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한국 다문화주의 비판

한국 다문화주의 비판

오문석, 김주영, 박휴용, 김현미, 박종명, 이진형, 김희강, 주재원, 이용승, 윤석민, 구본규, 이화숙, 박미정, 양명심 (지은이)
앨피
18,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6,200원 -10% 0원
900원
15,3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한국 다문화주의 비판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한국 다문화주의 비판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사회학 > 사회학 일반
· ISBN : 9791187430032
· 쪽수 : 460쪽
· 출판일 : 2016-06-20

책 소개

건국대학교 아시아.디아스포라 연구소 '디아스포라 휴머니티즈' 총서의 두 번째 책. 한국에서 다문화주의가 정책적으로 시행된 것은 이제 10여 년 남짓에 불과하다. 그러나 이주민과 그 문화에 대한 선주민의 차별적 인식과 적대적 태도는 여전히 한국 사회의 갈등 요소로 내재해 있다.

목차

머리말_ 다문화주의를 다시 펼쳐 들며

제1부 ‘다문화주의’라는 문제

1/ 다문화주의의 역설 - 김희강
다문화주의 실패? |다문화주의 성공과 실패 : 무엇이 좌우하는가?|이민자 문화에 대한 평가|이주 수용국의 국경 통제력|이주 수용국의 국익|후기 다문화 시대의 고민

2/ 다문화 시대의 시민권 아포리아 : 누가 시민이며, 시민권 향유의 주체는 누구인가? - 이용승
다문화 시대 시민권과 다문화적 권리의 모순|시민권과 다문화주의|보편성과 특수성의 아포리아|누가 시민인가 : 탐색적 대안

3/ 귀화 이주민과 문화적 권리 - 김현미
외국인은 어떻게 한국인이 되는가? |귀화와 다문화시민권 |외국인의 개명과 ‘국민되기’ |복수의 법치주의Plural Legalism는 가능한가? |품행방정이란? |다문화적 시민권을 향하여

4/ 한국 다문화 사회에 대한 철학적 반성과 선진유가의 다원주의 : ‘分을 높여 合을 이루고(崇分擧合), 異를 구하여 同을 이룬다 (求異存同) - 윤석민
한국 다문화주의에 대한 문제 제기 |공자의 인仁과 맹자의 심心 : 다원가치의 총칭 |《주역》 경전 체제 : 다원적 구조 |《주역》 역리易理와 음양 관계 : 다원적 세계관 |《주역》 괘효의 수시적변 : 다원적 가치 |다원주의 방법론 제안 : 分을 높여 合을 이루고(崇分擧合), 異를 구하여 同을 이룬다(求異存同)

제2부 한국의 ‘다문화’ 인식 비판

1/ ‘다문화’는 어떻게 이주민 가족을 비하하는 말이 되었나? : 다문화 가족 만들기와 이주민의 범주화 - 구본규
‘다문화’= 불우 가정? |효과적인 민족주의로서의 다문화주의와 이주민의 범주화 |‘가족’의 탄생 : ‘다문화 가족’ 범주의 형성 과정 |‘또 하나의 가족’ : 이국적 국민으로서의 ‘다문화 가족’ |‘다문화 가족’ 만들기에 대한 이주민들의 대응 |‘다문화’를 넘어선 이민자의 사회 통합

2/ 다문화 시대 소수자의 ‘명칭’ 연구 : 결혼을 통해 이주한 여성 집단의 ‘명칭’ 분석을 중심으로 - 이화숙
‘명칭’의 현황 |‘명칭’의 구성 요소 |‘명칭’의 구조 |‘명칭’을 구성하는 의미 요소 |차별 없는 ‘결혼이주민’

3/ 대중매체와 다문화적 토크의 상상 - 이진형 박종명
대중매체와 한국의 다문화주의 |여성, 노동자, 인재人才 |다문화적 ‘토크’의 조건 |‘다문화적 토크’라는 소망 |상상된 다문화주의

4/ 다문화 뉴스 제작 관행과 게이트키핑의 문화정치학 - 주재원
한국은 다문화 사회인가?|한국 사회의 다인종화 과정과 다문화 담론의 형성 |다문화 사회와 이데올로기적 매체로서의 공영방송 |텔레비전 뉴스 기자들의 게이트키핑 |뉴스 제작 관행 들여다보기 |이주민 관련 뉴스의 정형화 |내재화된 인종적 편견과 언어 권력|뉴스 제작 관행의 현실과 한계 |다문화 사회를 위한 공영방송의 역할

제3부 다문화사회의 문학, 번역, 교육

1/ 윤동주와 다문화적 주체성의 문학 - 오문석
윤동주와 만주의 지역성 |향수와 그리움, 그리고 만주의 발견 |협력을 통한 저항의 전략 |
불치의 병, 길 위의 주체성 |복수複數의 주체성에서 공허한 주체성으로 |다문화적 주체, 식민지와 제국의 외부

2/ 한국 다문화 문학의 가능성 : 손홍규 소설과 하종오 시의 ‘다문화 상상력’ - 김주영
시대의 표현으로서의 다문화|다문화적 삶과 유목적 사유|《이슬람 정육점》의 입양적 세계관|하종오 시의 ‘이주적 세계관’ |다문화세계와 관계 맺기

3/ 다문화주의에 대한 문화번역 실천 - 박미정 양명심
문화 번역으로 바라본 다문화주의와 혼종성|인류학적 민족지학에서의 문화 번역 |호미 바바의 문화 번역 |혼종성으로서의 문화 번역과 소수화 번역 |타자화 othering 번역 |소수화 번역 |다문화주의에 대한 문화 번역 실천

4/ 다문화 사회를 위한 인격 교육의 성격과 방향 - 박휴옹
인격 교육의 개념 및 성격의 재고찰|다문화 인격 교육의 방향 |다문화 교육의 목표를 통해 본 인격 교육의 가치 |다문화 인격 교육의 핵심 원리

저자소개

오문석 (지은이)    정보 더보기
조선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연세대학교 국어국문학과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저서로 《백년의 연금술》(2005), 《근대시의 경계적 상상력》(2008), 《현대시의 운명, 원치 않았던》(2012), 《시에 대한 질문 몇 가지》(2017) 등이 있고, 역서로 《자크 데리다의 유령들》(2007), 《정치, 문화, 인간을 움직이는 95개의 테제》(2010) 등이 있다.
펼치기
김주영 (지은이)    정보 더보기
건국대학교 모빌리티인문학연구원 HK교수. 동덕여대에서 문학박사학위를 받았다. 저서로 《모빌리티 텍스트학》(공저), 《문학·민족·국가, ‘재일’문학과 제국 사이》(공저) 등이 있고, 논문으로 〈모빌리티로 본 미야모토 유리코 문학의 재해석〉, 〈A Korean Mobility-Themed Novel Read from an Ethical Literary Criticism Perspective: The Green Juice Girl Has No Time for Sorrow〉 등이 있다.
펼치기
박휴용 (지은이)    정보 더보기
전북대학교 교육학과 교수다. 연세대학교 교육학과에서 학사 및 석사 학위를 받았고, 미국 위스콘신-메디슨대학교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 성신여자대학교 교육학과 조교수를 거쳐 2011년부터 현재까지 전북대학교에서 학생들을 가르치고 있으며, 전북대학교 AI융합교육연구소장과 SSK 디지털기반교수학습연구(DiTeL) 연구책임자를 맡고 있다. 국무총리산하 국정평가 자문위원, 다문화교육학회 부회장 및 여러 학회 이사, 전북대학교 사범대 부학장을 역임했고, 행안부 지방자치인재개발원 자문위원, 학술진흥재단 전문평가위원 등을 맡고 있다. 주요 저서로 『융합지식과 융합교육과정』(2018), 『포스트휴머니즘과 교육의 미래』(2019), 『포스트휴먼 교수학습론』(2021), 『인공지능기반 교육의 원리와 실제』(2023) 등이 있다. 네 저서는 각각 2019, 2020, 2022년 세종우수학술도서와 2023년 대한민국학술원 우수도서에 선정된 바 있다. KCI, SCI, SSCI, SCOPUS 등에 120여 편의 논문을 게재했으며, 현재 전북대학교 학부와 대학원에서 교육과정, 질적연구방법론, AI 융합교육 관련 과목들을 가르치고 있다.
펼치기
박종명 (지은이)    정보 더보기
건국대학교 사범대학 일어교육과 교수로 재직했으며, 현재 일어교육과 명예교수다. 일본 근대문학을 전공했고, 일본 아오야마학원대학에서 박사를 수료했다. 저서로 《한국 다문화주의 비판》(공저), 《문학·민족·국가, ‘재일’문학과 제국 사이》(공저) 등이 있다.
펼치기
이진형 (옮긴이)    정보 더보기
건국대학교 모빌리티인문학연구원 HK교수. 연세대학교 국어국문학과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저서로 《1930년대 후반 식민지 조선의 소설 이론》, 《한국 다문화주의 비판》(공저), 《텍스트, 테크놀로지, 모빌리티》(공저) 등이 있고, 옮긴 책으로 《바흐친의 산문학》(공역), 《각색 이론의 모든 것》(공역), 《모빌리티와 인문학》(공역), 《혼종성 비판》 등이 있다.
펼치기
김희강 (옮긴이)    정보 더보기
고려대학교 행정학과 교수. 이화여자대학교 정치외교학과를 졸업하고, 시카고대학교(University of Chicago) 정치학과에서 사회적 약자의 시각에서 정의와 민주주의를 논하는 세계적인 정치철학자이자 페미니즘 이론가인 아이리스 영(Iris Marion Young)의 지도로 정치철학 박사학위(2005)를 받았다(Women’s Luck? Women’s Choice? Toward a Feminist Theory of Equality). 주요 관심 분야는 정의론, 돌봄윤리, 규범적 정책분석, 여성주의 이론과 정책 등이다. 저서 『규범적 정책분석』(2016)은 2017년 대한민국학술원 우수학술도서로 선정되었다. Critical Social Policy, Journal of Social Philosophy, Public Affairs Quarterly, Journal of Women, Politics & Policy, International Journal of Care and Caring, Ethics and Social Welfare, Women’s Studies International Forum 등에 다수의 영문 논문을 발표했으며, 『한국행정학보』, 『한국정치학회보』, 『한국여성학』, 『한국사회정책』, 『정부학연구』 등에 30편 이상의 국문 논문을 발표했다. 최근 10여 년간 돌봄의 관점에서 재정립되는 사회정의와 국가역할에 주목하여 연구하고 있다. 관련하여 다수의 역서―『돌봄지원국가』(근간, 공역), 『돌봄민주주의』(2021, 공역), 『포용과 민주주의』(2020, 공역), 『돌봄: 돌봄윤리』(2017, 공역), 『돌봄: 정의의 심장』(2017, 공역), 『돌봄: 사랑의 노동』(2016, 공역)―및 편서―『돌봄과 공정』(2018, 공편)—를 출판했다. 저널 International Journal of Care and Caring에 실린 논문 “A Caring Welfare State in South Korea: Challenges and Prospects”(2018)은 편집인의 선택(editor’s choice)으로 선정되었다. 현재 돌봄윤리 연구의 국제네트워크인 Care Ethics Research Consortium의 운영위원이며, 피터스 출판사(Peeters Publishers)에서 발행하는 돌봄윤리 저서 시리즈의 자문위원이다.
펼치기
주재원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동대학교 언론정보문화학부 조교수다. 영국 런던정경대학교(LSE)에서 커뮤니케이션학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2007년부터 5년간 한국방송협회, 한국콘텐츠진흥원, 언론중재위원회 등 다수 기관의 영국 통신원으로 일하면서 영국과 유럽의 미디어 산업, 법제 및 문화 현상 등을 연구했다. 저서로 <한국 다문화주의 비판>(공저, 2016), <커뮤니케이션의 새로운 은유들>(공저, 2014), <게임포비아>(공저, 2013), Representing Difference in the British Media(공저, 2009) 등이 있다. 주요 논문으로는 “The Discursive Construction of Discrimination: The Representation of Migrants in the Korean Public Service Broadcasting News”(2015), “매체 서사로서의 역사와 집합기억의 재현: 5·18 민주화운동 관련 지상파방송 뉴스를 중심으로”(2015), “다문화 담론 이면의 타자와 미디어 윤리: 타자에 대한 윤리철학적 논의들을 중심으로”(2014) 등이 있다.
펼치기
이용승 (지은이)    정보 더보기
대구대학교 기초교육대 조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고려대학교 정치외교학과에서 박사학위를 받았고, 대구가톨릭대 다문화연 구소에서 연구교수로 재직했다. 이주와 이주정책, 이주민의 권리, 사 회통합 등에 관한 연구를 지속하고 있다.
펼치기
윤석민 (지은이)    정보 더보기
강원대학교 인문학부(철학 전공)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베이징대학교에서 철학박사 학위를 취득했고, 인하대학교 동아시아한국학사업단에서 박사후과정을 연수했으며, 건국대학교 아시아디아스포라 연구소에서 조교수로 재직했다. 논저로 《王弼易學解經體例探源》, 《역학철학사》(전8권, 공역), <論離散者的他者性: 《莊子》不全形者的他者性> 등이 있다.
펼치기
구본규 (지은이)    정보 더보기
아주대학교 세계학연구소에서 학술연구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뉴질랜드 오클랜드대학교에서 인류학으로 박사학위를 받았고 현재도 같은 과에 Honorary Academic으로 소속되어 있다. 뉴질랜드의 한국 이민자들에 대한 박사학위논문을 비롯하여 <초국주의: 국경을 넘나드는 삶의 방식>(2017), <한국다문화주의 비판>(2016, 공저) 등의 책과 한국과 뉴질랜드의 이민에 대한 여러 편의 논문을 썼다.
펼치기
이화숙 (지은이)    정보 더보기
대구가톨릭대학교 글쓰기말하기센터에서 연구조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대구가톨릭대학교 국어국문학과에서 박사학위를 받았고, 대구가톨릭대학교 다문화연구소에서 연구교수를 지냈다. 저서 로 《결혼이주여성의 생활세계》(공저)가 있고, 〈다문화가족의 호칭어 조사 연구〉 외 다수의 논문을 집필했다.
펼치기
박미정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국외국어대학교 통번역대학원 한일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2009년 한국외대 통번역대학원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하고, 《통번역학 연구》의 편집이사로 활동하고 있다. 저서로 《한일시사만화번역의 기호학적 연구》 등이 있다.
펼치기
양명심 (지은이)    정보 더보기
건국대학교 모빌리티인문학 연구원 HK연구교수. 일본 고베대학 인문학연구과에서 박사학위를 받았고, 전주대학교 인문과학종합연구소에서 학술연구교수를 지냈다. 논문으로 등이 있으며, 저서로 《재일조선인 자기서사의 문화지리2》(공저), 《모빌리티 에토스 공통문화》(공저) 등이 있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