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사회학 > 사회학 일반
· ISBN : 9791187430292
· 쪽수 : 356쪽
· 출판일 : 2018-07-15
책 소개
목차
머리말 __ 집으로 가는 ‘그 먼’ 길
1부 디아스포라와 집
1. 디아스포라와 집: 초민족주의시대의 ‘집’에 대한 상상력
디아스포라 담론의 문제점
디아스포라 공간
집, 고향, 그리고 디아스포라
집, 문화, 그리고 정체성
2. 정신분열적 디아스포라: 1965년 이후 아시아계 미국인의 정서 구조 49
아시아계 미국문학의 딜레마: 차이와 동일성
편집증적 디아스포라와 정신분열적 디아스포라
주체, 객체, 그리고 비체
자아의 분열과 자기비체화
자기비체화와 미국인 되기 1: 프랭크 친
자기비체화와 미국인 되기 2: 맥신 홍 킹스턴
디아스포라적 개입과 다중성의 긍정
3| 편집증적 디아스포라: 불가능한 진정성을 향한 열망
우연적 미국인
초기 아시아계 미국인의 기원
흑/백의 중간자
사회적 비체화
아시아로의 회귀
불가능한 진정성을 향한 열망
4|초기 아시아계 이민자의 삶의 기록: 《사과 향기》
진정성의 부재 그리고 아시아계 미국인
화이트 디아스포라: 디아스포라와 제국주의 104
디아스포라와 유럽중심주의
제국주의 디아스포라
파케하의 우울증: <피아노>
화이트 디아스포라의 그림자: <전사의 후예>
초국가주의와 화이트 디아스포라
5|네이티브 디아스포라: 제국의 서벌턴
성장소설과 제국
메스티조와 유동적 시민권
주인과 손님의 전도 그리고 식인주의
토착민은 움직일 수 있는가?
움직이는 토착민, 나르시사
2부 디아스포라와 인종
6|인종의 계보학: 본질과 허상의 갈림길 위에서
백인이 된다는 것
우생학과 듀보이스
몸의 기호학과 인종 구성체
인종과 전략적 사유
인종과 저항적 문화 생산의 가능성
7|할리우드 영화와 인종: 흑백버디무비와 아시아 남성
미국 대중문화와 아시아계 남성
흑백공멸론
흑백버디무비와 아시아: <떠오르는 태양>
수용 가능한 타자로서의 아시아: <리셀웨폰 4>
<헤롤드와 쿠마>와 아시아계 미국인의 미래
8|“실종된 제3의 몸”을 위한 애도 : 정체성 정치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제언
실종된 제3의 몸
민족이라는 물건
우리만의 물건, 우리만의 몸
가짜로 살아가기
틈새의 정치학
아시아계 미국인을 위한 애도
3부 디아스포라 문학 읽기
9|낯익음과 낯섦의 변증법: 한강의 《채식주의자》
낯설고도 낯익은 질문 혹은 명령
낯익은 상처의 낯선 변주
문화적 낯섦과 카프카스러운 낯익음
낯섦에 대한 구매 혹은 오리엔탈리즘
낯섦의 자의성
10|“집이 되고 있습니다”: 차학경의 《딕테》
제3의 공간?
주체화
식민화
모순
영도의 언어
흉내 내기
집 찾기: “그것은 집이 되고 있습니다”
11|(불)가능한 집을 향한 여정: 이창래의 《제스처 라이프》
동화의 아이러니
존재의 결여와 주체의 (불)가능성
제국주의와 낭만적 사랑의 (불)가능성
인종주의와 가족의 (불)가능성
트라우마와 동화의 (불)가능성
집의 (불)가능성
코다: 총체적 포기와 집
■ 수록 원고 출처 3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