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경제학/경제일반 > 경제이론/경제사상
· ISBN : 9791187486442
· 쪽수 : 604쪽
· 출판일 : 2023-07-30
책 소개
목차
개정판 서문 7
초판 서문 10
민스키『불안정 경제의 안정화』20년에 부쳐 13
1부 _ 서론
제1장 경제의 진행, 행태, 그리고 정책 55
2부 _ 경제 경험
제2장 심각한 경기 후퇴, 그러나 불황은 아닌 1975년: 거대 정부의 영향 71
제3장 심각한 경기 후퇴, 그러나 대공황은 아니었던 1975년: 최종 대부자 개입의 효과 107
제4장 전후 금융 불안정성의 비상 153
3부 _ 경제 이론
제5장 이론적 관점 195
제6장 현재의 표준 이론: 케인즈 종합 이후 221
제7장 자본주의 경제에서의 가격과 이윤 259
제8장 투자와 금융 305
제9장 금융 약정과 불안정성 343
4부 _ 제도 동학
제10장 자본주의 경제에서의 은행업 383
제11장 인플레이션 492
5부 _ 정책
제12장 정책 소개 479
제13장 개혁을 위한 정책 의제 491
부록 A 금융 구조 553
부록 B 소비자 물가 및 실질 임금 567
옮긴이 후기 571
찾아보기 579
리뷰
책속에서
오늘날 자본주의 사회의 가장 두드러진 특징은 금융화(financialization)다. 이러한 금융 자본주의는 일정한 불확실성을 내재한다. 반복적으로 찾아오는 금융 위기는 자본주의에 내재된 것으로 위기는 구조적이고 일상적인 것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중략…
경제와 금융에서 이 책이 차지하는 정전(正典)으로서의 위상과 함께, 법학자인 내가 이 책에 주목한 애초의 이유는 민스키야말로 오늘날 현대 사회의 위험‧위기 담론을 가장 잘 설명해 준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_옮긴이 후기
우리 경제 체계의 주요 결함은 그것이 불안정하다는 데 있다. 이러한 불안정성은 외부의 충격이나 정책 입안자들의 무능 혹은 무지에 의한 것이 아니다. 불안정성은 바로 우리 경제 체계 내부 과정에서 기인한다. 복잡하고, 정교하며, 스스로 진화하는 금융 구조를 가진 자본주의 경제 동학은 급진적 인플레이션이나 깊은 불황과 같은 비정합적 상황으로 쉽게 이행할 수 있는 조건으로 전개된다. 하지만 모순적 상황이 전적으로 온전히 실현되는 것은 아니다. 제도와 정책으로 불안정성으로 가는 추력을 억제할 수 있기 때문이다. 말하자면 우리는 불안정성을 안정화할 수 있다. _제1장 경제의 진행, 그리고 정책
케인즈는 『일반이론』에서 “경제학자들은 기존의 방식과 다르게 경제를 바라봐야 한다”고 제안했지만, 오늘날 표준적 이론에는 『일반이론』에서 기존의 관점에 쉽게 통합할 수 있는 부분만 남아 있다. 이 이론에서 잃어버린 것은 경제의 내생적 균형 파괴력에 대응해 경제는 항상 이행한다는 관점이다. 자본주의 경제에서 발생하는 축적 방식의 결과, 케인즈의 1935년 이론은 경제 운영에서 성공은 언제나 일시적일 수밖에 없다는 사실, 즉 불안정성은 피할 수 없는 자본주의의 내재적 결함이라는 사실을 보여 주었다. _제6장 현재의 표준적 이론: 케이즈 종합 이후