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재테크/투자 > 부동산/경매
· ISBN : 9791187400417
· 쪽수 : 274쪽
· 출판일 : 2018-12-24
책 소개
목차
• 들어가는 글 : 지금이야말로 부실채권 투자의 적기
1부. 부실채권 투자, 나도 한번 시작해볼까?
Step 1. 재테크 고수들만 한다는 부실채권 투자란?
1. 부실채권을 아십니까?
2. 부실채권은 어디서 사나요?
3. 부실채권에 투자하려면 경매를 알아야 하나요?
4. 부실채권을 사려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
5. 부실채권 투자 방법을 알아보자
6. 부실채권 투자, 더는 머뭇거릴 이유가 없다
Step 2. 부실채권 투자, 이것만은 알아두자
1. 꼭 알아야 하는 부실채권 용어 정리
2. 부실채권 투자의 핵심 체크리스트
3. 부실채권에 투자할 때 유의해야 할 사항
4. 부실채권 투자의 장점
2부. 고수들만 아는 부실채권 투자법
Step 1. 론세일
1. 론세일은 무엇인가
2. 배당 투자로 330퍼센트 수익 내기
Step 2. 입찰 참가 방식
1. 입찰 참가 방식은 무엇인가
2. 부실채권 투자로 무한대 수익률을 올리다
3. 타인에게 매각된 부실채권도 살 수 있다
4. 명도, 입찰 참가 방식의 마무리 ・
Step 3 대위변제
1. 전세로 살고 있는 집이 경매에 들어간다면?
2. 대위변제로 전세보증금을 구하다!
3. 대위변제로 투자를 한다고?
4. 대위변제를 모르면 경매에서 당할 수 있다
5. 대위변제 투자 사례
6. 다양한 대위변제 투자법
3부. 부실채권 투자 실전
Step 1. 부실채권에 투자하려면 무엇부터 준비해야 하나?
1. 부실채권 투자의 기본 지식, 이것만은 알아두자
2. 투자를 위한 초도 자금, 이렇게 준비해라
3. 개인신용, 이 정도는 준비해라
Step 2. 부실채권, 어디서 찾고 얼마에 살 것인가
1. 무료, 유료 사이트 보는 법
2. 파는 물건 VS 안 파는 물건
3. 매입 가격을 산출하자
4. 잘 산 건가 VS 잘못 산 건가
Step 3. 부실채권, 어떻게 살 것인가
1. 전화상담이 중요한 이유
2. 부실채권 투자 시 주의해야 할 사항
3. 현장 분석에서 돈을 보다
4. 권리 분석, 어렵지 않다
5. 받을 돈에 대한 분석, 배당 분석을 하라
Step 4 .묻고 답하며 알아보는 부실채권 투자
1. 금융기관은 경매를 통해 배당을 받으면 되는데 부실채권을 매각하는 이유가 뭔가요?
2. 채권 행사 금액만큼 배당을 못 받았다면 나머지 채권은 어떻게 되나요?
3. 부실채권에 직접 투자하는 방법 외에 다른 투자 방법은 없나요?
4. 법령이 바뀌어 개인은 더 이상 부실채권 투자가 어려운 것 아닌가요?
5. 대위변제 절차를 좀 더 세부적으로 알고 싶어요
6. 대위변제 투자의 핵심은 무엇인가요?
7. 부실채권 공동투자도 가능한가요?
8. 초보자도 가능한가요?
9. 연체이자율 인하가 부실채권 투자수익률에 미치는 영향은?
10. 입찰 참가 방식은 근저당권이 매수인에게 이전되지 않는데 위험하지 않나요?
11. 부실채권 투자 시 발생하는 부대 비용에는 어떤 것들이 있나요?
• 나오는 글: 부실채권은 부실하지 않다
리뷰
책속에서
부동산의 ‘부’ 자도 모르던 친구가 갭투자(전세가와 매매가의 차이가 별로 없는 주택을 전세를 끼고 매입하는 시세차익 목적의 투자)에 대한 조언을 구하러 찾아왔다. 과연 부동산의 고점이 오긴 왔나 보다. 지금은 들어가야 할 때가 아니라 돈을 모아야 할 때라고 일러주었다. 더 이상 돈 벌 방법이 없다는 듯 친구는 낙담했지만 예단하기는 이르다. 주가지수가 하락하면 오히려 돈을 버는 리버스 인덱스 펀드(reverse index fund ; 파생 금융 상품을 활용하여 주가지수가 떨어질 때 반대로 수익을 낼 수 있도록 설계된 금융 상품)가 있듯이 부동산 하락기에는 부실채권 투자가 제격이기 때문이다.
“그렇지. 법적으로 부실채권 소유자는 유동화 회사지만 실제 업무를 맡고 있는 곳은 자산 관리 회사니까 부실채권을 매입하려면 ‘자산 관리 회사’와 접촉해야 해. 마음에 드는 투자 물건이 있으면 부실채권 매각 여부를 먼저 확인하고, 파는 물건이면 바로 현장조사(이를 임장이라 한다. 임장이란 부동산 투자에서 실제 현장에 나가 조사하는 것을 말한다)를 해야 해. 현장조사를 통해서 물건의 시세를 파악한 후 어떻게 수익을 올릴 것인지 생각해야지. 시세 파악과 수익 구조를 생각했다면 매입 금액을 산출하고 자산 관리 회사와 협상을 하는 거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