 대한민국에 있다
아이들에게 통일을 어떻게 안내하면 될까요
통일을 풀어나가는 대한민국의 길
통일세를 걷으면 어떨까요
시민으로서 무엇을 할 수 있을까요
통일의병이 무엇인가요
통일추진 정부를 만들어야 해요
Ⅲ 이제 통일의 마중물이 되어
국제사회에 인식변화를 일으켜야 한다
북한체제가 할 수 있는 길
한반도의 평화와 번영을 위한 남북 평화협정
북한의 인도적 지원, 계속해야 하나요
북한에게 어디까지 양보해야 합니까
경제적?인적 교류는 통일의 시작이다
북한에 보낸 물품이 군대로 간다고 합니다
탈북민이 통일에 기여하려면
Ⅳ 나를 넘어 통일로 가는 길
한국이 지상낙원인 줄 알았어요
북한 이탈주민이라는 편견이 싫어요
슬픔을 어떻게 극복해야 할까요
소개받은 일자리가 불만입니다
북한에 계신 어머니가 그리워요
너무 힘들어서 죽고 싶어요
옮겨 심은 나무가 뿌리를 내리듯
변절자라는 말을 들으면 너무 분해요
마음이 불안합니다
한국 젊은이들은 서산대사를 몰라요
부록‘좋은벗들’창립과 활동_남과 북이 이웃이 되는 행복한 세상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통일에는 비용이 많이 들지 않느냐?’는 우려가 있는데, 이것은 단순히 돈이 많이 든다, 안 든다의 문제로 볼 것은 아닙니다. 우리가 자녀를 대학에 보내면 안 보내는 것보다 돈이 많이 들죠? 그런데 자녀를 교육시키는 것은 소비입니까, 아니면 투자입니까? 투자잖아요. 우리가 빚을 내서라도 자녀를 교육시키는 것은 길게 보면 그게 더 생산적이기 때문입니다. 이런 관점으로 판단을 해서 북한에 철도를 깔고 도로를 닦는 등 개발비용을 소비가 아닌 투자로 봐야 합니다. 우리도 과거에 개발을 할 때 외자를 유치해서라도 온갖 투자를 했잖아요. 그 투자가 지금 우리나라가 이룬 발전의 토대가 되었고요.
분단 상태에서 미·중이 경쟁하면 한국은 미·일 동맹에 종속되고, 북한은 중·러 동맹에 종속되어 강국분쟁의 완충지가 될 것입니다. 한반도의 운명이 미·중 경쟁의 종속변수가 되어버리는 거예요. 그래서 통일은 고사하고 분단 상태에서는 평화를 유지하기도 어려워집니다. 그러나 통일한국은 미·중 어느 쪽에도 쏠리지 않고 양국경쟁의 완충지로서 자주외교를 할 수 있습니다.
서독이 통일과정에서 동독 때문에 세금을 많이 냈다고 하지만 지금 통일독일의 경제가 유럽에서 차지하는 비중, EU 내에서의 영향력을 분단시절과 비교했을 때 통일은 이익일까요, 손해일까요? 또 중국이 대만이나 홍콩에 1국2체제를 당분간 용인하는 게 이익일까요, 대립을 극대화해서 서로 포격하고 싸우는 게 이익일까요? 이런 것에 비추어 생각해 보면 우리가 앞으로 남북관계를 어떻게 이끌어가는 게 좋은지 알 수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