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소설/시/희곡 > 문학의 이해 > 시론
· ISBN : 9791187430216
· 쪽수 : 388쪽
· 출판일 : 2017-12-30
책 소개
목차
머리말 질문은 나의 힘
1부 시인론
1장 | 시의 언어는 번역 가능한가: 김억의 시론
‘근대시=자유시’의 문제 | 시의 시대와 자유시의 시대| 산문시대 ‘운문=시’의 존재 이유| 기의와 기표, 그리고 정확성의 척도 | 번역불가능성을 통한 시적 번역의 개방| 수용과 저항 사이
2장 | 사물의 언어를 체험할 수 있는가: 박용철의시론
표현의 시론| 낭만주의를 넘어서| 무명의 주객동일성| 미메시스와 사물의 언어| 객체 속에서 소멸하는 주체의 언어
3장 | 시조는 어떻게 부활할 수 있었는가: 이병기의 시조
현대시조의 조건 | 전통을 복원하는 두 가지 방법: 최남선과 이병기의 거리| 현대시조의 리듬론: 자유시 지향성| 현대시조의 언어론: 고시조 지향성| 현대시조와 한글 문체의 개혁
4장 | 시적인 것은 어디에 숨겨져 있는가 : 박두진의수석시론水石詩論
수석시와 수석시론의 위상| ‘수석=시’라는 깨달음| ‘신앙=시’의 완성| 순수와 초월을 향하는 시인| 수석시론이 도달한 곳
5장 | 다시 무엇을 위한 시인인가: 신동엽의 시론
시론과 시인론 사이| 지地 , 세계와 대립하기까지| 천天 , 천지인의 대두| 인人 , 시인의 사명| 천지인과 시의 모델| 유토피아를 꿈꾼 시인
6장 | 저주받은 시인은 어떻게 자기의 길을 만드는가 : 오장환의 시
이중의 소외| 전통의 안과 바깥| 도시와 고향의 사이| 오장환의 자리
7장 | 고향은 어떻게 만들어지는가: 김규동의 시
경계인으로서 월남민 | 월남민의 모더니즘| 고향의 존재와 비존재| 고향과 소통하는 자연의 언어| 경계선 체험과 월남민 의식
2부 주제론
8장 | 시와 노래는 어떻게 만나는가: 시와 가곡
근대시의 성립 이후 ‘시가詩歌 ’의 문제| 가곡 성립의 조건으로서 근대시의 확립| 시조와 가곡의 연대| 동요에서 재현되는 창가 이미지| 잡가에서 민요를 구해 내는 가곡| 이념의 강요에 따른 개작의 폭력| 가곡의 모순적 성격과 문학사의 이면
9장 | 시에 남아 있는 샤머니즘의 흔적은 무엇인가 : 근대시와 샤머니즘
문학에서 추방되는 샤머니즘 | 샤먼의 귀환: 최남선의 경우| 샤먼의 상상력: 김소월의 경우| 샤먼의 기억: 백석의 경우| 샤먼의 신화; 서정주의 경우| 종교문학으로서의 샤머니즘 문학
10장 | 바다도 물아일체의 대상인가: 시인과 바다
바다에 대한 물아일체의(불)가능성| 고전시가의 바다: 바다에 대한 물아일체의 조건으로서 ‘육지의결여’ | 근대시의 바다 1: 자연으로 위장한 문명 비문명의 바다| 근대시의 바다 2: 타락한 문명과의 물아일체| 바다의 수사학을 위하여
11장 | 문학이론은 문학에 무슨 짓을 하였는가: 이론 이후의 문학비평, 문학연구
문학과 철학, 과학| 이론과 문학의 위기| 문학비평과 철학| 문학연구와 역사| 문학과 인문학의 위기
12장 | 근대적 문학교육은 왜 실패하였는가 : 문학이론과 문학교육이론
문학의 위기와 문학교육이론의 성장| 문학이론과 문학교육이론| 근대적 문학교육과 근대문학의 교육| 문화연구, 문학교육이론의 새로운 동반자| 진정성의 소멸과 문학교육의 미래
13장 | 디지털 시대, 시 교육 어떻게 할 것인가 : 디지털 시대의 문학교육
문학과 미디어| 디지털 미디어와 새로운 중세| 디지털 글쓰기와 패러디| 문학교육과 문학제도교육| 칸트와 순수문학비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