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불교 > 불교의 이해
· ISBN : 9791187362319
· 쪽수 : 240쪽
· 출판일 : 2016-10-20
책 소개
목차
01 불교에서는 신神을 믿지 않는다고?
02 ‘공空하다’는 건 결국 다 허무하다는 뜻 아닌가?
03 스님들은 왜 삭발을 하나?
04 절에서는 왜 새벽 3시에 기상하나?
05 스님들도 결혼할 수 있나?
06 스님들은 언제부터 채식을 했나?
07 목사는 목사이고, 신부는 신부인데, 왜 스님만 ‘님’ 자를 붙일까?
08 부처님은 원래부터 곱슬머리였나?
09 중도中道는 중간을 뜻하는 말인가?
10 사리는 왜 생기나?
11 절에서는 왜 여성을 ‘보살님’이라고 부를까?
12 무소유, 정말 아무것도 갖지 말아야 하나?
13 관세음보살은 여성인가, 남성인가?
14 ‘달마’가 무섭게 생긴 까닭은?
15 ‘절’이라는 명칭의 유래는?
16 ‘야단법석’이 불교에서 유래한 말이라고?
17 스님들에게는 왜 삼배를 하나?
18 『서유기』에 등장하는 ‘삼장 법사’가 실존 인물이었다고?
19 ‘부처님오신날’은 왜 나라마다 다른가?
20 ‘본래 부처’라면서 왜 수행을 계속하나?
21 탑의 층수는 왜 다 홀수일까?
22 마조 도일, 임제 의현… 어떤 스님들은 법명이 왜 네 글자인가?
23 스님들이 애완동물을 키워도 되나?
24 선종禪宗에는 왜 6조까지만 있을까?
25 장애인은 스님이 될 수 없다는데, 그 이유는?
26 불립문자不立文字, 말을 하지 말라는 뜻인가?
27 혜명화, 무량심, 진여성… 여성 신도의 법명은 왜 세 글자일까?
28 어떤 스님을 ‘큰스님’이라고 부르나?
29 절은 왜 산속에 많은가?
30 먼지 안에 우주가 들어 있다고?
31 ‘수리수리마수리’는 무슨 뜻일까?
32 비슷하게 생긴 나치 문양과 만(卍) 자, 히틀러는 불교를 믿었나?
33 법당에 밥을 하루에 한 번만 올리는 까닭은?
34 49재는 정말 49일간 지내나?
35 부처님은 언제부터 ‘부처님’으로 불렸나?
36 ‘무아’를 이야기하는데, 어떻게 윤회가 가능한가?
37 극락이 ‘미아리’에 있다고?
38 어떤 절은 왜 ‘○○사’라 하고, 어떤 절은 왜 ‘○○암’이라고 하나?
39 스님들이 오른쪽 어깨를 드러내는 이유는?
40 군인 신분의 비구니 스님이 있다고?
41 팔만대장경 경판 수는 정말 8만 개인가?
42 사찰 대중 전원이 동의하면 소도 잡아먹을 수 있다?
43 스님들이 담배를 피워도 되나?
44 일반 신도가 승복을 입어도 되나?
45 ‘입적’이란 표현은 스님에게만 쓸 수 있나?
46 ‘천상천하유아독존’은 나만 존귀하다는 뜻인가?
47 부처님의 고향 인도에는 왜 불교 신자가 없을까?
48 ‘천도제’인가, ‘천도재’인가?
49 108번뇌라는데, 번뇌가 정말 108가지나 되나?
리뷰
책속에서
공관空觀은 이러한 ‘흐름’에 대한 사유다. ‘이것’에 매몰되면 ‘저것’에 몽매해지는 법이다. ‘돌고 돌고 돈다’는 순환의 원리를 내면화하면, 얽매이지 않을 수 있고 오판을 줄일 수 있다. 단순하고 질박하게 사는 자에게 극락은 멀지 않고 심지어 실재한다. 마음에 걸림과 쓰라림이 없을 때다. 전화위복도 새옹지마도 사실상 부처님의 법문이다. 그리하여 공의 적절한 실천은 ‘내려놓음’일 것이다. 모든 것은 사라진다. 그러므로 눈부시다.
_ 「‘공空하다’는 건 결국 다 허무하다는 뜻 아닌가?」 중에서
1995년 인하대학교 연구팀이 사리의 성분을 조사했고 그 결과가 언론에 보도됐다. 전체적으로 뼈와 유사하지만 프로트악티늄과 리튬, 티타늄 등의 광물질이 섞여 있었다. 아울러 사리의 위상을 애써 폄하하려는 쪽에서 주장하는 ‘담석’이나 ‘결석’과는 형질이 다르다는 점도 밝혀졌다. 무엇보다 경도가 압권이었다. 사리는 1만5,000파운드의 압력에서 부서졌다. 1만2,000파운드에서 부서지는 강철보다 단단하다는 게 입증된 것이다. 오랜 금욕 생활로 정액이 축적된 것이라는 키득거림은 사실무근이다._「사리는 왜 생기나?」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